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적 상상력을 구사하는 방법 1 - 고재종 > 문학 강좌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문학 강좌

  • HOME
  • 문학가 산책
  • 문학 강좌

(관리자 전용)

☞ 舊. 문학강좌

시적 상상력을 구사하는 방법 1 - 고재종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2,389회 작성일 15-09-03 09:06

본문

시적 상상력을 구사하는 방법

고재종


범속한 사물과 일상 속에서 생의 의미를 들여다보고자 갈망하는 이들이야말로 시인이다. 그들은 이 겨울 산야에서도 상고대며 설화며 인동초며 동백꽃 등 갖가지 꽃들이 風光 속에서 눈부시게 명멸하는 모습을 보면서도 가만히 시를 기원한다. 세상의 외진 한 귀퉁이를 여리게나마 밝히는 등불 같은 시도 기원한다. 그것들은 시인의 삶의 절절한 체험 속에서만 탄생한다. 그러나 아무리 절절한 삶의 체험이라도 그것이 상상력을 통한 시적 체험으로 올라서지 않는 한 우리는 그러한 시들에서 삶의 의미와 꿈은커녕 일상의 지루한 설명만 듣게 되는 것이다.
우선 다음 상상력의 기본을 잘 구사한 시 두 편을 보자.

(0) 재로 지어진 옷 - 나희덕

흰나비가 소매도 걷지 않고
봄비를 건너간다
비를 맞으며 맞지 않으며

그 고요한 날갯짓 속에는
보이지 않는 격렬함이 깃들어 있어
날개를 둘러싼 고운 가루가
천 배나 무거운 빗방울을 튕겨내고 있는 것이다
모든 날개는 몸을 태우고 남은 재이니

제 마음 몇 배의 돌덩이를 굴려 올리면서도
걸음이 가볍고 가벼운 저 사람
슬픔을 물리치는 힘 고요해
봄비 건너는 나비처럼 고요해

비를 건너가면서 마른 발자국을 남기는
그는 남몰래 가졌을까
옷 한 벌, 흰 재로 지어진

흰 재로 지어진 옷 한 벌을 남몰래 가진 사람은 비를 건너가면서도 마른 발자국을 남긴다. 소매도 걷지 않고 봄비를 건너가는 나비의 고요한 날갯짓 속에는 사실 얼마나 격렬한 삶의 욕망이 있겠는가. 그럼에도 날개를 둘러싼 고운 가루가 천배나 무거운 빗방울을 퉁겨내면서 비를 맞으며 비를 맞지 않으며 가는 나비! 그 나비는 제 마음 몇 배의 돌을 굴리면서도 걸음이 가볍고 가벼운 사람과 같다. 봄비 건너는 나비처럼 무거운 슬픔을 물리치는 힘도 고요히 간직한 사람이다. 한데 그것이 어떻게 가능할까. 모든 날개는 몸을 태우고 남은 재인 것처럼 그 사람도 이미 흰 재로 지어진 옷 한 벌을 남몰래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결국 재 혹은 흰 재인데, 이건 삶의 허무나 혹은 어떤 큰 지혜를 가르키는 바, 그런 걸 소유한 사람은 역시 남보다 몇 배의 무거운 돌멩이를 굴리면서도 나비처럼 고요하고 가볍게 한 세상을 건널 수 있지 않겠는가. 참으로 빗속의 나비날개와 흰 재와 그것을 무욕의 사람과 연결시키는 상상력이 놀라울 뿐이다.

(0) 채와 북 사이, 동백 진다 - 문인수

지리산 앉고
섬진강은 참 긴 소리다.

저녁노을 시뻘건 것 물에 씻고 나서

저 달, 소리북 하나도 중천 높이 걸린다.
산이 무겁게, 발원의 사내가 다시 어둑어둑
고쳐 눌러앉는다.

이 미친 향기의 북채는 어디 숨어 춤추나

매화 폭발 자욱한 그 아래를 봐라

뚝, 뚝, 뚝 듣는 동백의 대가리들.
선혈의 천둥
난타가 지나간다.

이 시는 강가에서 북을 치며 판소리가락을 내뽑는 사람의 모습을 일단 표현한 것인데, 그 소리꾼은 지리산으로, 북은 중천의 보름달로, 터져 나오는 노래는 섬진강 긴 자락으로, 그 노래의 한은 시뻘건 저녁놀로, 북채는 폭발하는 매화 향기로, 그리고 선혈의 난타는 뚝뚝뚝 듣는 동백의 대가리로 상상을 한 시로 가히 우주적이다. 상상력의 전범을 보여준 시다.
그러면 여기서 우리 모두 상상력을 잘 구사할 수 있게 하는 몇 가지 시적 전략을 생각해 보자.


1. 발견 그 새로운 눈

발견이란 무에서 유를 만들어내는 발명과 달리 고작해야 이미 존재하는 것을 찾아내는 것이다. 수많은 삶의 편린들 속에서 시가 될 수 있는 특정한 편린들을 찾아내는 것이다. 뒤샹이란 화가가 있다. 그는 한 전시회에서 수세식 변기를 그대로 전시장으로 옮겨 놓고는 그것을 <샘>이라고 이름 붙였다.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이 작품을 두고 사람들은 숱한 입방아를 찧었다. 더러는 예술을 모독한 것이라고, 어찌 변기를 이 신성한 예술 전시의 공간으로 끌어들였느냐면서 당장 철거하라고 발광을 했다. 더러는 천재적인 예술가의 등장으로 예술의 영역이 한없이 확장될 것이라고 조심스런 전망을 내리기도 했다. 더러는 예술과 예술이 아닌 것은 결코 선을 긋듯이 명확한 것이 아니며, 다만 예술이란 제도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면 모든 것이 예술임을 피력하기도 했을 것이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다음 시를 보자.

(1) 숙자는 남편이 야속해 - 황지우

길중은 밤늦게 돌아온 숙자
에게 핀잔을 주는데, 숙자는
하루종일 고생한 수고도 몰
라주는 남편이 야속해 화가
났다. 혜옥은 조카 창연이
은미를 따르는 것을 보고 명
섭과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누게 된다. 이모는 명섭과
은미의 초라한 생활이 안쓰
러워…

어느 날 나는 친구집엘 놀러
갔는데 친구는 없고 친구 누
나가 낮잠을 자고 있었다. 친
구 누나의 벌어진 가랑이를
보자 나는 xx가 꼴렸다. 그
래서 나는…

(2) 掌篇 - 김종삼

작년 1월 7일
나는 형 종문이가 위독하다는 전달을 받았다
추운 새벽이었다
골목길을 내려가고 있었다
허술한 차림의 사람이 다가왔다
한미병원을 찾는다고 했다
그 병원에서 두 딸아이가 죽었다고 했다
부여에서 왔다고 한다
연탄가스 중독이라고 한다
나이는 스물둘, 열아홉
함께 가며 주고받은 몇 마디였다
시체실 불이 켜져 있었다
관리실에서 성명들을 확인하였다
어서 들어가보라고 한즉
조금 있다가 본다고 하였다

시 (1)은 (하오 9시 45분)라는 부제가 달려있는데 말할 것도 없이 이 시의 전반부는 신문의 TV프로 안내에 있는 프로그램 소개문이다. 그리고 후반부는 공중변소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저질 낙서이다. 시인은 이 두 가지 글을 빌려와 나열해놓았을 뿐 시인 자신의 말은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그렇다고 두 종류의 글이 어떤 시적 연관을 지니고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면 이 시의 의미는 무엇인가? 시인은 앞의 글과 뒤의 글이 같다는 것을 말함으로써 결국 저질연속극을 신랄하게 야유하고 있다.
그런데 이 시의 소재 자체는 우리가 흔히 일상에서 체험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발견적 상상력이라는 엄격한 시선이 이 시를 관장하고 있고, 또한 그 밑에 시대상황 혹은 시대정신에 대한 주제의식이 치열하게 깔려 있어 시로서 성공한 것이다. 사실 이 시는 어떤 의미에서 시의 폭력이다. 시인과 독자가 맺은 약속의 공간을 과감하게 일탈해버린 시라고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면책은 오로지 시적 진실로서만 가능하다.
시 (2)는 매우 드라이한 시이다. 형 종문에 대한 병문안을 가다가 추운 새벽 골목길에서 만난 허술한 차림의 사람을 만나 병원까지 가다가 들은 이야기를 시적 주체의 그 어떠한 반응도 생략한 채 간략하게 기록했을 뿐인 시이다. 그러나 그 시적 내용은 천둥벼락이라도 쳐서 무너져 내릴 듯한 것이다. 꽃다운 나이에 공장에 다니다가 연탄가스에 중독되어 죽은 두 딸을 찾아가는 아버지의 마음을 무엇으로 표현할 것인가. 그 내용의 참담함을 시적 주체가 아무리 긴절한 언어로 표현한다 해도 미치지 못할 것임을 시인은 잘 알기에 오히려 간략한 사실기록 형식을 취했을 것이다. 더구나 끝의 두 행, 곧 “어서 들어가보라고 한즉/ 조금 있다가 본다고 하였다”라는 함축적인 표현을 통해 그 아비의 끝없이 무너져 내리는 마음을 잘 드러내고 있는데 어쩌면 이 시는 바로 위 두 행 때문에 성공을 거두고 있는 것이다.
어쨌거나 이 시도 흔히 겪을 수 있는 일상의 체험을 시로 옮긴 것인데 바로 시의 끝 두 행의 예리한 발견을 통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사실 발견적 상상력은 소재를 새로운 눈으로 보는 것이다. 한편의 문학작품을 읽을 때 독자들은 일정한 前理解을 갖게 마련이다. 전이해는 작품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전이해란 일종의 선입견으로, 동시대의 삶의 상황과, 시와 시인에 대한 기대 그리고 언어지식, 자신의 인생관 등등이 얼크러져 있는 인식의 배경이다. 한편의 시를 읽을 때 그 시에 대한 전이해가 중요한 해석의 수단이 된다. 그러나 전이해가 그대로 이해가 되지는 않는다. 작품 속의 구체적 사실들의 의미를 전이해를 통하여 해명하지만, 그 부분들은 다시 이해의 틀을 수정한다. 즉, 전체의 의미는 부분들의 의미를 밝혀주지만 그 부분들의 의미는 다시 전체의 의미를 변환시킨다. 그러므로 독자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전이해에 아무런 변화를 요구할 수 없는 시는 새로움이 없는 시다.

추천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27건 3 페이지
문학 강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127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26 0 10-28
126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98 2 10-27
125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9 0 10-26
124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95 0 10-23
123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92 0 10-22
12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59 1 10-21
12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4 0 10-20
120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58 0 10-19
119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16 1 10-14
118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0 0 10-13
117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97 0 10-12
116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61 0 10-08
115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39 0 10-08
114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65 0 10-08
113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24 0 10-07
11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54 0 10-06
11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5 0 10-05
110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85 1 09-25
109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89 0 09-24
108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0 0 09-23
107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64 0 09-22
106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68 1 09-21
105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17 1 09-18
104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070 1 09-18
103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662 1 09-18
10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364 1 09-18
10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496 1 09-18
100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479 1 09-18
99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430 1 09-18
98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428 1 09-18
97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78 1 09-17
96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1 1 09-16
95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63 1 09-15
94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66 1 09-14
93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27 1 09-11
9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28 1 09-11
9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3 1 09-11
90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23 1 09-10
89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87 1 09-09
88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4 1 09-08
87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3 1 09-07
86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60 1 09-04
85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35 1 09-04
84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30 1 09-04
83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44 1 09-04
82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40 1 09-04
81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68 1 09-03
열람중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90 1 09-03
79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15 1 09-02
78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15 1 09-01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