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 학 강의 일곱 번째 [시조 - 현대적인 양상과 과제] > 시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시조

  • HOME
  • 창작의 향기
  • 시조

(운영자 : 정민기) 

 ☞ 舊. 시조    ♨ 맞춤법검사기

 

모든 저작권은 해당작가에게 있습니다. 무단인용이나 표절을 금합니다

시스템 오류에 대비해 게시물은 따로 보관해두시기 바랍니다

시조 학 강의 일곱 번째 [시조 - 현대적인 양상과 과제]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chdk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2,669회 작성일 16-04-27 18:51

본문

시조 - 현대적인 양상과 과제

1920년대에 일어난 시조의 근대적 변화와 연구는 1930년을 거쳐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광복 이후 현재까지 나온 시조집 가운데 1940년대 것으로는

양상경(梁相卿)의 ≪출범 出帆≫(1946), 조운의 ≪조운시조집≫(1947),

김상옥의 ≪초적 草笛≫(1947), 박종옥(朴宗玉)의 ≪상원시조집 桑園時調集≫

(1948) 등이 있다.

1950년대에 나온 시조집으로 김오남의 ≪김오남시조집 金午男時調集≫(1953),

이호우의 ≪이호우시조집 爾豪愚時調集≫(1955)을 비롯하여

정훈의 ≪벽오동 碧梧桐≫(1955), 조애영(趙愛泳)의 ≪슬픈 동경(憧憬)≫(1958)이 있다.

이후에도 시조집은 간간이 출간되었는데,

1960년대 시조집으로는 고두동(高斗東)의 ≪황산시조집 皇山時調集≫(1962)과

정기환(鄭箕煥)의 ≪시조한국 時調韓國≫(1967),

조종현(趙宗玄)의 ≪자정(子正)의 지구(地球)≫(1969)가 있으며,

그 이후 출간된 장응두(張應斗)의 ≪한야보 寒夜譜≫(1972)도 있다.

한편, 시조에 관한 연구저서로는 이 태극(李泰極)의 ≪시조개론 時調槪論≫(1959)이

나오기도 하였다. 시조 전문지인 ≪시조 時調≫(1952∼1953)와

≪시조문학 時調文學≫(1960)·≪현대시조 現代時調≫(1970년 6월 창간) 등도

이 시기에 나왔으며, 시조작가협회가 결성되기도 하였다.

현대시조의 과제라면 시조를 어떻게 발전시켜야 할 것인가라고 할 수 있다.

시조는 보편적 질서와 함께 개인적 질서를 가져야 한다.

그런데 보편적 질서만을 고수하는 사람들은 시조야말로 우리 고유의 전통 시 라

하면서 시조가 지닌 미덕이나 그에 대한 향수에 무조건 집착하려 한다.

시조가 이미 주어진 형식이고 전통적이라는 말은 실상 시조시인들의 일방적 주장이지,

학문적으로 검토된 것은 아니다. 적어도 전통적이라고 하면,

시조의 형식체험을 깊이 의식하고 시조가 현실에서 존재하여야 할

역사적 요청에 부응할 수 있어야 한다.

거기서 우리는 시조가 전통적이라는 것의 의의를 찾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시조가 과거에 지녔던 그 의의 때문에 무조건 오늘날까지 전승되어야 한다는 것은

복고적이며 민족적 감상주의에 그칠 우려가 많다.

그러한 생각은 시조의 형식체험을 단순히 외형적인 형식의 차원에서만 파악하고 있을 뿐,

시조 특유의 내재적 원리에는 거의 관심을 두지 않는 데에 기인한 것이다.

그러므로 자연히 서경·영탄·회억·감상 일변도로 머무는 것이다.

나아가 시조가 그것이 하나의 의미 있는 삶의 형식으로 받아들여지기에 앞서

안이한 발상에서 오는 기계적 반복이나 자수 맞추기 놀음이 되어 버리는 것이다.

시조가 단조롭고 기계적이며 또한 복고적이라는 오해는 바로 이러한 데에 기인한다.

살아 있는 경험과의 부딪침에서 나온 것이 아닌 관념적인 발상법이나,

개성적 질서가 무시된 형식을 고수하는 것은 고시조가 그러했던 것처럼

시조를 유형화시키는 길을 걷게 되고 생명 없는 시를 양산(量産)할 뿐이다.

 

이와는 반대로 아무리 읽어보아도 자유시와 구별되지 않는 명목상의 시조들도 존재한다.

이는 보편적 질서를 무시하고 개인적 질서에만 치중하는 데서 오는 현상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조의 질서란 그 자체로서 굳어진 자족적 질서는 아니다.

개인적 질서에 의하여 보편적 질서의 변형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그러나 그 변형이 아무런 원칙도 없이 자의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것이 순전히 개인적 질서에 의하여 자의적으로 이루어질 때,

그것은 이미 시조의 영역에서 벗어난 것이고, 따라서 이미 시조가 아닌 것이다.

시조가 아무리 변형된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할지라도 결국 그것은 보편적 질서의 반영이며,

그 질서를 통하여 삶을 인식하고 경험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시조의 질서는 의도적인 작위의 결과가 아니고

우리 민족이 오랜 세월 동안 삶의 현실과 부딪쳐서 얻어진 결과이기 때문이다.

시조는 우리 민족의 미적 감수성과 사고의 양식,

여기에 창이라는 음악적 요소까지 가미되어 형성된 민족시의 가장 정제된 형식인 것이다.

따라서 시조형식에 대한 맹목적인 고수나 무조건적인 파괴는 어느 것이나

현대시조가 취할 길이 아니다.

보편적 질서와 개인적 질서의 발전적인 종합을 통해서만

현대시조는 존재가치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현대시조는 정형시이면서 자유시이고,

자유시이면서 정형시가 되어야 한다.

현대시조가 과거의 시조와 다른 점은 정형이라는 틀에 구속받지 않는 데 있다.

그렇다고 해서 현대시조가 자유시가 되지도 않는다는 데 그 묘미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점에서 이병기는 ‘시조는 정형(定型)이 아니라 정형(整形)’이라고 주장하였던 것이다. 이를 통하여 우리는 현대시조가 나아가야 할 올바른 좌표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시조 학 강의 - 참고 문헌

石北集, 林園經濟志, 歐邏鐵絲琴字譜, 韓國詩歌史綱(趙潤濟, 博文出版社, 1937),

時調詩學(安廓, 朝光社, 1940), 國文學硏究崇(李熙昇, 乙酉文化社, 1946),

古長時調選註(高晶玉, 正音社, 1949), 李朝時調史(李能雨, 以文堂, 1956),

時調의 槪說과 創作(李秉岐, 全北日報社出版局, 1957),

時調槪論(李泰極, 새글社, 1959), 韓國文學史(趙潤濟, 東國文化社, 1963),

時調硏究論叢(李泰極編, 乙酉文化社, 1965), 時調文學事典(鄭炳昱編著, 新丘文化社, 1969),

國文學槪說(金東旭, 民衆書館, 1971), 時調의 文獻的 硏究(沈載完, 世宗文化社, 1972),

歷代時調全書(沈載完編著, 世宗文化社, 1972), 時調音樂論(張師勛, 韓國國樂學會, 1973),

韓國現代詩文學史(鄭漢模, 一志社, 1974), 時調文學論(金東俊, 우성문화사, 1974),

時調의 史的 硏究(李泰極, 二友出版社, 1975),

開化期時調에 대한 檢討(權寧珉, 學術院論文集 15, 大韓民國學術院, 1976),

韓國詩歌構造硏究(金大幸, 1976) 한국고전시가론(정병욱, 신구문화사, 1977),

古時調硏究(崔東元, 螢雪出版社, 1977),

時調論叢(沈載完博士 華甲紀念論叢刊行委員會, 一潮閣, 1978),

시조론(박철희, 일조각, 1978), 韓國時調文學全史(朴乙洙, 성문각, 1978),

韓國詩史硏究(朴喆熙, 一潮閣, 1980), 韓國古典詩歌의 硏究(金學成, 圓光大學校出版局, 1980), 韓國現代時調詩의 理解(李祐鍾, 國際出版社, 1981),

朝鮮國民文學으로서의 時調(崔南善, 朝鮮文壇, 1926.5),

時調란 무엇인가(李秉岐, 東亞日報, 1926.12.9), 時調의 字數考(趙潤濟, 新興, 1931.1),

時調의 歷史的 形態考(鄭炳昱, 현대문학 45, 1958.9).(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다음 시조 학 강의 여덟 번째 [현대 시조]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7,898건 1 페이지
시조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7898 草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359 0 08-10
7897 草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80 0 04-02
7896 chdk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545 0 11-01
7895 chdk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469 0 02-06
7894
동행 댓글+ 4
단혜 김강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01 1 07-07
7893 chdk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36 0 07-12
7892
기다림 댓글+ 7
단혜 김강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94 1 08-04
7891 chdk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00 0 12-12
열람중 chdk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70 0 04-27
7889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80 0 07-28
7888 버들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40 0 07-16
7887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39 1 08-17
7886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38 0 07-08
7885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24 0 07-07
7884 chdk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81 0 01-27
7883
지우개 댓글+ 2
鴻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37 1 08-08
7882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0 1 07-30
7881 chdk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 0 12-16
7880 비렴(飛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96 1 08-28
7879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 1 07-15
7878 단혜 김강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 1 08-29
7877
붕우朋友 댓글+ 5
윤희승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94 0 08-04
7876 鴻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58 1 07-08
7875 몽진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52 0 09-17
7874
산다는 건.. 댓글+ 10
단혜 김강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47 3 08-08
7873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42 1 07-11
7872 몽진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29 1 07-12
7871
복숭아 댓글+ 3
泉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22 0 07-28
7870 chdk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6 0 03-24
7869
그리움 댓글+ 6
몽진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 2 08-20
7868 버들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84 0 07-08
7867 몽진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81 1 08-25
7866 鴻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81 1 08-17
7865 鴻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80 2 07-08
7864
아내에게 댓글+ 6
책벌레정민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79 0 07-11
7863 책벌레정민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65 0 07-15
7862
단심가 댓글+ 1
책벌레정민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61 0 07-08
7861
원앙이 되어 댓글+ 6
몽진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61 1 07-20
7860 단혜 김강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58 3 08-19
7859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56 0 07-17
7858 NaCl 박성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44 0 07-08
7857 그린Choo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42 0 05-22
7856
노을과 인생 댓글+ 6
淸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36 1 07-20
7855
7월의 언어들 댓글+ 8
단혜 김강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24 1 07-11
7854
해조음 댓글+ 7
몽진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23 0 07-10
7853 鴻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4 0 07-20
7852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3 0 07-10
7851
양귀비꽃 댓글+ 6
단혜 김강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 2 07-21
7850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94 0 07-23
7849 이상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94 0 07-18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