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집] 관리소장 / 이명우 > 신간 소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신간 소개

  • HOME
  • 문학가 산책
  • 신간 소개
(운영자 : 카피스)
 

☆ 제목옆에 작가명을 써 주세요 (예: 작은 위로 / 이해인)

[시집] 관리소장 / 이명우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시마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84회 작성일 25-02-26 14:11

본문




책 정보

책 정보

  • 카테고리
    시/에세이
  • 쪽수/무게/크기
    142쪽332g129*208*15mm
  • ISBN
    9791191897999

책 소개

내 급여는 작년과 똑같다

[관리소장]은 이명우 시인의 두 번째 신작 시집으로, 「지출명세서」 「관리소장」 「이티」 등 52편이 실려 있다.

이명우 시인은 경상북도 영양에서 태어났고, 2016년 [국제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시인으로 등단했다. 시집 [달동네 아코디언] [관리소장]을 썼다.

최근 인간이라는 범주와 영역에 대한 질문을 통해 그것을 벗어난 세계의 모습을 새롭게 재구성해 보기 위한 진지한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시노하라 마사타케는 이 같은 질문들에 대해 정리를 하면서 진실한 세계에 이르기 위한 중요한 단서로 모든 지나간 것들이 남긴 ‘흔적’을 강조한다. 살아 있는 모든 것들은 소멸의 운명을 피할 수 없지만, 그 과정에서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흔적을 남길 수밖에 없으며 바로 그 흔적이야말로 확실성의 유일한 표식이라는 것이다. 시 「각질의 힘」을 비롯해서 이명우 시인의 시집 [관리소장]을 통해 우리가 확인하고자 하는 것은 이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 수많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실제의 공간이지만 오히려 어떤 흔적도 허용하지 않는 도시의 ‘관리소장’으로 살아가는 시인이 역설적으로 이 같은 ‘흔적’에 주목하는 것은 결국 ‘도시인’이라는 존재의 조건들에 대한 질문과 마찬가지이다.
도시의 기능이 문제없이 돌아가도록 만들지만 정작 그 뒤에 가려져 있던 ‘관리소장’으로서 이명우 시인이 독자에게 전달하려는 핵심은 바로 도시가 거부한 것들의 흔적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직장인으로서의 그는 다른 사람들의 “욕설을 넙죽넙죽 받아들”이거나(「욕설의 한 연구」), “변덕이 심한 날씨”처럼 시시때때로 바뀌는 “상사의 지시 사항”을 말없이 따를 수밖에 없다(「변곡점」). 수직적인 구조와 계약으로 맺어진 종속 관계를 통해서만이 자본은 축적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같은 생활인의 삶 가운데에서도 그는 자신을 포함해 도시의 이면에 존재하는 것들에 끊임없이 시선을 보내고 있다. 그의 시선을 따라가다 보면 “중앙박물관”에 있는 유물들처럼 현실에서의 쓸모는 이미 멈춘 채 “사용하지 않는” 것들을 만나게 된다(「각자 나이를 먹지 않는다」). 역사적인 가치에도 불구하고 이 유물들은 현실에서라면 결국 도시가 지정해 둔 공간을 벗어날 수 없는 운명에 갇혀 있을 뿐이다. 시인은 바로 이와 같은 것들에 시선을 던짐으로써 그 안에 켜켜이 쌓여 있던 삶의 흔적들을 복원하고 있는 중이다. 쓸모를 다하고 버려진 것들에 새겨져 있는 흔적을 더듬어 가는 시인은 도시의 소음 뒤로 감추어진 “잃어버린 소리를 찾아다니”는 것 또한 자신의 운명으로 받아들인다(「잠복기」). 「누가 저렇게 많은 소리를 허공에 매달아 놓았던가」나 「공황장애」, 「물의 길」 등 시집 [관리소장]에서 ‘소리’에 주목하고 있는 시인의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이명우 시인을 따라 도시의 모습 뒤에 감추어진 흔적들을 따라가 보는 일이 매력적이라고는 할 수 없을 것 같다. 도시의 길을 따르며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그것은 무엇보다도 목표를 거부하며 에둘러 가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다만 그 흔적을 남기며 살아갔던 사람들의 작은 숨결까지 구체적으로 확인하게 되는 일만은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정해진 시간에는 이미 늦은 채, 도시의 길에서는 벗어난 채로 말이다. (이상 남승원 문학평론가의 해설 중에서)

출판사 서평

시인의 말

관념이 빠져나갔던 몸에서 새싹이 하나씩 자라고 있다.
그렇게 시를 쓰는 내 모습이 낯설다.

목차

시인의 말

제1부
하루가 백내장에 들 때 - 11
지출명세서 - 14
각자 나이를 먹지 않는다 - 16
혼술 - 18
직업 - 20
블랙홀 - 22
공간 놀이 - 24
풀린 상자들 - 26
욕설의 한 연구 - 28
누가 겨울 강에 지붕을 씌워 놓았나 - 30
고무장갑 - 32
변곡점 - 33
누가 저렇게 많은 소리를 허공에 매달아 놓았던가 - 36
눈치 - 38

제2부
관리소장 - 43
군침 도는 자서전 - 46
소문들 - 48
나비 - 50
착란 - 52
히터펌프 - 53
굽은 허리는 예의를 풀지 않을 때 - 56
백내장 - 58
이티 - 60
상속 - 62
낙서의 여정 - 64
장롱은 오래된 기억을 배당받지 않는다 - 66

제3부
노예 계약 - 71
카트의 힘 - 74
수술대기실 - 76
반사경 - 78
사과 - 80
각질의 힘 - 82
풍경의 소란 - 84
차단기가 내려갔다 - 86
연장 근무 - 88
악어 지갑을 샀다 - 90
가오리 - 92
가면 - 94

제4부
불면증 - 99
공황장애 - 102
밤손님 - 104
소리들 - 106
공시(共示)적인 기호 - 108
잠복기 - 110
수저통 - 112
물의 길 - 114
저 메뉴판이 나를 정리하고 있다 - 116
신령 모시기 - 118
공기 커튼 - 120
저울 - 122
허공의 주식(主食)은 소리다 - 124
씨족의 번식은 바람의 속도보다 빠르다 - 126

해설 남승원 허물어진 도시의 흔적들 - 127


 

추천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313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