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의 싱크홀 / 김종태 > 내가 읽은 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내가 읽은 시

  • HOME
  • 문학가 산책
  • 내가 읽은 시

    (운영자 : 네오)

 

소개하고 싶은 시에 간단한 감상평이나 느낌을 함께 올리는 코너입니다 (작품명/시인)

가급적 문예지에 발표된 등단작가의 위주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자작시는 삼가바람) 

12편 이내 올려주시고, 특정인을 홍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새벽의 싱크홀 / 김종태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761회 작성일 18-09-24 00:36

본문

새벽의 싱크홀 / 김종태

 

 

 

 

     움푹 파인 그림자 속으로 가녀린 소리들이 웅얼거린다

     성에 낀 유리창에 실금이 번져가는 소리 같고

     첼로의 기러기발이 저절로 떨리는 소리 같고

     먼 길 떠난 아버지 흙 묻은 등산지팡이 소리 같고

     노점의 접이식 가판대 등불 내리는 소리와 같다

     주저 없이 더 먼데로 떠나간, 술에 취한 애인들

     그들이 다시 이 골목으로 돌아오진 않겠지만

     아무 음역으로라도 지난 시절 밀어를 내뱉고 싶다

     밤새들이 지나가는 하늘의 길이 만든 검은 성호는

     태반으로 돌아갈 길들이 이 웅덩이에 있다는 뜻 같다

     환상지를 앓는 아스팔트가 기지개 켜는 새벽의 부도심

     집을 찾아가는 사람들 발걸음이 군장을 멘 듯한데

     시절 제각각의 유행가들 섞이는 여명은 아련하다

     작고 긴 짐승의 목구멍 속에 들어간 나무의 혀를

     핥아대는 모래바람은 첫 여자를 대하듯 버스를 기다린다

     구멍에서 자란 공기 방울들이 그 아픈 심장을 만지작거린다

     저 구멍 속은 나 아닌 것들의 눈빛으로 가득 차 있다

     저 구멍 속은 부끄러운 기억들로 부풀어 오른다

     저 구멍 속에는 살아서 볼 수 없는 언어의 유적이 있다

 

 

 

鵲巢感想文

     詩를 쓰는 사람은 마음이 아픈 사람들이다. 시를 쓰는 사람은 고독하다. 세상과 벽을 두고 헤쳐 나가야 할 일을 못내 꺾고 가녀린 소리로 울부짖는 그림자다. 창에 낀 유리창에 실금이 번져가는 소리처럼 냉혹한 자기 성찰뿐이며 첼로의 기러기발이 저절로 떨리는 소리처럼 운까지 따라 먼 길 떠난 아버지 흙 묻은 등산지팡이 소리처럼 투박할지라도 먼저 나서는 길라잡이며 노점의 접이식 가판대 등불 내리는 소리와 같이 하루 마감하며 걷는 책임감이다.

     주저 없이 더 먼 데로 떠나간, 술에 취한 애인처럼 삶은 지나갔다. 지나간 생은 다시 이 어두운 골목으로 돌아오진 않겠지만, 아무 음역으로라도 밀어처럼 내뱉고 싶은 것이 시인의 마음이다.

     보라! 밤새들이 지나간 저 하늘 길 말이다. 검은 성호는 태반으로 돌아갈 길들이 이 웅덩이에 있다는 뜻과 같다. 밤새는 시인을 제유한 시어다. 그러면 검은 성호는 시가 되며 웅덩이는 또 다른 표현이겠다.

     환상지를 앓는 아스팔트가 기지개 켜는 새벽의 부도심, 아스팔트의 색감과 형태를 유심히 보아야겠다. 새벽의 부도심에 시인은 마음을 볼 수 있으며 그 길은 환상지처럼 몽롱함에 젖다가 결국 집을 찾아 나서는 군홧발과 같다. 치열한 시 쓰기다.

     시절 제각각의 유행가들 섞이는 여명은 아련하다. 엊그제 들었던 것 같은 방탄의 노랫말도 다시 들으면 아주 오랜 시간인 듯 한데 십 년 단위로 넘어가는 옛 가삿말은 아득하다.

     버스를 기다리며 버스와 같은 글귀를 맺는 일은 아무래도 첫 여자를 대하듯 두근거림과 서툰 글발뿐, 무미건조한 언어의 세계에 달관에 이르는 일은 그리 쉽지가 않았다.

     구멍()을 보면 나 아닌 것들의 눈빛만 가득하고 구멍을 보면 부끄러운 기억들이 부풀어 오른다. 구멍을 보면 살아서 볼 수 없는 언어의 유적만이 있을 뿐이다.

 

     一別湖山兩宿春

     出門牢落少遭逢

 

     조선 말기 시인 이학원의 가락이다. 이건창과 김윤식과 시를 주고받았다. 관직에는 진출하진 못했으나 그의 글귀가 마치 시인과 구멍을 보는 듯해서 넣어보았다. 고향산천 떠난 뒤 봄을 두 번이나 보냈건만 문 나서면 쓸쓸하고 만날 사람은 거의 없다. 시인은 글귀가 고향이다. 잠시 떠도는 영혼을 안착할 수 있으니 고향과 다름없겠다.

     명절 한가위를 맞는다. 湖山只一春 出門客多逢이다. 손수 지었다만, 뜻이 바른지는 모르겠다.

=============================

     김종태 경북 김천 출생 1998년 현대시학 등단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170건 56 페이지
내가 읽은 시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142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55 0 10-19
1419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26 0 10-18
1418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6 0 10-17
1417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72 0 10-17
141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76 0 10-17
1415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0 10-15
1414 金離律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45 0 10-15
1413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13 0 10-14
1412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26 0 10-11
141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75 0 10-10
141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20 0 10-08
1409 金離律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60 0 10-08
1408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65 0 10-08
1407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63 0 10-05
140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78 0 10-03
1405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55 0 10-03
140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29 0 10-02
1403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2 0 10-02
140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78 0 10-01
1401 金離律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0 10-01
1400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97 0 09-30
1399 金離律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40 0 09-27
1398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28 0 09-27
139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94 0 09-26
139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0 09-25
1395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09 0 09-24
열람중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62 0 09-24
139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4 0 09-22
1392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0 09-20
139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51 0 09-18
1390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58 0 09-18
1389
추석/ 유용주 댓글+ 1
金離律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95 0 09-17
1388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41 0 09-17
1387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46 0 09-17
1386 강북수유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61 0 09-15
1385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73 0 09-14
138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90 0 09-13
1383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5 0 09-13
138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09 0 09-12
138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88 0 09-11
1380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41 0 09-11
1379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69 0 09-10
1378 金離律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40 0 09-10
1377 강북수유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58 0 09-10
1376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89 0 09-09
1375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81 0 09-09
1374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88 0 09-08
1373 湖巖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5 0 09-07
1372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53 0 09-06
1371 鵲巢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57 0 09-06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