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 이정록 > 내가 읽은 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내가 읽은 시

  • HOME
  • 문학가 산책
  • 내가 읽은 시

    (운영자 : 네오)

 

소개하고 싶은 시에 간단한 감상평이나 느낌을 함께 올리는 코너입니다 (작품명/시인)

가급적 문예지에 발표된 등단작가의 위주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자작시는 삼가바람) 

12편 이내 올려주시고, 특정인을 홍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물 / 이정록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827회 작성일 18-06-12 22:29

본문

- 어머니학교 12 이정록 티브이 잘 나오라고 지붕에 삐딱하니 세워논 접시 있지 않냐? 그것 좀 눕혀놓으면 안 되냐? 빗물이라도 담고 있으면 새들 목도 축이고 좀 좋으냐? 그리고 누나가 놔준 에어컨 말이다 여름 내내 잘금잘금 새던데 어디다가 물을 보태줘야 하는지 모르겄다 뭐가 그리 슬퍼서 울어쌓는다니? 남의 집 것도 그런다니?


李楨錄 시인

1964 충남 홍성 출생. 공주사범대 한문교육과 졸업. 1993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혈거시대(穴居時代)〉 당선으로 등단. 김수영문학상, 김달진문학상 등 수상. 시집으로,《벌레의 집은 아늑하다》(문학동네, 1994) 《풋사과의 주름살》(문학과 지성사, 1996) 《버드나무 껍질에 세들고 싶다》(문학과 지성사, 1999) 《제비꽃 여인숙》(민음사, 2001) 《의자》(문학과지성사, 2006) 등

<감상 & 생각>

은근히 미소와 함께 생각을 머금게 하는 시.. 미루어 짐작컨데, 시인의 자당 慈堂께서 하신 말씀을 詩化한 거 같다 모름지기, 이 시대의 詩라는 건 이래야 할듯 그 무슨 어렵고 난해한 말로만 잔뜩 치장해 시를 말해서 무엇하겠는가 가뜩이나 일반대중은 어렵다고 손사래치며, 시를 외면하고 있는데 말이다 - 요즘 시를 읽는 대중, 거의 없다 심지어 시인들도 시를 안 읽는 판에.. 일반대중이 살아가는 현실적 삶에서 괴리 乖離된 시가 이 시대에 그 무슨 문학적 가치가 있을까 시인이 시로 옮긴 모친의 말씀에서 새삼, 나 아닌 이웃을 위한 베품의 정신을 생각해 본다 티브이 파라볼라 안테나와 에어컨을 빗대는 그 해학적, 그러나 많은 걸 생각하게 해주는 말씀에서 진정한 삶의 의미를 깨닫게 해줌은 나만의 느낌일까.. 오로지, 자기 자신만의 안락함과 영화 榮華를 위해 날마다 눈이 벌겋도록 용맹정진으로 힘쓰는 우리들.. 누군가에게 늘 베풀고 살으라는 어머니들의 말씀은 문득, 우리들의 치열한 이기주의로 왜곡된 삶을 깊은 회한 悔恨으로 돌아보게 하지 않던가 - 희선,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185건 29 페이지
내가 읽은 시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2785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35 0 07-22
2784 정동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22 0 07-23
2783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83 0 07-24
2782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65 0 06-19
2781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4 0 03-06
2780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0 03-08
2779 강북수유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99 0 06-14
2778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65 0 03-10
2777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59 0 03-12
2776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61 0 03-12
2775 강북수유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78 0 06-19
277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60 0 07-24
2773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 0 07-26
2772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1 0 07-29
2771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20 0 07-31
2770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82 0 03-19
2769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69 0 08-02
2768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85 0 08-04
2767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44 0 03-17
2766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8 0 08-08
2765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9 0 08-11
2764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70 0 08-13
2763 강민경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2 0 08-12
2762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5 0 08-15
2761 金離律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74 0 06-25
열람중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28 0 06-12
2759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28 0 08-17
2758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30 0 08-22
2757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3 0 08-24
2756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0 0 08-26
2755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3 0 08-28
2754 정동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86 0 08-28
275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91 0 08-28
275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43 0 01-21
2751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76 0 01-21
2750 安熙善41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09 0 01-21
2749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96 0 01-22
2748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9 0 08-20
2747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41 0 01-20
2746 문정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68 0 08-29
2745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88 0 08-31
2744 시인과하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85 0 08-31
2743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9 0 09-02
274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45 0 09-02
2741 문정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73 0 09-03
2740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98 0 09-05
2739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0 04-10
2738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99 0 09-07
2737 문정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45 0 09-08
2736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53 0 09-09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