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님의 일기장 / 이동순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아버님의 일기장
이동순
아버님이 돌아가신 후
남기신 일기장 한 권을 들고 왔다
모년 모일 "종일 본가 (終日 本家)"
'종일 본가'란
하루 온종일 집안에만 계셨다는 이야기다
이 '종일 본가'가
전체의 팔할이 훨씬 넘는 일기장을 뒤적이며
해 저문 저녁
침침한 눈으로 돋보기를 끼시고
그날도 어제 처럼
'종일 본가'를 쓰셨을
아버님의 고독한 노년을 생각한다
나는 오늘
일부러 '종일 본가'를 해보며
일기장의 빈칸에 이런 글귀를 채워넣던
아버님의 그 말할 수 없이 적적하시던 심정을
혼자 곰곰이 헤아려보는 것이다
―이동순 시집, 『가시연꽃』(창비, 1999)

1950년 경상북도 김천 출생
경북대학교 국문과 및 동 대학원 국문학 박사
197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
1989년 동아일보신춘문예 문학평론 당선
경북대 국문과 및 동 대학원 국문학과 졸업. 문학박사.
시집 『개밥풀』 『물의 노래』 『지금 그리운 사람은』 『철조망 조국』 『그 바보들은 더욱 바보가 되어간다』 『꿈에 오신 그대』 『봄의 설법』 『가시연꽃』 『기차는 달린다』 『아름다운 순간』 『마음의 사막』 『미스 사이공』 『발견의 기쁨』 『묵호』 『멍게 먹는 법』 등
민족서사시 『홍범도』 평론집 『민족시의 정신사』 『시정신을 찾아서』 『한국인의 세대별 문학의식』 『우리 시의 얼굴 찾기』 『달고 맛있는 비평』 『잃어버린 문학사의 복원과 현장』 등
민족문학사 자료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백석시전집』 『권환시전집』 『조명암시전집』 『이찬시전집』 『조벽암시전집』 『박세영시전집』 등
산문집 『시가 있는 미국기행』 『실크로드에서의 600시간』 『번지 없는 주막-한국가요사의 잃어버린 번지를 찾아서』와 어른을 위한 동화 『나의 기차는 어디로 갔을까』 등
제8회 시와시학상, 제22회 정지용문학상, 제1회 난고문학상, 제5회 신동엽창작기금상 수상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