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눈 =허은실 > 내가 읽은 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내가 읽은 시

  • HOME
  • 문학가 산책
  • 내가 읽은 시

    (운영자 : 네오)

 

소개하고 싶은 시에 간단한 감상평이나 느낌을 함께 올리는 코너입니다 (작품명/시인)

가급적 문예지에 발표된 등단작가의 위주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자작시는 삼가바람) 

12편 이내 올려주시고, 특정인을 홍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첫눈 =허은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126회 작성일 23-04-06 00:07

본문

첫눈

=허은실

 

 

곡기를 끊고

누운 사람처럼

대지는 속을 비워가고

 

바람이

그 꺼칠한 얼굴을

쓸어본다

 

돌아누운 등뒤에

오래 앉았는 이가 있었다

 

- 해봐요 응?

마른 입술에

떠넣어주던

흰죽

 

세상에는 이런 것이 아직 있다

 

   얼띤感想文

    시인은 첫눈 내리는 풍경을 이 너른 땅에 하느님께서 마치 흰 죽 한 숟가락씩 떠먹이듯이 그렇게 보고 있다. 흰 죽처럼 미음으로 닿는 일 메마른 영혼에 눈처럼 떠 먹여주는 시, 돌아누운 등도 곱게 펼 수 있을 것 같다. 그렇게 겨울이 가고 나면 따뜻한 봄은 다시 열린다.

    흰 죽의 한자표기는 미음米飮이다. 쌀 미자는 나무 목자에 점 두 개 찍힌 것이다. 사실, 나무 목이 아니라 열 십자다. 한 일자에 뚫을 곤자로 묶은 곳 탈탈 털어 생산한 곡식 낱알을 표현한 한자다. 이전은 벼 화자다. 자는 벼 화에 북녘 북자와 합성문자다. 농경문화 시대에 세금으로 거둬들인 것이 벼였고 위쪽으로 즉 왕께 올린다는 표현으로 탈 승이라는 문자가 생겼다. 잘 익은 벼에서 풍기는 곡식 냄새는 향이고 이에 줄곧 잘 자라니 수며 결실을 기다리며 지켜보는 이 계였으며 거둬들인 벼를 관리하는 사람은 여자였기에 위라 했다.

    다반향초茶半香初 같은 시에 오늘도 잠시 머물러 본다.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175건 76 페이지
내가 읽은 시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425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7 0 10-19
424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7 0 10-24
423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7 0 03-01
열람중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7 0 04-06
421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6 0 07-12
420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6 0 07-27
419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6 0 08-01
418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6 0 08-04
417 선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6 0 08-04
416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6 0 08-28
415 grail20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5 0 06-05
414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5 0 07-21
413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5 0 07-30
41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5 0 08-22
41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5 0 09-02
410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5 0 09-27
409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5 0 10-22
408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5 0 03-24
407 grail20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 0 06-27
406 선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 0 05-15
405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 0 07-11
404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 0 07-18
403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 0 07-22
402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 0 07-23
401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 0 08-11
400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 0 08-12
399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 0 08-21
398
기일 댓글+ 2
김재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 0 08-23
397 grail20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 0 06-29
396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 0 07-12
395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 0 08-15
394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 0 08-22
393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 0 08-26
392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 0 09-18
391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 0 09-19
390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 0 09-23
389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 0 10-06
388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 0 04-04
387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07-07
386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07-16
385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07-29
384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08-01
383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09-07
382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09-21
381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09-26
380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09-28
379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10-17
378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03-01
377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03-11
37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 0 09-01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