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선여정(不宣餘情) / 정끝별 > 내가 읽은 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내가 읽은 시

  • HOME
  • 문학가 산책
  • 내가 읽은 시

    (운영자 : 네오)

 

소개하고 싶은 시에 간단한 감상평이나 느낌을 함께 올리는 코너입니다 (작품명/시인)

가급적 문예지에 발표된 등단작가의 위주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자작시는 삼가바람) 

12편 이내 올려주시고, 특정인을 홍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불선여정(不宣餘情) / 정끝별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2,080회 작성일 17-05-07 00:22

본문

불선여정(不宣餘情) / 정끝별




    쓸 말은 많으나 다 쓰지 못한다 하였습니다 편지 말미에 덧붙이는 다 오르지 못한 계단이라 하였습니다

    꿈에 돋는 소름 같고 입에 돋는 혓바늘 같고 물낯에 돋는 눈빛같이 미쳐 다스리지 못한 파문이라 하였습니다

    나비의 두 날개를 하나로 접는 일이라 하였습니다 마음이 마음을 안아 겹이라든가 그늘을 새기고 아침마다 다른 빛깔을 펼쳐내던 두 날개, 다 펄럭였다면 눈멀고 숨 멎어 돌이 되었을 거라 하였습니다

    샛길 들목에서 점방(店房)처럼 저무는 일이라 하였습니다 봉인된 후에도 노을을 노을이게 하고 어둠을 어둠이게 하는 하염총총, 수북한 바람을 때 늦은 바람에게 하는 지평선의 목메임이라 하였습니다

    때가 깊고 숨이 깊고 정이 깊습니다 밤새 낙엽이 받아낸 아침 서리가 소금처럼 피었습니다 갈바람도 주저앉아

    불선여정 불선여정 하였습니다



鵲巢感想文
    우선 시제부터 보아야겠다. 시제가 불선여정(不宣餘情)이다. 아니 불(不), 베풀 선(宣), 남을 여(餘), 뜻 정(情)으로 이룬 한자어다. 굳이 해석하자면 남은 정을 베풀지 못한 어떤 심정이다. 시제가 하나의 시다. 시를 굳이 묘사하자면 여백까지 적을 순 없으나 그 여백은 읽을 수 있고 뜻을 드러낸 부분은 그 뜻을 충분히 이해하는 것이다. 하지만, 문자는 표현하는 이의 마음을 온전히 전달할 수는 없어 시제가 불선여정이 된다. 시제를 이해하고 나면 굳이 밑에 시를 읽지 않아도 대충 어떤 뜻인지 이해가 간다.
    시를 전체적으로 읽으면 마치 조선시대 사대부집 여인으로 예의 법도에 한 치 어긋남이 없어 보인다. 아녀자로서 남편께 고하는 말 같다. 詩는 詩에 대한 묘사로 이룬다.
    시는 쓸 말은 많으나 다 쓰지 못하고 편지 말미에 덧붙이는 다 오르지 못한 계단이다. 꿈에 돋는 소름 같고 입에 돋는 혓바늘 같은 것이 시다. 물낯에 돋는 눈빛같이 미처 다스리지 못한 파문처럼 닿는 것이 詩다.
    詩 3연을 보면 나비의 두 날개라 했다. 책의 양면을 두 날개로 묘사한 것이다. 펼치면 뜻이 날아가는 것이고 빛을 보는 것이다. 두 날개를 하나로 접는 것은 마음을 이해한 것이 되며 이는 겹이 된다. 겹은 두 마음이 하나로 합친 것이다. 마음이 맞으면 결국 돌로 승화할 수 있다. 즉 시를 이해하였으니 시가 나오는 결과를 부른다.
    샛길 들목이라 했다. 들목은 들어가는 길목이다. 점방처럼 저무는 일이란 급한 것은 어느 정도 구할 수 있는 그런 가게쯤으로 시를 묘사한 것이다. 그러니까 시집은 어느 정도는 경전처럼 시인에게는 가방 같은 것이다. 봉인이란 밀봉한 자리에 도장을 찍은 것을 말하니, 시를 다 쓰고도 혹은 읽어도 그 뒤에 남는 노을이 있고 어둠이 있으면 지평선 목 메임이라 해도 좋겠다.
    여기서 지평선이라는 시어를 잠시 보자. 편지지를 지평선이라 해도 좋고 실지 지평선을 바라보는 시인을 생각해도 좋다. 하늘과 땅이 닿지는 않으나 닿은 것 같은 하지만 경계를 이루는 것이 지평선이다. 가까운 것 같아도 가깝지가 않고, 먼 것 같아도 절대 멀지 않은 남녀의 묘한 정을 이룬다. 부부가 이와 같다면 평생 해로 하지 않을까!
    낙엽이 받아낸 아침 서리가 소금처럼 피었다는 시구를 보자. 시를 쓰는데 이것만큼 경제적인 시구도 없지 싶다. 편지 한 장 쓰는 일도 낙엽 같고 낙엽처럼 어떤 가치를 부여하는 것도 아니지만, 소금처럼 애써 표현하는 것이므로 피었다는 말을 하는 게다. 소금처럼 애 써는 일도 그렇지만, 소금의 색상을 유심히 볼 필요가 있다. 하얗게 뜻을 피운 일이야말로 시다.
    이렇게 표현한 詩 한 편은 불선여정, 한 번 더 강조하여 불선여정이라 했다. 시는 남은 뜻을 끝내 다 베풀 수 없는 일이다.

    불기자심(不欺者心)이라는 말이 있다. 성철(性徹, 1912∼1993) 대종사께서 해인사 백련암에서 삼천 배를 수행한 불자들에게 좌우명으로 직접 써준 글이다. 이 뜻은 자기가 부처인 줄 모르고 자기를 속이는 것을 말한다. 물론 이는 성철 스님께서 불자에게 하신 말씀이시지만, 모든 중생에게도 깊이 새겨들어야 할 말이다. 시는 마음이다. 굳이 마음을 여러 비유를 들어 설명함에 속일 이유는 없으리라 본다. 마음을 온전히 적었다고 하지만 그 표현은 불선여정이라 그 여백까지 읽을 수 있다면 진정 시인이라 해도 되겠다.

===================================
    정끝별 1988년 ‘문학사상’에 시가, 1994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평론이 당선된 후 시 쓰기와 평론 활동을 병행해오고 있다.
    시집 ‘은는이가’ 13p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61건 3 페이지
내가 읽은 시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56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7 0 01-16
56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05 0 02-07
559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 0 09-02
558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 0 09-09
55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5 0 09-15
55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3 0 09-24
555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6 0 10-08
55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2 0 04-02
55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9 0 05-08
55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 0 05-27
55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4 0 09-07
55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25 0 06-09
549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53 0 12-10
548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5 0 12-22
54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99 0 12-31
54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90 0 01-09
545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80 0 01-17
54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27 0 01-26
54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78 0 02-03
54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77 0 02-11
54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89 0 02-19
54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6 0 02-25
539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7 0 03-01
538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53 0 03-07
열람중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1 0 05-07
53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1 0 05-21
535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9 0 05-31
53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5 0 06-20
53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22 0 10-03
53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42 0 08-15
53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75 0 09-02
53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63 0 09-24
529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43 0 10-21
528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29 0 10-30
52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95 0 11-13
52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59 0 11-23
525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96 0 11-29
52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28 0 12-07
52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53 0 12-16
52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47 0 12-23
52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41 0 12-30
52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85 0 01-08
519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48 0 01-16
518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59 0 02-08
51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 0 09-02
51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4 0 09-09
515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7 0 09-15
51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 0 09-25
51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 0 10-11
51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 0 04-02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