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의 입 / 김선태 > 내가 읽은 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내가 읽은 시

  • HOME
  • 문학가 산책
  • 내가 읽은 시

    (운영자 : 네오)

 

소개하고 싶은 시에 간단한 감상평이나 느낌을 함께 올리는 코너입니다 (작품명/시인)

가급적 문예지에 발표된 등단작가의 위주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자작시는 삼가바람) 

12편 이내 올려주시고, 특정인을 홍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씨의 입 / 김선태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1,797회 작성일 17-05-29 21:32

본문

씨의 입 / 김선태




    ‘씹’이라는 순 우리말이 있지요 / ‘씹(種)’와 ‘입(口)’을 합친 / ‘씨입’이 줄어서 된 이 말은 / ‘씨를 들이는 입’과 / ‘씨를 들이는 일’이라는 뜻을 / 함께 품고 있지요

    무슨 상스런 욕이나 / 음담에 쓰는 속된 말이 아니라 / 생명 탄생의 입구와 출구 / 생명 탄생의 행위가 들어 있으니 / 세상에 이처럼 성스러운 말이 / 또 어디 있을까요

    무릇 모든 생명 있는 것들은 / ‘씹’을 등지고 살 수 없습니다

    ‘씨’가 좋아야, ‘씹’을 잘해야 / 건강한 싹을 틔우고 / 힘차게 가지를 뻗고 / 튼실한 열매를 맺을 수 있지요

    그렇게 생각하면, / ‘씹할 놈’은 결코 욕이 아닙니다 / 오히려 ‘씹 못 할 놈’이야말로 / 가장 서럽고 치명적인 욕이지요

    ‘씹’이라는 이 한마디 속에 / 세계의 존폐가 달려 있습니다



鵲巢感想文
    詩人 김선태 선생의 시집 ‘그늘의 깊이’를 읽었다. 이 시집에 두 번째 단락은 모두 선정적이라 하기에도 그렇고 그렇다고 관능미 흐르는 글이라 얘기하기도 그렇다. 시제 ‘섬의 리비도 3’ 부제목이 ‘대바구’인데 이 말뜻은 ‘대신 박아주는 놈’이라 시인은 정의한다.
    물론 詩人이 말하기에 앞서 우리의 어느 섬에 남아 있는 희한한 혼인풍습이다. 섬 남정네들은 바다가 삶의 터전이자 무덤이라, 그야말로 인생재해, 인명재해이니 섬에 떼과부가 많을 수밖에 없어 청상과부로 수절해야 한다면 잔인한 처사라는 말이다.
    그러므로 성적 욕망을 주신 하느님의 뜻을 거스르는 일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섬에 남은 남편은 이를 짠하게 여겨 과붓집에 몰래 스며들 수 있다는 얘기다. 물론 거저 들어가는 것은 아니겠다. 여러 가지 주고받는 것도 있어 시평에 다 옮겨 담을 수 없는 일이다. 저 뒤쪽에는 이에 보태기라도 하듯 시 한 편을 또 남겼다.
    시제 ‘씨의 입’도 시인은 어떤 정황과 풀이를 그럴싸하게 한 듯하지만, 실은 맞는 말이다. 씨의 입은 ‘씹’만 그럴 것도 아니라 ‘詩’ 또한 씨의 입이며 조금 저속할지는 모르지만, 씹이다. 이 씹은 순우리말이라 저속하게 여길 필요도 없다. 이 단어를 저속한 의미로 쓰는 사람이 문제지, 거저 의미를 두고 읽거나 자연스러운 표현으로 사용한다면 어찌 씹이 욕으로만 보일까 말이다.
    이 씹은 생명 탄생의 입구와 출구, 생명 탄생의 행위가 들어 있다. 필자는 이 구절이 참 좋게 읽었다. 오로지 생명 탄생의 행위이자 입구와 출구로만 여긴다면, 사회의 웬만한 문란한 사건·사고는 줄지 않을까 싶다. 사회는 그렇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우리의 몸은 하나의 씨다. 근본적으로 ‘씨’가 좋아야 건강한 시를 생산할 수 있으며 이 생산적 활동은 역시 ‘씹’이다. 씹이란 행위를 강조하는 말이다. 어쩌면 씹는다는 말의 그 어근이다.
    시를 쓰는 행위는 시인이 말했던 거와 마찬가지로 ‘씹할 놈’이며 더 나가 언어 구사 능력을 키우고 보태며 자기표현을 더 값지게 한다. 그러니까 이는 결코 욕이 아니다. 오히려 ‘씹 못 할 놈’이야말로 가장 서럽고 치명적인 욕이라 시인은 단정한다.
    예전에 모 선생을 만났다. 중년 나이쯤 되면 단체와 협회 등 여러 모임을 가지며 활동한다. 어느 지인으로부터 문자를 받아도 답변 하나 보내지 못한 선생이었다. 왜 답장하지 않느냐고 물었더니, 혹여나 오타나 의미가 잘못 전달할 것 같아 아예 보내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니까 이는 ‘씹 못 할 놈’이다. 시인이 말한 서럽고 치명적인 욕이지만, 이는 응변 능력이 없음을 얘기한다. 
    발 없는 말이 천 리 간다는 말이 있지만, 말 한마디 천 냥 빚 갚는다는 말도 있다. 우리가 사용하는 말, 씨를 잘 가려서 해야겠다. 속담과 격언은 말의 씨다. 비단 대단 곱다 해도 말같이 고운 것은 없다는 말, 비단이 아무리 곱다 해도 아름다운 마음씨에서 우러나오는 말처럼 고운 것은 없다는 뜻이다. 말 잘하기에 앞서 근본 그릇이 되어야겠다.
    이것으로 詩人 김선태 선생의 詩集 ‘그늘의 깊이’를 책거리한다.

===================================
    김선태 전남 강진에서 태어나 1993년 광주일보 신춘문예와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 ‘그늘의 깊이’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170건 27 페이지
내가 읽은 시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2870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69 0 06-17
2869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8 0 05-23
2868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26 0 03-11
286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96 0 05-23
286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86 0 05-23
2865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39 0 05-24
286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28 0 05-24
286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88 0 05-25
2862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2 0 05-25
286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62 0 05-25
286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88 0 05-26
2859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4 0 05-26
2858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9 0 05-27
285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61 0 05-27
285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7 0 05-27
2855 김태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77 0 05-28
285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87 0 05-28
2853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1 0 05-29
2852 이면수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98 0 05-29
2851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41 0 05-29
285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32 0 05-29
열람중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98 0 05-29
2848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50 0 05-31
2847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92 0 05-30
2846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33 0 05-31
2845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9 0 05-31
2844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1 0 06-22
284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26 0 06-01
2842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90 0 06-02
284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49 0 06-02
284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60 0 06-03
2839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41 0 06-04
2838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55 0 05-05
283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82 0 06-05
2836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6 0 06-06
2835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61 0 06-06
2834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27 0 06-08
2833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9 0 06-10
283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92 0 06-10
283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23 0 06-10
283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9 0 06-11
2829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0 0 06-12
2828 활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92 0 06-13
2827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93 0 06-14
282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79 0 06-14
2825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22 0 06-14
2824 안희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40 0 10-17
282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95 0 06-15
282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1 0 06-19
2821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37 0 06-16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