鵲巢日記 18年 11月 09日 > 편지·일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편지·일기

  • HOME
  • 창작의 향기
  • 편지·일기

☞ 舊. 편지/일기    ♨ 맞춤법검사기

  

▷ 모든 저작권은 해당작가에게 있습니다. 무단인용이나 표절을 금합니다

鵲巢日記 18年 11月 09日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157회 작성일 18-11-10 00:05

본문

鵲巢日記 181109

 

 

     오전은 흐렸다가 오후는 더러 맑았다.

     최악의 취업난에 고독사가 점점 낮아지고 있다. 부산의 한 원룸 화장실에서 24살 모 씨가 사망한지 4개월 만에 발견됐다.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이 세 번째로 맞는 천운이라는 글귀도 인상적이었다. 미국은 중국에 반도체 생산 장비 수출을 일절 막겠다고 했다. 미국의 견제와 한미동맹의 상관관계를 설명한다. 반도체가 아니면 현재 우리나라는 별 볼일 없는 국가다. 이러한 가운데 현 정부는 대기업을 탐탁지 않게 여기는 것도 사실이다.

     傾國之色의 유래인 일고경인성一顧傾人城 재고경인국再顧傾人國이라는 말이 있다. 한 번 돌아보면 성이 무너지고 두 번 돌아보면 나라가 무너진다. 한 무제가 총애했던 이부인의 미모를 표현한 말이다. 한서에 이연년의 시에서 나온다. 전문을 옮겨본다.

     北方有佳人 絶世而獨立

     一顧傾人城 再顧傾人國

     寧不知傾城與傾國 佳人難再得

     북방에 아름다운 사람이 있어 세상을 벗어나 홀로 서있네

     한 번 돌아보면 성이 무너지고 다시 돌아보면 나라가 무너지는구나, 어찌 성이 무너지고 나라가 기우는 것을 모르는가! 아름다운 사람은 다시 얻을 수 없구나.

 

 

     비어鄙語 81

 

     입맛에맞는찌개 한술뜨는밥

     젖은손젖은행주 햇살한옴큼

     며칠손잊고그냥 지나가면은

     간장몇술잊은채 끓이고만다

 

     찌개를만들다가 마늘을넣고

     나까지쓸어넣어 펄펄끓인다

     갈아앉는무게와 끓어오르는

     뚜껑이날아가고 수저만깊다

 

     오늘 점심은 김치찌개였습니다. 늘 바깥에서 사 먹다가 오늘은 집에서 해 먹기로 했습니다. 가끔 실험적으로 요리를 합니다. 요리를 전문적으로 배운 게 없으니 말입니다. 그냥 김치 넣고 마늘 넣고 간장 넣고 고기도 조금 넣고 끓이면 되겠다 싶었지요. 그렇게 끓이고 나면 매번 후회합니다. 그냥 사 먹을 걸, 그러다가 지난번에 끓였던 기억이 나는 겁니다. 그래 된장을 조금 풀어 넣어보자는 둥, 마늘을 이개 넣자는 둥, 그러니까 맛이 조금 나아지더군요. 시도 그런 것 같습니다. 잘 쓰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뭔가 쓸려고 노력합니다. 가끔은 삶이 따분하잖아요. 남에게 어데 한 군데라도 보일만 한 것이 없으니, 홀로 즐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혼자 쓰고 혼자 웃고, 그러다가 책을 보면서 사색을 즐기는 것입니다. 가을이 아주 무르익어갑니다. 은행잎도 빗물에 폭 젖어 있고 오늘은 햇볕도 조금 나오기는 했습니다만, 했습니다만,

     저녁에 이 찌개를 데웠습니다. 그래도 한 숟가락 뜨려고 했지만, 도저히 먹을 수 없었습니다.

 

     본부 옆집 커피 집 개점이 임박한 것 같다. 밤새 작업한 듯 보였다. 엊저녁에도 심야까지 불이 켜져 있었고 오늘 새벽에도 불이 켜져 있었다. 인부도 몇 명 오가는 모습을 보았다.

     코* 안 사장께서 전화다. 어제 수다 뜨느라 고무 가스겟 가져가는 것을 깜빡 잊었다. 기계 소모품인데 어데 갈아야 한다고 했다만, 다음 주 수요일 들릴 때 그때 꼭 가져가겠다며 한다.

 

     저녁에 시지 카페 우*에 커피 배송 다녀왔다. 청도에서 주문받은 커피도 챙겼다. 조감도에서 일이다. 솟대작가이신 이*해 선생을 뵈었다. 오늘 초면이었다. 어느 모 선생의 소개로 오셨다. 성격이 밝고 소탈한 분이었다. 직원 가 나의 소개를 아주 잘해주었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오늘 옆집은 밤늦게까지 불을 써두었는데 이것 때문인지는 모르겠다. 밤에 손님이 평상시보다는 조금 더 찾아주셨다.

 

 

     論語 雍也 13

     子謂子夏曰 女爲君子儒, 無爲小人儒.

 

     공자께서 자하에게 말하였다. 너는 군자다운 학자가 되어야지 소인 같은 학자는 되지 말아야한다.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270건 11 페이지
편지·일기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3970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5 0 07-12
3969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4 0 07-12
3968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4 0 07-11
3967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9 0 07-10
3966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4 0 07-08
3965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7 0 07-07
3964 콜키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6 0 07-07
3963 콩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7 0 07-06
3962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5 0 07-06
3961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4 0 07-05
3960 콩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7 0 07-05
3959 매향박고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8 0 07-04
3958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4 0 07-04
3957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 0 07-03
3956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3 1 07-02
3955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7 0 07-01
3954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0 0 06-30
3953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7 1 06-29
3952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7 0 06-29
3951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 0 06-28
3950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6 1 06-27
3949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2 0 06-26
3948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1 0 06-25
3947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7 0 06-24
3946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2 0 06-22
3945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6 0 06-21
3944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 0 06-19
3943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9 0 06-18
3942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 0 06-16
3941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7 1 06-15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