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초 /추영탑 > 창작시의 향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창작시의 향기

  • HOME
  • 창작의 향기
  • 창작시의 향기

     ☞ 舊. 창작시   ☞ 舊. 창작시   ♨ 맞춤법검사기

 

▷모든 저작권은 글쓴이에게 있습니다. 무단인용이나 표절금합니다
▷시스템 오류에 대비해 게시물은 따로 보관해두시기 바랍니다
1인 1일 1편의 詩만 올려주시기 바라며, 초중고생 등 청소년은 청소년방을 이용해 주세요
※ 타인에 대한 비방,욕설, 시가 아닌 개인의 의견, 특정종교에 편향된 글은 삼가바랍니다 

잡초 /추영탑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추영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8건 조회 473회 작성일 18-07-15 09:38

본문

 

 

 

 

 

 

 

 

집초 /추영탑

 

 

 

세상에 척하며 나설 일 없으니

觀, 手, 骨相 좋아 무엇에 쓰리

下弦에 내리는 이슬로 연명하더라도

오로지 푸르게 푸르게 살자는 뿌리의

귀엣말

 

 

묘혈의 등을 뚫거나

돌멩이 밀어 올리는 힘으로

밟힌 허리 꼿곳하게 세우는 일

 

 

위를 보는 눈은 애초에 없었으니

딱 그만큼만 자라자

 

 

그 날의 시듦이

숙명인 건 또 어찌 알았을까,

세상에 생을 돌려주고 기척 없이 말라가는

 

 

저 한 軀의 잡초

 

 

 

* 이 글을 시조로 풀어 보자면

 

 

 

잡초

 

 

푸르게 달려온 길 거기가 거기더라

하현달 흐린 밤에 상하나 차려놓고

生으로 갚자했더니 나 이미 저 세상에

 

 

이런 글도 되겠습니다. ㅎㅎ

 

 

 

 

 

 

 

댓글목록

한뉘님의 댓글

profile_image 한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딱 그만큼만ㅎ
자연의 모든 존재의 표준 이름으로 들립니다ㅎ
인간도 자연의 일부인지라
딱 그만큼만^^
넘치지도 부족하지도 않은
추 시인님의 잡초는 흔한 잡초가 아니네요ㅎ
풀 한포기 바라보는 건강한 시선
쏙 뽑아 갑니다
감사합니다~~~^^

추영탑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추영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말라가는 잡초는 더 살고자 버둥거리지 않습니다.

살았으므로 끝을 안다는 것,
척하지 않았으므로 조용히  사라진다는 것,

자연의  교훈이  곧 진리가 아닌가 합니다.

감사합니다.  한뉘 시인님,  *^^

꿈길따라님의 댓글

profile_image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인생이란/은파

우리네 인생살이
저마다 다른 들판

길섶의 푸른 초목
생그럼 풋풋하나

언젠가
들길에 피어
강물에 뜬 부초라네
********************

추영탑님의 댓글

profile_image 추영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누 뜨자마자 멋진 시조 한 수,

태평양을 건너 왔군요.
오늘도 잡초는 어딘가에 돈아나고
시듭니다.

이게 인간의 생멸과 무엇이 다르겠는 지요?

감사합니다.  오애숙 시인님!  *^^

추영탑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추영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하루에도 수십 번씩 태평양 하늘길을 오가시느라
 발바닥 실핏줄이 얼마나 닳으십니까? 오 시인님!

저는 막 뛰어서 오고 갑니다만,

일본의 그 많은 섬들을
주워다 징검돌을 놓으면 LA 쯤이야 금방이거든요. ㅎㅎ  *^^

잡초인님의 댓글

profile_image 잡초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잡초에게 써주신 멋진 시향에 잠시누웠다 갑니다. 저는 기척을 남기면서~~ㅎㅎ더운날씨 시원하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Total 2건 4 페이지
창작시의 향기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게시물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