매화나무 책 베고 눕다 / 홍해리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매화나무 책 베고 눕다
홍해리
겨우내 성찰한 걸 수화로 던지던 성자 매화나무
초록의 새장이 되어 온몸을 내어 주었다
새벽 참새 떼가 재재거리며 수다를 떨다 가고
아침 까치 몇 마리 방문해 구화가 요란하더니
나무 속에 몸을 감춘 새 한 마리
끼역끼역, 찌익찌익, 찌릭찌릭! 신호를 보낸다
'다 소용없다, 하릴없다!'는 뜻인가
내 귀는 오독으로 멀리 트여 황홀하다
한 치 앞도 모르는 게 인생이라는데
고요의 바다를 항해하는 한 잎의 배
죄 되지 않을까 문득 하늘을 본다
창공으로 날아오르는 입술들, 혓바닥들
천의 방언으로 천지가 팽팽하다, 푸르다
나무의 심장은 은백색 영혼의 날개를 달아
하늘 높이 날아오르고
언어의 자궁인 푸른 잎들
땡볕이 좋다고 금빛으로 반짝이고 있다
파다하니 뱉는 언어가 금방 고갈되었는지
적막이 낭자하게 나무를 감싸안는다
아직까지 매달려 있는 탱탱한 열매 몇 알
적멸로 씻은 말 몇 마디 풀어내려는지
푸른 혓바닥을 열심히 날름대고 있다
바람의 말, 비의 말, 빛의 말들
호리고 감치는 품이 말끔하다 했는데
눈물에 젖었다 말랐는지 제법 가락이 붙었다
그때,
바로 뒷산에서 휘파람새가 화려하게 울고
우체부 아저씨가 다녀가셨다
전신마취를 한 듯한, 적요로운, 오후 3시.
―홍해리 시집, 『봄, 벼락치다』 (우리글, 2006)

1942년 충북 청원 출생
고려대학교 영문과 졸업
시집 『투망도』를 발표하며 작품활동 시작
시집으로 『화사기』 『무교동』 『우리들의 말』 『바람 센 날의 기억을 위하여』
『홍해리 시선』 『대추꽃 초록빛』 『청별』 『은자의 북』 『난초밭 일궈 놓고』
『투명한 슬픔』 『애란』 『봄 벼락치다』 『푸른 느낌표』 『황금감옥』 『비밀』
시선집 『시인이여 詩人이여』 등 다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