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워있는 나부(裸婦)* / 香湖 김진수 鵲巢感想文 > 내가 읽은 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내가 읽은 시

  • HOME
  • 문학가 산책
  • 내가 읽은 시

    (운영자 : 네오)

 

소개하고 싶은 시에 간단한 감상평이나 느낌을 함께 올리는 코너입니다 (작품명/시인)

가급적 문예지에 발표된 등단작가의 위주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자작시는 삼가바람) 

12편 이내 올려주시고, 특정인을 홍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누워있는 나부(裸婦)* / 香湖 김진수 鵲巢感想文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2건 조회 1,699회 작성일 16-07-06 17:49

본문

누워있는 나부(裸婦)* / 김진수



    눈을 감았다. 다 벗었다.

    활활 타는 불이다. 붉은 젖꼭지 젖무덤 휘감아 내린 계곡과 능선, 염소를 태우고, 눈썹을 태우고, 손톱과 발톱을 태우고, 치우쳐버린 편견을 태우고, 바람은 동쪽으로 분다. 아득한

    불이 흐른다. 붉은 어쿠스틱기타, 줄을 뜯는다. 첫 음, 알싸한 불꽃이 인다. 발가락부터 핥고 오르는, 입속으로 밀고 들어오는 불의 혀, 변주에 들어가자 숲의 소리, 아득하다. 활활! 치닫는 오르가즘, 동굴은 넘치고, 숲은 하얗게 화르륵.

    불티로 날린다.
    불티 속

    염소가 웃는다. 푸르른 몽파르나스. 늘 함께했던 황소, 노래하고, 술을 마시고, 염소는 칼을 잡는다. 그리고 그려 넣는다. 목이 긴

    여인의 푸른 눈에 갈색 연민을,
    동그랗게

============================
* 모딜리아니(1884~1920)캔버스 유채 599 x 920



鵲巢感想文
    향호 김진수 先生은 시마을(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동인으로 형이다. 이번 시와 세계에 시부분 신인상으로 당선하심에 다시, 축하의 말씀을 놓는다. 당선작 다섯 편(1. 당신의 무지개는 어디에 있습니까?, 2. 주문진, 3. 붉은 포도주, 4. 누워있는 나부裸婦, 5. 가면무도회) 모두 읽었다. 솔직히 향호 선생은 필자와는 나이 차가 꽤 된다. 선생의 시를 읽는 데는 무릇 이 시차부터 극복해야 함도 있다. 그러니까 경륜에 따라가지 못하는 경험과 지식의 부족 같은 것이다. 하지만, 선생의 시 한 편을 감상하겠다는 버릇없는 작소를 형은 용서하시리라 믿어 의심치 않으며 한 줄 쓴다.

    시제가 ‘누워있는 나부裸婦’다. 모딜리아니 작품 제목을 빌어 왔다. 모딜리아니는 1884년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방의 항구도시 리보르노에서 유대계 가문의 3남 1녀 중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1906년 파리로 이주한 모딜리아니는 몽마르트르에 정착하게 된다. 그리고 1917년 잔 에뷔테른을 만나 운명적인 사랑을 한다. 파블로 피카소, 지노 세베리니, 앙리 툴루즈-로트레크, 폴 세잔, 콘스탄틴 브랑쿠시 등의 영향을 두루 받았지만, 특정한 사조에 참여하지 않고 모딜리아니만의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개척했다. 율동적이고 힘찬 선의 구성, 미묘한 색조와 중후한 질감을 특징으로 하는 그의 작품은 초상화와 누드화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긴 목을 가진 단순화된 여성상은 무한한 애수와 관능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한다.
    36세의 짧은 생애를 살았지만, 그의 작품은 상상 이상의 대우를 받고 있다. ‘누워있는 나부裸婦’는 그의 작품 중 최고가다.
   
    詩는 詩人의 마음이다. 시제 누워있는 나부와 같은 마음으로 아니면 누워있는 나부와 같은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실지로 향호 선생의 등단작 다섯 편은 모두 어딘가 여행을 다녀오셨거나 나들이 갔다가 어떤 감상문 같은 것으로 읽힌다. 제대로 읽었는지는 모르겠으나 읽는 이로 하여금 그렇게 보인다. 그러니까 시제 누워있는 나부도 동해안 어딘가 여행을 다녀온 듯 보이는데 시 2연에 보면, ‘바람은 동쪽으로 분다’는 것에 그 의미를 심을 수 있음이다.

    詩 1연을 보면 눈을 감고 벗었다. 언어 도치법인데 실제는 먼저 벗고 눈을 감았을 것이다. 이러한 도치는 시를 더 오래 읽히게 하는데 눈을 감고 지난 추억을 회상하는 장면과 또 모딜리아니의 누워있는 나부의 어떤 여인성과 같이 포근한 마음으로 함 벗어 보자라는 뜻도 있다. 시의 도입부다.

    詩 2연은 활활 타는 불, 붉은 젖꼭지 젖무덤 휘감아 내린 계곡과 능선, 염소를 태우고, 눈썹을 태우고, 손톱과 발톱을 태우고, 치우쳐버린 편견을 태우고, 라고 했다. 목적한 여행지 아니면 다녀온 자연을 여성으로 치환하여 작가의 마음을 얹었다. 시인은 아직도 활활 타는 불같이 다녀온 마음을 저버릴 수 없음이고 누워있는 나부와 같은 자연에 폭 빠졌음이다. 여기서 시인이 사용한 시어를 보면, 염소, 눈썹, 손톱과 발톱으로 시적 효용 가치를 더 높이고 있다. 마치 누워있는 나부를 생각게 하듯이 말이다.

    詩 3연은 시인께서 모닥불 피우고 나름의 즐거움을 찾는 느낌이 들었다. 자연과의 교감은 불이 매개체며 발가락부터 그 온기를 느낀다. 모딜리아니의 누워있는 나부와 같이 느끼고 있을 화자를 생각게 한다. 약간은 관능적일 것 같기도 하지만, 시적 표현이다. 통키타를 치거나 발가락부터 핥으며 입속으로 밀고 들어오는 불의 혀라든가 변주에 들어가니 숲의 소리가 난다거나 하는 표현은 시에 대한 열정이다.

    詩 4연, 불티로 날리며 그 불티 속, 시의 승화다.

    詩 5연, 염소가 웃고, 푸르른 몽파르나스. 늘 함께했던 황소, 노래하고, 술을 마시고, 염소는 칼을 잡는다. 그리고 그려 넣는다. 목이 긴, 염소와 황소 여기서 염소는 앞의 염소와는 다른 개념인 것 같아도 실은 같다. 근데 염소는 칼을 잡는다는 표현에서 칼 같은 어떤 극한 행위나 율동 같은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려 넣는다. 목이 긴, 그러니까 생각은 한없이 길다. 마치 노천명의 사슴을 연상케 하는데, 이때 사슴은 목이 길어 사슴이 아니라 그의 이상향을 그리듯 말이다. 하지만 여기서는 노천명의 사슴과는 그 개념이 다르다. 목이 길기는 하지만, 사색의 깊이를 말하는 것이겠다.

    詩 종연은 여인의 푸른 눈에 갈색 연민을, / 동그랗게. 실지로 모딜리아니의 작품 중 최고가를 기록한 누워있는 나부는 눈을 감고 있다. 그 눈이 푸른 눈인지는 모를 일이나 아무래도 화자는 특별한 뜻을 담았으리라! 갈색 연민 보다는 시적효용을 더 높일 방안이 있었으면 하는 바람도 조심스럽게 놓아본다. 좀 더 동그스름한 먹빛 노을이라든가 에휴, 이 버릇없는 작소 용서하시기를

    다시, 축하의 말씀을 드립니다. 향호 큰 형님  정말 대단하십니다. 시 다섯 편, 모두모두 좋아요. 정말 잘 읽었습니다. 너무 급하게 써 올렸는데 버릇없으리라 생각 들어요.. 용서해주세요....향호 큰 형님
추천0

댓글목록

鵲巢님의 댓글

profile_image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ㅋㅋ^^

향호 큰 형님

다시금 축하합니다. 무릇 버릇 없어 쓴 것 같아 넘 죄송할 따름입니다.

늘 건강하셔요...

형님 ^^*

Total 661건 1 페이지
내가 읽은 시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66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35 0 03-22
66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0 0 06-08
659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22 0 06-09
658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22 0 06-10
65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4 0 06-11
65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66 0 06-12
655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64 0 06-12
65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95 0 06-13
65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5 0 06-14
65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30 0 06-16
651
삽 / 장진규 댓글+ 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25 0 06-17
65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 0 06-18
649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9 0 07-02
열람중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0 0 07-06
64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70 0 07-07
64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7 0 12-07
645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95 0 12-08
64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72 0 12-09
64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50 0 12-10
64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0 0 12-11
64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77 0 12-12
64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34 0 12-13
639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84 0 12-14
638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31 0 12-15
63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8 0 12-15
63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2 0 12-16
635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6 0 12-16
63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4 0 12-18
63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6 0 12-18
63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5 0 12-19
63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95 0 12-20
63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 0 12-21
629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51 0 12-21
628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57 0 12-22
62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3 0 12-22
62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8 0 12-23
625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38 0 12-24
62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3 0 12-24
62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20 0 12-25
62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3 0 12-26
62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80 0 12-26
62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5 0 12-27
619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0 0 12-27
618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33 0 12-28
61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4 0 12-28
61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50 0 12-29
615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48 0 12-29
61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71 0 12-30
61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46 0 12-30
61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24 0 12-31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