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들 / 최금진 > 내가 읽은 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내가 읽은 시

  • HOME
  • 문학가 산책
  • 내가 읽은 시

    (운영자 : 네오)

 

소개하고 싶은 시에 간단한 감상평이나 느낌을 함께 올리는 코너입니다 (작품명/시인)

가급적 문예지에 발표된 등단작가의 위주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자작시는 삼가바람) 

12편 이내 올려주시고, 특정인을 홍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어린이들 / 최금진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1,752회 작성일 17-01-15 00:03

본문

어린이들 / 최금진




    그때 황혼은 지고, 나는 노인처럼 어쩔 줄 몰라 하며 쩔쩔맸지
    타고 온 자전거는 고삐를 풀고 우주로 달아나고
    나는 빈 목줄만 들고 터벅터벅 코스모스 꽃잎 속으로 걸어들어갔지
    마음은 날마다 흰 문종이 펄럭거리는 빈 방이었어
    이불 속에서 몰래 씹는 칡뿌리처럼 밤은 아리고 달콤해서
    어머니는 나를 근심하셨지
    어머니가 아는 걸 나도 알고 있었으니까
    꽃상여가 마을 산등성이를 돌아 나가는 환각과 환청이 코스모스 속에 피었어
    내가 키우던 개는 턱뼈가 부서진 채 끙끙 앓았지
    나는 어린이였어, 그러나 어머니도 어린이였지, 모든 어른들은 어린이였어
    우리는 짐승 같은 눈을 껌뻑거리며 서로의 상처를 혀로 핥아 줄 뿐
    그 크고 따듯하고 비릿한 혓바닥이 우리들 위로의 전부였지
    저녁연기가 마을 사람들 영혼 몇 개를 감아 하늘로 오르고
    국수에서 나는 밀가루 냄새 같은
    그 밋밋하고 초라한 저녁을 후루룩 마시며
    우린 커다란 탈바가지처럼 서로 마주보며 까르르 웃었다



鵲巢感想文
    날아가는 돌도끼 / 鵲巢


    들판이었어 으뜸의 말 뛰기는 바짝 엎드려 있었지
    우리는 저 번득이는 맹수의 이빨을 보고 있었어
    들고 온 뭉뚝한 창은 던질 수 없었지
    거저 입을 다물 수 없을 정도였어
    벌겋게 흐르는 초원의 피는 흰 갈대꽃만 적셨던 거야
    갈대밭 사이 숨어, 숨만 졸이고 있었지
    갈대밭 흔들릴 것 같아 도저히 숨 쉴 수 없었니깐 
    맹수의 이빨이 큰 바위를 돌아 초목이 우거진 쪽으로 사라졌을 때
    들소의 잔해를 들고 노을로 향해 뛰었어
    말 그대로 말 뛰기였어
    이미 결딴난 들소의 잔해뿐인 동굴 어귀에
    돌 볼끈 쥔 주먹이 뼈마디를 부러뜨리기 시작했어
    골수만 빼먹기 시작했지
    화톳불 가 앉아 달을 보며
    으뜸의 말 뛰기, 큰 목소리, 개망초, 고들빼기도 모르고 말이야
    오로지 돌 볼끈 쥔 주먹의 허공만 가르는 날개뿐이었어
    그때, 윙 거리는 소리와 fuck 돌도끼 가슴에 와 박혔지   
   


    시는 한 편의 소설을 읽는 것보다 더 재미가 있을 수 있다. 시인의 무한한 상상은 과연 어디까지 미치는 건가! 시를 읽다가 보면 도저히 맞지 않은 내용인 것 같아도 시만 생각하면 그런대로 맞아 들어가는 게, 시다.
    위 최금진 선생의 시 ‘어린이들’ 감상하면 시인의 소싯적 추억을 되살리며 어떤 이야기를 하는 것 같아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또 그런 것도 아니다. 위 작품은 ‘詩’라는 주제 즉 시제는 ‘어린이들’이라고 했지만, 시를 묘사한 작품이다. ‘마음은 날마다 흰 문종이 펄럭거리는 빈 방이었어’ 라는 시인의 말은 시를 향한 시인의 욕구임을 볼 수 있다.
    시는 복잡한 칡뿌리 같기도 하지만, 씹으면 재밌고 맛있다. 더욱 재미난 표현은 시 9행에 ‘내가 키우던 개는 턱뼈가 부서진 채 끙끙 앓았지’라는 대목이다. 시인의 시에 관한 맹렬한 믿음과 공부다. 개는 시를 은유하는 말이며 턱뼈가 부서졌다는 말은 시 해체를 말한다. 그만큼 공부에 몰입했다.
    시 후반부에 들어가면 ‘국수’라는 시어가 나온다. 국수의 색감은 하얗고 곧다. 뜨거운 물에 풀어지면 아주 맛깔스러운 요기로 한 끼 식사는 충분하다. 나의 뜨거운 열정에 아주 맛깔스러운 작품이 나왔다면, 국수에 비할 바 있을까! 초라한 저녁에 웃음을 자아낼 수 있는 작품이야말로 하루가 따뜻하지 않을까 말이다.

    물론 나의 시 ‘날아가는 돌도끼’는 위 최금진 선생의 시를 읽고 번득이는 마음에 한 줄 읊은 거다. 예전, 대학 1학년 때였지 싶다. 소설가 이문열 선생의 작품 ‘필론의 돼지’를 읽었던 적 있었다. 이 속에는 ‘들소’라는 작품이 있었는데 어찌나 이미지가 강한지 아직도 잊지 못하고 있다. 그 들소를 그렸다. 우리의 인간은 옛 추억이 알게 모르게 머릿속 잠재되어 있음이다. 시가 더 재미나게 그리려면 시인의 풍부한 상상력도 한 몫 있어야 한다. 금방 지은 거로 보면 시라고 보기는 어렵겠지만, 창작의 도움이 되었으면 하고 쓴 것이다.


=============================
각주]
    최금진 1970년 충북 제천 출생 1997년 <경인일보> 신춘문예 등단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170건 13 페이지
내가 읽은 시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3570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82 0 12-23
3569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82 0 10-01
3568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81 0 05-05
356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81 0 01-06
356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80 0 01-26
3565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9 0 07-31
356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9 0 03-02
3563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9 0 07-04
356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9 0 01-10
3561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9 0 03-28
3560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9 0 05-08
3559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8 0 06-23
3558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8 0 07-16
3557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7 0 11-13
3556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6 0 09-25
3555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6 0 02-04
355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5 0 02-28
3553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5 0 08-08
3552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3 0 01-31
3551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2 0 11-10
3550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2 0 10-18
3549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1 0 07-20
3548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0 0 05-29
354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69 0 01-27
354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68 0 06-24
3545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66 0 01-12
354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66 0 02-02
354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65 0 01-10
3542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64 0 11-03
3541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63 0 08-16
354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63 0 05-16
3539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62 0 02-04
3538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62 0 05-25
353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61 0 06-06
3536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60 0 03-19
3535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9 0 04-04
3534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9 0 04-08
3533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8 0 03-16
353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8 0 12-27
353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6 0 03-07
353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5 0 02-25
열람중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3 0 01-15
3528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2 0 12-11
352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2 0 02-03
3526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1 0 09-29
3525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1 0 01-14
3524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1 0 01-17
352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0 0 02-01
352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0 0 01-01
3521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49 0 01-10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