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필리아 / 진은영 > 내가 읽은 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내가 읽은 시

  • HOME
  • 문학가 산책
  • 내가 읽은 시

    (운영자 : 네오)

 

소개하고 싶은 시에 간단한 감상평이나 느낌을 함께 올리는 코너입니다 (작품명/시인)

가급적 문예지에 발표된 등단작가의 위주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자작시는 삼가바람) 

12편 이내 올려주시고, 특정인을 홍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오필리아 / 진은영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1건 조회 1,608회 작성일 19-01-27 00:20

본문

.

     모든 사랑은 익사의 기억을 가지고 있다

     흰 종이배처럼

     붉은 물 위를 흘러가며

     나는 그것을 배웠다

 

     해변으로 떠내려간 심장들이

     뜨거운 모래 위에 부드러운 점자로 솟아난다

     어느 눈먼 자의 젖은 손가락을 위해

 

     텅 빈 강바닥을 서성이던 사람들이

     내게로 와서 먹을 것을 사간다

     유리와 밀을 절반씩 빻아 만든 빵

 

                                                        -오필리아, 진은영 詩 全文-

 

     鵲巢感想文

     시제 오필리아는 라파엘 전파의 대표 화가인 존 에버렛 밀레이의 작품으로 셰익스피어의 햄릿에 등장하는 비극적인 여주인공 오필리아의 죽음을 묘사한 그림에서 따 온 것이다.

     물론 시의 내용과 이 작품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글의 극성을 아주 살려 쓴 것이다. 작가와 독자와 죽음과 그리고 이 죽음을 바라보는 관객의 마음을 잘 묘사했다.

     여태껏 시를 읽으며 우리가 배운 것은 무엇인가? 아버지의 사랑이었다. 붉은 마음을 표현하고 내면의 그 뜨거운 사랑을 우리는 흰 종이배처럼 시간의 강물에 얹혀 읽었다.

     아버지의 내림 사랑은 시에서도 마찬가지겠다. 또 누군가는 눈이 먼, 시 앞에서 서성이며 길을 찾으려고 노력할 것이다. 그 젖은 손을 위해 우리는 따뜻한 악수를 하도록 조언을 한다. 점자를 새겨 넣는다. 마치 점쟁이처럼,

     이제 가 되었다. 텅 빈 강바닥을 서성인다. 사실 아무것도 없는 이 허무를 또 누군가는 읽고 있다. 시의 공백을 채우기 위해 긴 빨대를 꽂고 있다. 꼬닥꼬닥 언 우유를 아무리 꽂으려고 해도 꽂히지 않는 이 바닥을 깨뜨리고 있다.

     유리와 밀을 절반씩 빻아 만든 빵까지 액세서리로 놓아두고서,

 

 

     鵲巢進日錄

     나는 꽃 이름을 부른다

진달래가 만개한 그 야산을

 

     연분홍빛 나는 꽃잎이

개 없는 목줄만 끌고서 허공에 묶듯이

 

     만개한 벚꽃으로 다만

검은 벤치에 앉아

 

     무릎을 깨뜨리는 망치처럼

뼈 없는 날개처럼

 


추천0

댓글목록

Total 662건 1 페이지
내가 읽은 시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66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56 2 06-25
66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44 1 12-22
66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 1 04-27
659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1 1 06-02
658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43 0 03-22
65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99 0 12-08
65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52 0 12-21
655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50 0 12-30
65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75 0 01-08
65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0 0 01-16
65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 0 01-25
65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40 0 02-02
65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86 0 02-10
649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 0 02-18
648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78 0 02-24
64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29 0 03-01
64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49 0 03-06
645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0 0 05-05
64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60 0 05-19
64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1 0 05-29
64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98 0 06-15
64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22 0 09-30
64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69 0 08-14
639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85 0 08-31
638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66 0 09-18
63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59 0 10-19
63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79 0 10-29
635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56 0 11-10
63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 0 11-22
63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75 0 11-28
63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03 0 12-06
63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0 12-14
63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55 0 12-29
629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39 0 01-07
628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6 0 01-15
열람중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9 0 01-27
62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4 0 09-01
625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 0 09-08
62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 0 09-14
62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5 0 09-23
62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 0 10-02
62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03-01
62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 0 05-01
619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 0 05-23
618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6 0 06-18
61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5 0 06-08
61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74 0 12-09
615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60 0 12-22
61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27 0 12-31
61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1 0 01-08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