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답시 / 정성수 > 내가 읽은 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내가 읽은 시

  • HOME
  • 문학가 산책
  • 내가 읽은 시

    (운영자 : 네오)

 

소개하고 싶은 시에 간단한 감상평이나 느낌을 함께 올리는 코너입니다 (작품명/시인)

가급적 문예지에 발표된 등단작가의 위주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자작시는 삼가바람) 

12편 이내 올려주시고, 특정인을 홍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화답시 / 정성수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친정아바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972회 작성일 20-06-17 01:06

본문

 

■ 화답시에 대하여


-정성수鄭城守-

 

   화답시和答詩는 한 사람이 지은 시에 응하여 대답하는 시로 응대시라고도 한다. 상대방을 전제로 쓴 화답시는 상대는 물론 다른 사람과 공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시적 상상력을 전개하기 때문에 감흥이 크다. 뿐만 아니라 시와 관련된 일화 또는 사연이 숨겨져 있는 경우가 많아 구체적 맥락을 고려하여 읽어야 한다. 이때 서사적 상상력과 대화적 상상력을 자극하여 좋은 교육적 자료가 되기도 한다.

   화답시는 문헌상 정설로 남은 것은 없다. 다만 널리 알려진 우리나라 최초의 화답시는 고려 말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아들인 이방원李芳遠의 ‘하여가何如歌’에 응한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단심가丹心歌’라고 한다.

 

▶ 이방원의 '하여가'

 

如此亦如何여차역여하 / 이런들 또 어떠리

如彼亦如何역피역여하 / 저런들 또 어떠하리

城隍堂後垣성황당후원 / 성황당 뒷담이

頹落亦何如퇴락역하여 / 무너진들 또 어떠리

吾輩若此爲[오배약차위 / 우리들도 이같이 하여

不死亦何如[불사역하여 / 죽지 않은들 어떠하리

 

<현대어 풀이>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혀 백 년까지 누리리라

 

▶ 정몽주의 '단심가'

 

此身死了死了차신사료사료 / 이 몸이 죽고죽어

一百番更死了일백번경사료 / 일백번 고쳐죽어

白骨爲塵土백골위진토 / 백골이 진토되어

魂魄有也無혼백유야무 / 넋이라도 있고 없고

向主一片丹心향주일편단심 / 임향한 일편단심

寧有改理與之영유개리여지 / 가실줄이 있으랴

 

<현대어 풀이>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염려시>

 

· 아래 시조는 정몽주 어머니의 시조로 자식을 염려하는 시다

 

.까마귀 싸우는 골에 백로야 가지마라

성낸 가마귀 흰 빛을 세오나니

창파에 씻은몸을 더러힐까 하노

 

☆ 참고

 

  · 이 시조는 포은 정몽주가 정적이었던 이성계를 문병 가던 날, 팔순의 노모가 간밤의 꿈이 흉하니 가지 말라고 문밖까지 따라 나와 아들을 말리며 불렀다는 노래다. 정몽주는 노모의 말을 듣지 않고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선죽교에서 이방원이 보낸 자객 조영규에게 피살되었다. 정몽주의 노모가 타계한 후, 선죽교 옆에 노모의 비석을 세웠는데 그 비석은 항상 물기에 젖어 있었다고 한다.

  다만 정몽주(1337~1392)의 어머니는 이방원(1367~1422)이 태어나기도 전에 돌아 가셨다고 한다. 가곡원류歌曲源流(1876년 고종13 박효관朴孝寬과 안민영安玟英이 편찬한 필사본 1권 1책의 가집歌集)를 엮을 때 착오가 있었던 것 같고 내용이 딱 맞아 떨어지다 보니 의심하지 않고 사람들이 받아 들이지 않았나 생각된다. 후세인들은 이 시조를 백로가白鷺歌라 하며 정몽주鄭夢周의 어머니가 지었다는 것이 통설이다. 경기도 용인시 모현면 능원리 118번지 정몽주의 묘소로 올라가는 길에 이 시비가 있다.

  가곡원류歌曲源流에는 정몽주 어머니 이씨李氏가 지은 것이라고 적혀 있고, 이희령李希齡의 약파만록藥坡漫錄(조선 후기 학자 약파藥坡 이희령李希齡이 우리나라 역대의 사실을 정사正史와 야사野史에서 모아 편집한 역사서)에 이와 비슷한 내용의 한역이 있어 연산군 때의 가객歌客 김정구金鼎九의 작품이라 하여 그 한역시漢譯詩가 실려 있는 것이 발견되어 작자에 대해서는 이설이 있다.

 

   기록에 남은 것은 송강松江 정철鄭澈과 기생 진옥眞玉(조선 선조때 평안북도 강계江界의 기녀)이 주고받은 원시와 화답시가 근화악부槿花樂府에 수록되어있다.

 

▶ 송강의 원시

 

옥(玉)이 玉이라커늘 번옥(燔玉)만 여겼더니

이제야 보아하니 진옥(眞玉)일시 적실하다

내게 살송곳 있으니 뚫어볼까 하노라.

 

▶ 진옥의 화답시

 

철(鐵)이 철이라커늘 섭철만 여겼더니

이제야 보아 하니 정철(正鐵)일시 분명하다

내게 골풀무 있으니 녹여 볼까 하노라

 

그 외

 

▷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의 원시

 

마음이 어린 후이니 하는 일이 다 어리다

만중 운산(萬重雲山)에 어느 님 오리마는

지는 잎 부는 바람에 행여 긘가 하노라

 

▷ 기생妓生 황진이黃眞伊의 화답시

 

내 언제 무신(無信)하여 님을 언제 속였관데

월침 삼경(月沈三更)에 올 뜻이 전혀 없네

추풍(秋風)에 지는 잎 소리야 낸들 어이 하리오

 

 

현대에는 조지훈의 완화삼玩花衫에 박목월이 나그네로 화답한 화답시가 있다.

 

▷ 조지훈의 완화삼 (원시)

 

차운산 바위위에 하늘은 멀어

산새가 구슬피 울음 운다

 

구름 흘러가는 물길은 칠 백리(七百里)

 

나그네 긴 소매 꽃잎에 젖어

술 익는 강마을의 저녁노을이여

 

이 밤 자면 저 마을에

꽃은 지리 라

 

다정하고 한 많음도 병인 양하여

달빛 아래 고요히 흔들리며 가노니

 

▷ 박목월의 나그네 (화답시)

 

강(江)나루 건너서

밀밭 길을

 

구름에 달 가듯이

가 는 나그네

 

길은 외줄기

남도(南道) 삼 백리(三百里)

 

술 익는 마을마 다

타는 저녁놀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그 외에도 백호白湖 임제林悌의 한우가寒雨歌에 기녀 한우寒雨의 화답시가 있다. 뿐만 아니라 현대 시인들 사이에 주고받은 원시와 화답시들이 많다.

 

☆☆☆☆☆☆☆☆☆☆☆☆☆☆☆☆☆☆☆☆☆☆☆☆☆☆☆☆

 

■ 정성수의 화답시 몇 편

 

<원시>

 

치마 / 문정희文貞姬

 


벌써 남자들은 그곳에

심상치 않은 것이 있음을 안다

치마 속에 확실히 무언가 있기는 있다

 

가만두면 사라지는 달을 감추고

뜨겁게 불어오는 회오리 같은 것

대리석 두 기둥으로 받쳐 든 신전에

어쩌면 신이 살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 은밀한 곳에서 일어나는

흥망의 비밀이 궁금하여

남자들은 평생 신전 주위를 맴도는 관광객이다

 

굳이 아니라면 신의 후손인지도 모른다

그래서 그들은 자꾸 족보를 확인하고

후계자를 만들려고 애를 쓴다

 

치마 속에 확실히 무언가 있다

여자들이 감춘 바다가 있을지도 모른다

 

참혹하게 아름다운 갯벌이 있고

꿈꾸는 조개들이 살고 있는 바다

 

한번 들어가면 영원히 죽는

허무한 동굴?

놀라운 것은

그 힘은 벗었을 때 더욱 눈부시다는 것이다.

 

<화답시>

 

팬티 / 임보

- 문정희의「치마」를 읽다가

 

그렇구나

여자들의 치마 속에 감춰진

대리석 기둥의 그 은밀한 신전

남자들은 황홀한 밀교의 광신들처럼

그 주변을 맴돌며 한평생 참배의 기회를 엿본다

 

여자들이 가꾸는 풍요한 갯벌의 궁전,

그 남성 금지구역에 함부로 들어갔다가 붙들리면

옷이 다 벗겨진 채 무릎이 꿇려

천 번의 경배를 해야만 한다

 

그러나, 그런 곤욕이 무슨 소용이리

때가 되면 목숨을 걸고 모천으로 기어오르는 연어들처럼

남자들도 그들이 태어났던 모천의 성지를 찾아

때가 되면 밤마다 깃발을 세우고 순교를 꿈꾼다

 

그러나, 여자들이여 상상해 보라

참배객이 끊긴

닫힌 신전의 문은 얼마나 적막한가!

 

그 깊고도 오묘한 문을 여는

신비의 열쇠를 남자들이 지녔다는 것이

얼마나 다행스런 일인가!

 

보라

그 소중한 열쇠를 혹 잃어버릴까 봐

단단히 감싸고 있는 저 탱탱한

남자들의 팬티를!

 

<중재시>

 

옳거니

-문정희의 치마와 임보의 팬티를 읽고-

 

정성수鄭城守

 

치마를 올릴 것인지? 바지를 내릴 것인지?

이것이 문제로다

그렇다

세상의 빨랫줄에서 바람에게 부대끼며 말라가는 것 또한

삼각 아니면 사각이다

 

삼각 속에는 *대리석 두 기둥으로 받쳐 든 신전이 있고

사각 속에는 *그 깊고도 오묘한 문을 여는 신비의 열쇠가 있다고

문정희와 임보가 음풍농월 주거니 받거니

진검 승부를 펼친다

 

옳거니

방패 없는 창이 어디 있고

창 없는 방패가 무슨 소용이리

치마와 바지가 만나 밤은 뜨겁고 세상은 환한 것을

 

‧ 참고 : * 문정희와 임보 시에서 차용

 

▶ 문정희 시를 원시, 임보의 시를 화답시 또는 응대시, 정성수의 시를 중재시라고 함

 

★★★★★★★★★★★★★★★★★★★★★★★★★

 

<원시>

 

“응” / 문정희文貞姬

 


햇살 가득한 대낮

지금 나하고 하고 싶어?

네가 물었을 때

꽃처럼 피어난

나의 문자

“응”

 

동그란 해로 너 내 위에 떠 있고

동그란 달로 나 네 아래 떠 있는

이 눈부신 언어의 체위

 

오직 심장으로

나란히 당도한

신의 방

 

너와 내가 만든

아름다운 완성

 

해와 달

지평선에 함께 떠 있는

땅 위에

제일 평화롭고

뜨거운 대답

“응”

 

<화답시>

-문정희의 시 ‘응’을 읽고-

 

응? 응!

 

-정성수鄭城守-

 

응?

엄지발가락으로 신호를 보내 올 때

귓바퀴에서 물음표가 되는

 

야구방망이를 앞세운 타자가 대쉬해 오는 공을 받아 칠 때

바람이 내는 소리 둥그런 소리

응?

 

응!

치마 밑에서 쇳물을 끓이는 밤

여자의 귀고리가 흔들릴 때 발정 난 암코양이가

담벼락을 긁는 소리

허리가 활처럼 휘어지는

응!

 

초저녁부터 굴렁쇠를 굴리며 보름달 속으로 들어가는

남자가 응?

여자가 응!

엎어졌다가 뒤집어졌다가 정신줄 혼미한

 

물 위에 뜬 보름달과 물속에 뜬 보름달이 수면에서 만나

장지문에 꽃 필 때 까지

응? 응!

 

★★★★★★★★★★★★★★★★★★★★★★★★★

 

<원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이상화李相和-

 


지금은 남의 땅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나는 온몸에 햇살을 받고,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입술을 다문 하늘아, 들아,

내 맘에는 나 혼자 온 것 같지를 않구나!

네가 끌었느냐, 누가 부르더냐. 답답워라. 말을 해 다오.

 

바람은 내 귀에 속삭이며,

한 자국도 섰지 마라, 옷자락을 흔들고,

종다리는 울타리 너머 아씨같이 구름 뒤에서 반갑다 웃네.

 

고맙게 잘 자란 보리밭아,

간밤 자정이 넘어 내리던 고운 비로

너는 삼단 같은 머리를 감았구나. 내 머리조차 가뿐하다.

 

혼자라도 가쁘게나 가자.

마른논을 안고 도는 착한 도랑이

젖먹이 달래는 노래를 하고, 제 혼자 어깨춤만 추고 가네

 

나비, 제비야 깝치지 마라.

맨드라미, 들마꽃에도 인사를 해야지.

아주까리기름을 바른 이가 지심 매던 그 들이라 다 보고 싶다.

 

내 손에 호미를 쥐어 다오.

살진 젖가슴과 같은 부드러운 이 흙을

발목이 시도록 밟아도 보고, 좋은 땀조차 흘리고 싶다.

강가에 나온 아이와 같이,

짬도 모르고 끝도 없이 닫는 내 혼아.

무엇을 찾느냐, 어디로 가느냐, 웃어웁다, 답을 하려무나.

 

나는 온몸에 풋내를 띠고,

푸른 웃음, 푸른 설움이 어우러진 사이로,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아마도 봄 신령이 지폈나 보다.

 

그러나 지금은 - 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화답시>

-이상화의 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를 읽고-

 

빼앗겼다고 주저앉자만 있어야겠는가

 

-정성수鄭城守-

 

울고만 있어야 하겠는가?

빼앗겼다고

주저앉아 하늘만 바라보고 있으면 누가 밥을 먹여주나

찾아와야지

전사같이 달려가서 장군처럼 찾아와야 합니다

 

들에 핀 풀꽃을 바라보며 강에는 시원한 바람을 띄워야지요

 

부드러운 흙을 발목이 시도록 밟아보고

땀 흘리는 기쁨을 혀끝이 아리도록

맛 봐야 합니다

고봉밥을 위하여 논을 갈고

눈보라를 생각하며 밭에 고구마를 심어야합니다

 

빼앗겼다고 포기하는 것은 모든 것을 잃는 것입니다

 

빈손은 가난이 아니라 고통입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뺏기 아니면 빼앗기기 입니다

 

빼앗겼다고 주저앉자만 있어야겠는가?

 

★★★★★★★★★★★★★★★★★★★★★★★★★

 

<원시>

 

굴비 / 오탁번吳鐸蕃

 

 

수수밭 김매던 계집이 솔개그늘에서 쉬고 있는데

마침 굴비 장수가 지나갔다

굴비 사려, 굴비! 아주머니, 굴비 사요

사고 싶어도 돈이 없어요

메기수염을 한 굴비 장수는

뙤약볕 들녘을 휘 둘러보았다

그거 한 번 하면 한 마리 주겠소

가난한 계집은 잠시 생각에 잠겼다

품 팔러 간 사내의 얼굴이 떠올랐다

저녁 밥상에 굴비 한 마리가 올랐다

웬 굴비여?

계집은 수수밭 고랑에서 굴비 잡은 이야기를 했다

사내는 굴비를 맛있게 먹고 나서 말했다

앞으로는 절대 하지마!

수수밭 이랑에는 수수 이삭 아직 패지도 않았지만

소쩍새가 목이 쉬는 새벽녘까지

사내와 계집은

풍년을 기원하며 수수방아를 찧었다

 

며칠 후 굴비 장수가 다시 마을에 나타났다

그날 저녁 밥상에 굴비 한 마리가 또 올랐다

또 웬 굴비여?

계집이 굴비를 발라주며 말했다

앞으로는 안 했어요

사내는 계집을 끌어안고 목이 메었다

개똥벌레들이 밤새도록

사랑의 등 깜박이며 날아다니고

베짱이들도 밤이슬 마시며 노래불렀다

 

<화답시>

 

앞과 뒤

-오탁번의 시 ‘굴비’를 읽고-

 

정성수鄭城守

 

김 여사가 한 번 떠 보겠다고 날밤을 새워

글을 쓴다

오늘 새벽에도

꽃벽돌 하나 쌓아보고 싶은 남편이

옆을 더듬자

가을걷이가 끝난 들판이었다

아침 밥상머리에 앉은 남편이

앞가림을 잘해

글 가르쳐 준다고 하는 그 작자 조심하라고

남자는 다 늑대야

걱정하지 마세요 그 분은 내 뒤를 봐주는 사람이에요

앞을 봐 주는 것보다

뒤를 봐 주는 게 더 무서운 것이라고

남편이 벌레 씹은 얼굴을 하자

김 여사는

앞은 검어도 뒤는 까마니까

겁낼 것이 없다고 대꾸를 한다

 

다음날 저녁이었다

남편이

내 말 명심했지

그럼요

뒤를 봐주는 그 분이 자기 아니면 안 된다고

봐 주던 끝이니

계속해서 봐 주겠대요

앞에는 주름이 없고 뒤에는 주름이 많아

앞가림을 잘하고 있으니까

염려 놓으세요

 

남편은 저녁상 앞에서 담배를 북북 빨아대고

김 여사는

자욕기에 앉아 뒤를 말리는 것이었다

 

★★★★★★★★★★★★★★★★★★★★★★★

 

<원시>

 

자화상 / 윤동주

 

 

산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 우물을 홀로 찾아가선 가만히 들여다봅니다.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습니다.

 

그리고 한 사나이가 있습니다.

어쩐지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가엾어집니다. 도로 가 들여다보니 사나이는 그대로 있습니다.

 

다시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그리워집니다.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고 추억처럼 사나이가 있습니다.

 

 

<화답시>

-윤동주의 시 ‘자화상’을 읽고-

 

신 나르키소스 新 Narkissos

 

-정성수鄭城守-

 

미소년이 나를 바라보고 있었다

우물 속에서

누구냐고 묻자 누구냐고 묻는다

겸연쩍게 웃자 미소년도 겸연쩍게 웃는다

오른손을 내밀었다

미소년은 왼손을 내미는 것이었다

왜 그래? 오른 손을 줘야지!

미소년도

왜 그래? 오른 손을 줘야지!

미워져 돌아섰다

몇 발자국 가다가

돌아와 우물 속을 들여다봤다

미소년이 미안한 얼굴로 바라보고 있었다

미안한 마음으로 나는

미소년을 만나고 싶어 우물문을 따고

우물 속으로 들어갔다

와락

안겨오는 미소년

열두 살 짧은 여름 밤의 꿈이었다

 

․ 나르키소스Narkissos :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미소년.

 

★★★★★★★★★★★★★★★★★★★★★★★

 

<원시>

 

바닷가 우체국 / 안도현

 

 

바다가 보이는 언덕 위에

우체국이 있다

나는 며칠 동안 그 마을에 머물면서

옛사랑이 살던 집을 두근거리며 쳐다보듯이

오래오래 우체국을 바라보았다

키 작은 측백나무 울타리에 둘러싸인 우체국은

문 앞에 붉은 우체통을 세워두고

하루 내내 흐린 눈을 비비거나 귓밥을 파기 일쑤였다

우체국이 한 마리 늙고 게으른 짐승처럼 보였으나

나는 곧 그 게으름을 이해할 수 있었다

내가 이곳에 오기 아주 오래 전부터

우체국은 아마

두 눈이 짓무르도록 수평선을 바라보았을 것이고

그리하여 귓속에 파도소리가 모래처럼 쌓였을 것이다

나는 세월에 대하여 말하자면 결코

세월을 큰 소리로 탓하지는 않으리라

한번은 엽서를 부치러 우체국에 갔다가

줄지어 소풍 가는 유치원 아이들을 만난 적이 있다

내 어린시절에 그랬던 것처럼

우체통이 빨갛게 달아오른 능금 같다고 생각하거나

편지를 받아 먹는 도깨비라고

생각하는 소년이 있을지도 모르는 일이었다

그러다가 소년의 코밑에 수염이 거뭇거뭇 돋을 때쯤이면

우체통에 대한 상상력은 끝나리라

부치지 못한 편지를

가슴속 주머니에 넣어두는 날도 있을 것이며

오지 않는 편지를 혼자 기다리는 날이 많아질 뿐

사랑은 열망의 반대쪽에 있는 그림자 같은 것

그런 생각을 하다 보면

삶이 때로 까닭도 없이 서러워진다

우체국에서 편지 한 장 써보지 않고

인생을 다 안다고 말하는 사람들을 또 길에서 만난다면

나는 편지봉투의 귀퉁이처럼 슬퍼질 것이다

바다가 문 닫을 시간이 되어 쓸쓸해지는 저물녘

퇴근을 서두르는 늙은 우체국장이 못마땅해할지라도

나는 바닷가 우체국에서

만년필로 잉크냄새 나는 편지를 쓰고 싶어진다

내가 나에게 보내는 긴 편지를 쓰는

소년이 되고 싶어진다

나는 이 세상에 살아남기 위해 사랑을 한 게 아니었다고

나는 사랑을 하기 위해 살았다고

그리하여 한 모금의 따뜻한 국물 같은 시를 그리워하였고

한 여자보다 한 여자와의 연애를 그리워하였고

그리고 맑고 차가운 술을 그리워하였다고

밤의 염전에서 소금 같은 별들이 쏟아지면

바닷가 우체국이 보이는 여관방 창문에서 나는

느리게 느리게 굴러가다가 머물러야 할 곳이 어디인가를 아는

우체부의 자전거를 생각하고

이 세상의 모든 길이

우체국을 향해 모였다가

다시 갈래갈래 흩어져 산골짜기로도 가는 것을 생각하고

길은 해변의 벼랑 끝에서 끊기는 게 아니라

훌쩍 먼 바다를 건너가기도 한다는 것을 생각한다

그리고 때로 외로울 때는

파도소리를 우표 속에 그려넣거나

수평선을 잡아당겼다가 놓았다가 하면서

나도 바닷가 우체국처럼 천천히 늙어갔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화답시>

-안도현의 시 ‘바닷가 우체국’을 읽고-

 

내 마음 속의 우체국

 

-정성수鄭城守-

 

건물들이 다닥다닥 붙은 큰길가에 우체국이 있다

요즘 우체통은 하루 종일

책상머리에 앉아서 볼펜을 돌리거나

긴 하품을 하는 것이 일과였다

 

어쩌다 한 사람씩 느린 걸음으로 와 우체국 안으로 들어간다

중년 여자는 정기예금 이자를 계산할 것이고

노인은 건강보험 신상품을 알아볼 것이다

그리하여 우체국은

잊었던 일들을 생각해 내고는 의자를 끌어당겨 앉기도 한다

나는 우체국의 슬픔을 말하지만

결코 우체국이 불행하다고는 말하지 않겠다

 

전에 아이들과 우체국에 현장체험학습을 간 일이 있었다

머리통이 굵은 아이 하나가 왜 우체통은 빨갛냐고 물어

귓불이 빨개지기도 하고

한 여학생은 귀찮게 우표를 붙일 것이 아니라

돈을 부치면 간단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해

여직원 앞에서 당황한 적이 있었다

사내아이들의 어깨에 힘이 들어가고 계집아이들의 가슴이 봉긋해 지면

그 질문들은 입을 가리고 웃을 것이다

 

밤새도록 편지를 쓰고 눈이 짓무르도록 답장을 기다리는 날은

괜히 사는 일이 시시해지고

까닭 없이 길을 떠나고 싶어진다

한 번도 우표 뒷퉁수에 침을 발라보지 않은 사람은 쓸쓸할 것이고

관 뚜껑이 닫히는 그날 까지

편지 한 장 받아보지 못한 사람들은 외로울 것이다

누군가 그립거나 눈물이 날 때

내가 나에게 편지를 쓰고 나에게서 받은 답장을 읽으면서

쓸쓸함과 외로움을 달래기도 한다

 

젊은 우체국장이 셔터를 내리면 수많은 차들은 라이트를 켠 채

어디론가 달려간다

나는 천천히 돌아오면서

잊었던 얼굴 하나를 불러 내 편지를 써야겠다고 다짐을 한다

 

․ 송천동 우체국 : 전주시 덕진구 송천동 소재

 

★★★★★★★★★★★★★★★★★★★★★★★

 

<원시>

 

선운사 동백꽃 / 김용택

 

 

여자에게 버림받고

살얼음 낀 선운사 도랑물을

맨발로 건너며

발이 아리는 시린 물에

이 악물고

그까짓 사랑 때문에

그까짓 여자 때문에

다시는 울지 말자

눈물을 감추다가

동백꽃 붉게 터지는

선운사 뒤안에 가서

엉엉 울었다

 

<화답시>

-김용택의 시 ‘선운사 동백꽃’을 읽고-

 

리턴 투 미 Return To Me

 

-정성수鄭城守-

 

한때는 와도 그만 가도 그만인 것이 사랑이라고 생각했다

그대가 떠난 후 그대의 등에 대고 노래를 불렀다

아름다운 저 바다와 그리운 그 빛난 햇빛

내 맘속에 잠시라도 떠날 때가 없도다

돌아오라 이곳을 잊지 말고

돌아오라 돌아 와

내 노래는 끝이 없었다

날 잊지 말아라 내 맘에 맺힌 그대여

나 항상 너를 고대 하노라

날 잊지 말아라 잊지 마

그대에게 버림받고 주저앉아

그까짓 사랑 때문에 울기는 왜 울어

내가 왜 우느냐고

골백번도 더 눈물을 훔치다가

돌아와 내 사랑 지금 너무 외로워

네게 상처를 줬다면

미안해 용서해

Return to me라고 수 없이 중얼거렸다

 

· Return To Me : 1958년 미국 가수 딘 마틴Dean Martin이 발표한 곡명이며 ‘돌아오라 쏘렌 토로’와 이탈리아 가곡 '나를 잊지 말아다오' 일부 인용

 

☆☆☆☆☆☆☆☆☆☆☆☆☆☆☆☆☆☆☆☆☆☆☆☆☆☆☆☆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163건 1 페이지
내가 읽은 시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공지 조경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54 1 07-07
4162 선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5 0 04-23
4161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5 0 04-18
4160 선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2 1 04-17
4159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 0 04-12
4158 선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4 0 04-07
4157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6 0 04-04
4156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8 0 03-29
4155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7 0 03-22
4154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 0 03-18
4153 선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2 0 03-15
4152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 0 03-14
4151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 0 03-08
4150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 0 03-03
4149 선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3 1 02-18
4148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9 0 02-16
4147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8 0 02-11
4146 선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4 1 02-04
4145 선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5 0 02-03
4144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 0 01-29
4143 선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5 3 01-28
4142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3 0 01-26
4141 너덜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68 0 01-25
4140 선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6 1 01-22
4139 선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3 2 01-20
4138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6 0 01-19
4137 김상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2 1 01-14
4136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9 0 01-08
4135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6 0 01-03
4134 콩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5 0 12-24
4133 콩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5 0 12-22
4132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6 0 12-21
4131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16 0 12-07
4130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6 0 12-03
4129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8 0 11-30
4128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4 0 11-23
4127 선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29 1 11-18
4126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8 0 11-17
4125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5 0 11-16
4124 김재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0 0 11-15
4123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8 0 11-15
4122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3 0 11-14
4121 선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6 1 11-11
4120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5 0 11-10
4119 김재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8 0 11-06
4118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0 0 11-03
4117 선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99 2 10-31
4116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3 2 10-28
4115 너덜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1 0 10-23
4114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07 0 10-19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