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연애하는 법 23 - 안도현 > 문학 강좌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문학 강좌

  • HOME
  • 문학가 산책
  • 문학 강좌

(관리자 전용)

☞ 舊. 문학강좌

시와 연애하는 법 23 - 안도현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2,217회 작성일 15-12-01 09:49

본문

23. 시를 쓰지 말고 시적인 것을 써라



좋은 시란 어떤 시를 말하는 것일까? 이에 대한 답을 한마디로 정리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좋은 시란 이것이다, 라고 정의하는 순간, 모든 시는 그 낡은 기준에 갇혀버리는 나쁜 운명을 맞게 된다. 시가 늘 새로운 세계를 꿈꾸는 양식이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럼에도 (위험을 무릅쓰고) 좋은 시란 이것이다, 라고 감히 정리해본다면 어렴풋하게나마 다음과 같은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새로운 언어로 표현된 시. 둘째, 새로운 인식을 도출하는 시. 셋째, 새로운 감동을 주는 시. 여기에다 시인의 시작 태도가 공자의 말씀대로 ‘사무사’(思無邪) 바로 그것이라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시의 감동은 일차적으로 시인과 독자와의 교감, 즉 소통 위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소통이 이루어졌다고 해서 모든 시가 다 울림을 갖는 것은 아니다. 허망한 소통보다는 고독한 단절이 오히려 서로를 행복하게 할 때도 있으니까 말이다. 시를 보는 미학적 관점과 언어에 대한 경험이 자연스럽게 일치할 때 시적 감동은 증폭될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언어란 시인과 독자 사이에 놓인 가교인 동시에 보이지 않는 훼방꾼이기도 하다. 저 유서 깊은 ‘낯설게 하기’는 그 두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자 할 때 여전히 유효한 시적 방법이다. 독자를 편하게도 하고 불편하게도 하는 시, 이것인가 싶으면 저것인 시, 바른가 싶으면 이미 비뚤어져 있는 시….

좋은 시를 쓰고 싶다면 당신은 표현의 리얼리티 속에서 감동의 요소를 찾으려고 끙끙대는 일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일차적으로 당신은 가장 물기 많은 말, 가장 적합한 어휘를 행간에 배치하기 위해 헤매야 한다. 당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와 언어가 가장 이상적인 형태로 만날 때까지 찾고, 지우고, 넣고, 비틀고, 쥐어짜고, 흔들기를 마다하지 마라. 적어도 당신 하나쯤은 감동시킬 때까지 언어하고 치고 받고 싸워라. 완벽한 세계관과 정돈된 문학적 관점이 훌륭한 시를 생산하는 것이 아니다. 시인은 자신의 언어와 사투를 벌이는 동안 하나씩 껍데기를 벗고 성장하는 존재이다.


〈텍스트를 시가 되게 하는 건 그 안에 있는 어떤 ‘시적인 것’〉


황지우는 ‘시’를 쓰지 말고 ‘시적인 것’을 찾아 쓰겠다고 말한 적 있다. “어떤 텍스트를 얻은 문장을 시가 되게 만드는 것은 그 안에 있는 어떤 시적인 것”(<사람과 사람 사이의 신호>, 한마당) 때문이라고. 이 말은 이미 ‘시’로 규정된 모든 규격화된 정의에 대한 부정을 통해 자신과 시를 갱신해 나가겠다는 선언과도 같다. 그러므로 ‘시적인 것’은 딱히 정의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 시인에게 모험과 도전을 요구하는 지침으로 이해해야 한다. ‘시적인 것’은 살아서 꿈틀거리는, 손에 잡는 순간 또 달아나버리는 유기체와도 같은 것이다. 이것을 일찍이 간파한 고은 시인은 “시는 심장의 뉴스다”라고 멋들어진 화두를 토하기도 했다.

중국 송대의 시인 강기는 그의 시론집 <백석도인서설>에서 시에는 네 종류의 높은 경지가 있다고 했다. 첫째는 이치가 높은 경지요, 둘째는 뜻이 높은 경지요, 셋째는 상상력이 높은 경지요, 넷째는 자연스러움이 높은 경지다. ‘시적인 것’을 탐구하는 우리에게 꽤 유익한 사색을 제공해주는 시론이다.
그는 먼저 “막혀 있는 듯하나 실제로는 통하는 것을 이치가 높은 경지”라고 말했다. 여기에서 이치란 인간의 도리와 자연의 섭리를 두루 포괄하는 개념이다. 정경융합(情景融合)을 중요한 시의 가치로 여긴 동아시아의 시학과 동일성의 미학을 강조한 서양의 시학이 모두 이런 경지를 향한 시적 모색이라 할 수 있겠다.


천둥번개 지나간 곡우날 아침,
때아닌 우박과 꽃잎 사이

들숨과 날숨
부딪쳐 살아 오르며
낯선 우박이 자기를 녹여 꽃잎을 깨우네
낯선 꽃잎이 자기를 찢어 우박을 맞네

잘못 든 길을 알아차리고도
설레설레 봄꽃은 번지네


이안의 <숨길 1>이다. 우박은 꽃잎을 찢는 공격적 주체가 아니고, 꽃잎은 우박에 찢어지는 소극적 객체도 아니다. 엄연한 자연의 질서 앞에 주체와 객체의 구분은 무의미하다. 우박은 꽃잎을 깨우고 꽃잎은 우박을 맞이할 뿐이다. 낯선 우박과 꽃잎 사이의 작지만 소중한 소통의 숨길이 우주 전체의 봄을 불러온다는 이치를 말하고 있는 시다. 이때 이 시를 읽는 독자의 마음속으로도 분명 “설레설레” 봄의 기운이 스며들 것이다.


〈내 자신의 언어 만날 때까지 찾고 넣고 비틀고 흔들어라〉


두 번째로는 “표현해낸 것이 표면적인 의미를 초월하게 되는 것을 뜻이 높은 경지”라고 했다. 문태준의 짧은 시 한 편(<황새의 멈추어진 발걸음>)을 보자.


무논에 써레가 지나간 다음 흙물이 제 몸을 가라앉히는 동안
그는 한 생각이 일었다 사라지는 풍경을 본다
한 획 필체로 우레와 침묵 사이에 그는 있다


표면적으로는 써레질이 끝난 뒤 흙물이 가라앉는 모습이 시의 소재가 되고 있다. 흙물이 그저 가라앉는 게 아니라 “제 몸을 가라앉히는 동안”이라고 말하는 것도 범상하지 않지만, 그것을 “생각이 일었다 사라지는 풍경”으로 확장하는 상상력은 놀랍다. 그리하여 “우레와 침묵 사이에” 있는 존재의 고독과 무상함을 드러내기에 이른다. 여기에서 황새는 단순한 조류가 아니라 드높은 정신주의의 한 표상으로 읽힌다.(‘써레’와 ‘우레’라는 유사한 음성기호가 동일한 의미로 나란히 서 있는 언어유희도 볼만하다.)

세 번째로 “깊어 분명하지 않은 것을, 마치 연못이 맑아 밑바닥이 다 보이듯이 훤하고 분명하게 써내는 것을 상상력이 높은 경지”라고 했다. 나희덕의 시 <누에>를 보자. 두 딸과 꼽추인 어미 사이에 이어진 보이지 않는 실을 이토록 선명하고 감동적으로 부조한 것은 시인의 상상력이다. 그 실은 급기야 모녀를 바라보는 화자에게까지 연결되고, 독자의 가슴을 뭉클하게 하는 것이다.


세 자매가 손을 잡고 걸어온다

이제 보니 자매가 아니다
꼽추인 어미를 가운데 두고
두 딸은 키가 훌쩍 크다
어미는 얼마나 작은지 누에 같다
제 몸의 이천 배나 되는 실을
뽑아낸다는 누에
저 등에 짊어진 혹에서
비단실 두 가닥 풀려 나온 걸까
비단실 두 가닥이
이제 빈 누에고치를 감싸고 있다

그 비단실에
내 몸도 휘감겨 따라가면서
나는 만삭의 배를 가만히 쓸어안는다


이처럼 보이지 않는 것을 눈에 보이도록 만드는 사람이 시인이다. 다음은 김종삼의 <장편(掌篇)·2>인데, 이 시에서도 우리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연결된 실을 본다.



조선총독부가 있을 때
청계천변 10전 균일 상밥집 문턱엔
거지소녀가 거지장님 어버이를
이끌고 와 서 있었다
주인 영감이 소리를 질렀으나
태연하였다
어린 소녀는 어버이의 생일이라고
10전짜리 두 개를 보였다


일제 때 10전의 가치가 어느 정도인지는 모르겠으나 밥 한 상에 10전이라니 그리 많지는 않은 액수였을 것이다. 분명 구걸로 얻게 되었을 10전짜리 두 개를 부모의 생일 밥값으로 당당하게, 그러나 가련하게 내미는 어린 소녀의 손목이 보일 듯하다. 그 눈망울도 보일 듯하다. 이렇게 서럽도록 아름다운 시를 읽다가 보면 사랑이니 효도니 인정이니 하는 말들이 얼마나 낡고 뻔뻔한 소리인지 깨닫게 된다. “특이하지도 않고 기이하지도 않으면서 문채를 벗어 떨치고, 그것이 오묘하다는 것만을 느낄 뿐 그 오묘하게 되는 까닭을 알 수 없는 것을 자연스러움이 높은 경지”라고 하는 것이다.

다시 묻자. 시인이란 어떤 사람을 말하는 것일까? “시적이라는 말을 배반하는 방식을 통해 시적이라는 말을 진화시킬 수는 없을까”(이원, <시와 세계> 2007년 가을호)를 고민하는 사람이 시인이 아닐까?


안도현 (시인, 우석대 문예창작학과 교수)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33건 4 페이지
문학 강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83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60 1 08-31
8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54 0 10-06
8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50 2 08-26
80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39 0 10-08
79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33 2 07-28
78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32 0 12-16
77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31 0 12-28
76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26 0 10-28
75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20 1 07-06
74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20 0 10-30
73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5 1 09-08
7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1 1 08-07
7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9 0 07-06
70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6 2 08-18
69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 0 12-31
68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98 1 08-21
67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97 0 01-04
66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96 0 12-18
65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94 0 11-25
64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93 1 08-21
63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91 0 11-26
6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84 0 12-21
6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81 1 08-07
60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70 0 10-29
59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68 1 09-03
58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66 0 11-05
57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65 0 10-08
56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63 1 09-15
55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62 1 08-13
54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61 0 10-08
53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60 1 09-04
5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59 1 07-22
5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58 0 10-19
50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51 1 08-04
49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49 1 08-13
48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45 0 12-23
47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41 1 09-04
46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38 1 08-03
45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35 0 12-02
44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35 0 12-14
43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31 1 09-04
4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29 1 09-11
4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23 1 09-10
열람중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8 0 12-01
39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9 0 10-26
38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91 0 11-04
37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89 1 09-09
36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88 0 11-20
35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87 0 11-17
34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85 0 01-05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