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나물 =임현정 > 내가 읽은 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내가 읽은 시

  • HOME
  • 문학가 산책
  • 내가 읽은 시

    (운영자 : 네오)

 

소개하고 싶은 시에 간단한 감상평이나 느낌을 함께 올리는 코너입니다 (작품명/시인)

가급적 문예지에 발표된 등단작가의 위주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자작시는 삼가바람) 

12편 이내 올려주시고, 특정인을 홍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봄나물 =임현정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122회 작성일 22-09-23 21:45

본문

봄나물

=임현정

 

 

    까마귀를 따라 마을 전체가 내려다보이는데 까무러진 콩 같은 네가 지나간다 쪽배처럼 젖다 돌배처럼 곪다 두더지야 거긴 물렸어 굼벵이야 거긴 썩었어 다 주어도 아깝지 않은 네가 운다 무른 칼을 들고 놀러 오렴 바구니 가득 푸르고 실한 나를 줄게 포슬포슬 김이 나는 밭에 바슬바슬 부서지는 이랑에 네가 헹구는 싱싱한 두 손에 나는 있어

 

   얼띤感想文

    오른쪽을 잘 그려내는 시인이 있다. 마치 거울을 보듯 그러나 보이는 것은 보는 것, 그대로가 아니라 다른 쪽 세계관이다. 나는 죽었고 죽은 곳에서 바라보는 살아 있는 것들의 행태에 대한 묘사 그것은 실로 어렵다. 통찰력과 앞을 꿰뚫는 예지력까지 있어야 한다. 까마귀가 하늘 나는 것에서도 철학은 있으니, 조장 말이다. 마른 쪽 세계에서는 시신을 걸대에 그냥 걸어두었다. 그것처럼, 바라보는 시 한 점 뜯긴 상황에서 소화를 넘어 깃에 묻은 한 방울의 구체에서 이질화된 세계를 보는 저 눈빛 까무러지고도 남겠다. 쪽배처럼 젖고 돌배처럼 곪고 그래 맞아 두더지야 거긴 물렸잖아 굼벵이야 거긴 썩었고 인도다. 간디가 말한 소통 그것은 나머지 신발 한 짝, 마저 내 던지는 것이었다. 누가 신든 신을 것이다. 가난한 사람이 신으면 더욱 좋고 그것처럼 봄나물, 우리는 봄나물 캐내어 한 바구니 담아 본 적 있나? 말끔히 씻어 한 숟가락 밥에 비벼 두 손에서 두 손으로 먹었던 적 있느냐 말이다. 아직도 무른 칼을 들고 오는 오른쪽 어깨에 조금이나 덜어줄 한 밥그릇에 싱싱한 봄나물을 죽죽 찢어 넣어 참기름 살짝 둘러본다.

 


.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174건 8 페이지
내가 읽은 시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3824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8 0 10-27
3823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8 0 03-04
3822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8 0 03-14
3821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 0 07-12
3820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 0 08-04
3819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 0 08-06
3818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 0 09-05
381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 0 09-17
3816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 0 09-23
3815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 0 09-28
3814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 0 04-03
3813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 0 10-02
3812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 0 07-18
3811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 0 08-30
381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 0 09-02
3809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 0 09-08
3808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 0 09-12
3807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 0 09-12
3806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 0 09-12
3805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 0 10-08
3804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 0 10-27
380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 0 03-01
3802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 0 03-10
3801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 0 03-10
380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 0 09-01
3799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 0 03-03
3798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07-07
3797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07-16
3796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07-29
3795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08-01
3794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09-07
3793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09-21
3792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09-26
3791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09-28
3790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10-17
3789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03-01
3788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03-11
3787 grail20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 0 06-29
3786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 0 07-12
3785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 0 08-15
3784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 0 08-22
3783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 0 08-26
3782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 0 09-18
3781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 0 09-19
열람중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 0 09-23
3779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 0 10-06
3778 崇烏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 0 04-04
3777 grail20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 0 06-27
3776 선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 0 05-15
3775 grail20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 0 06-05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