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숲에 서린 숨결 > 창작시의 향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창작시의 향기

  • HOME
  • 창작의 향기
  • 창작시의 향기

     ☞ 舊. 창작시   ☞ 舊. 창작시   ♨ 맞춤법검사기

 

▷모든 저작권은 글쓴이에게 있습니다. 무단인용이나 표절금합니다
▷시스템 오류에 대비해 게시물은 따로 보관해두시기 바랍니다
1인 1일 1편의 詩만 올려주시기 바라며, 초중고생 등 청소년은 청소년방을 이용해 주세요
※ 타인에 대한 비방,욕설, 시가 아닌 개인의 의견, 특정종교에 편향된 글은 삼가바랍니다 

대숲에 서린 숨결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15건 조회 327회 작성일 19-02-15 10:01

본문

대숲에 서린 숨결 


하얀 눈 사각사각 잎새의 떨림

밤새도록 눈이 내리는 날은

영혼마저 으깨는 깊은 한숨 소리

장독대 위에 내린 달을 보려

대숲도 고개를 살며시 치켜드는데,


평소는 밀림 같은 오솔길 사이로

바람은 파고들다 숨이 차면 우! 우

대나무 하루는 깊은 신음과 통곡이


절제된 음감 속에 고통을 전하며

추울수록 촘촘한 마디 강하게 영그는

대나무의 강한 일생을 터득한 터였다


흔들리는 세상에 침체한 일상을

바람에 실어 깨우치며 방향을 제시

지나는 순간 학의 날개처럼 길게 흔드는

잊지 못할 기념적 풍경이었다


수많은 바람 쉬어갈 수는 없지,

대숲에 열리는 틈새는 촌음도 허락되지 않는

신음하듯 흔들리는 손사래가

평생을 갈고 닦은 않은 통과의례라고


미세하게만 느껴지는 고매한 숨결,

아득한 옛날 어머님 밤새 길쌈을

뒷산 대숲이 서럽게 우던 날


먼동이 트자 어머님 굵은 손마디,

밤새 영글던 딱딱한 대마디가

아침 햇살에 황홀한 숨결로

떠나지 못해 아름답게 다가오고 있었다.

 

댓글목록

선아2님의 댓글

profile_image 선아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대숲에 숨겨진 숨결처럼
길쌈을 짜던 엄마 손도 대나무처럼
마디마디 지셨군요
대나무 소리만 들어도 엄마 생각이 간절하시겠습니다

잘 보고 갑니다 두무지 시인님

두무지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옛날 부모님들은 모두 손마디가 굵으셨지요,
살아 생전 못다한 마음, 죄송스럽게 떠 올려 보았습니다
감사 합니다.

주손님의 댓글

profile_image 주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대나무밭에 하얀눈이 내리면 선비들은 조용히
옷소매를 접지요
곧 죽순이 밀어 올리는 봄이 오겠네요
감사합니다 두무지님!

두무지님의 댓글

profile_image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허접한 글에 손님을 불러들였네요
늘 따스한 마음, 곧 죽순이 돋아 나겠네요
건필을 빌어 드리옵고 깊은 감사를 전 합니다.

추영탑님의 댓글

profile_image 추영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대숲의 약간은 괴기스런 허밍 같은 울림은 언제나
신비로운 두려움을 주었습니다.

말 못할 통곡 같기도 하고,

마음을 두드리리는 하소연 같기도 하고, 밤을 잊은 정령들의 속삭임
같기도 한 대숲의 노래, 잘 감상하고 갑니다. *^^

두무지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해안지방 북서풍은 해가 지면서 대체적으로 그치는 경향이 있지요
그러나 가끔 밤을 새워 불어오면 무슨 귀곡성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어려서 조금 느꼈던 생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다녀가신 발길 감사를 놓습니다.

두무지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저의 유년은 부모님이 길쌈도 하고
베틀에서 베를 짜는 모습도 보았지요

대숲에 부는 바람처럼 가슴 서늘한 긴 밤을 세우는
잠시 옛 날을 회상해 봅니다
감사 합니다.

꿈길따라님의 댓글

profile_image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그러고 보니 어느새
곱던 제 손도 마디가 굵어 가고
흉물 스럽게 변해가는 것 같습니다.

참고로 저는 일을 안해 봐서
고무장갑을 끼고 일하지 않아서
손이 점점 미워지는 것을 느끼는 중

저도 어머니의 전차 타고
이것 저것 닦고 쓸고 하다보니
점점 어머니 다워지는 걸 느낍니다

나무는 일 년에 나이테 하나
대나무는 일 년에 마디가 하나가
생긴다고 하는데 얼마 전에 받은 선물

대나무를 잘라 만든 연필꽂이
이사오면서 버려 갑자기 아쉬운 맘
그때는 왜 그걸 하찮게 생각했는 지...

두무지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세월이 멈춰서도 안되겠지요
흐르는 물처럼 가는 인생이지만,
추억은 누구에게나 소중한 아름다움이기도,
아픈 기억이기도 합니다.
다녀가신 발길 고개를 꾸벅 합니다.

꿈길따라님의 댓글

profile_image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두무지 시인님의 시를 통해
어머님께서 밤새 길쌈하시는 모습
아련하게 가슴으로 다가 옵니다

울 어머님, 그 어머니의 어머니
파란 만장한 삶을 사신 어머님들
모습과 대내무 마디를 대비시켜보며

시 감상속 뭉쿨함을 느껴보는 맘
어머님은 소천하셨지만 늘 가슴에
어머님의 숨결 느끼고 사시는 시인님

마음에 귀감이 됨에 제 아들은
훗날 어머니의 기억이 뭘까 생각 할까
우리 엄만 글쓰느라고 자판만 두드렸다 ...ㅎㅎㅎ

쥐구멍이 어디 있나 지금 찾는 중...***

두무지님의 댓글

profile_image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아마도 그런 걸 두고 여인의 생애를 높게 칭송했는지 모릅니다.
얼마전 까지만 해도 그런 흔적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아름다운 옛 삶을 너무 잊고  지내도 아니 될듯 싶습니다
알뜰하게 살아온 생애는 모두에 교훈이니까요
감사를 다시 한번 드립니다.

꿈길따라님의 댓글

profile_image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아마도 어머닌 모성애로
어떻하든 살아 보려고 하는데
자식 줄줄이 낳고 가정을 본 척도
하지 않고 놀음에 빠진 남편
과거 한국사의 단면!

물론 다 그러지 않았으나
가끔 드라마나 영화 감상을 통해
울 어머님들 애환에 여자의 일생을
다시금 생각해 보며 바꿔진 삶
시대의 흐름을 생각 해 보며
제 구실에 대해 생각합니다.

Total 412건 2 페이지
창작시의 향기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342
다문화 가족 댓글+ 12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7 04-06
341
물어뜯다 댓글+ 16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50 04-05
340
숨비소리 댓글+ 14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3 04-04
339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30 04-03
338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8 04-02
337
바람의 유혹 댓글+ 14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76 04-01
336
입덧의 봉변 댓글+ 18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6 03-31
335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43 03-29
334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47 03-28
333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8 03-27
332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4 03-26
331
춘래 불사춘 댓글+ 14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3 03-23
330
도시의 벌들 댓글+ 8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0 03-22
329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17 03-21
328
장화리 일몰 댓글+ 10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67 03-20
327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85 03-19
326
화성인의 외출 댓글+ 15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1 03-18
325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57 03-17
324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28 03-16
323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8 03-14
322
강화도 아침 댓글+ 14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0 03-10
321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39 03-09
320
황사의 국경선 댓글+ 12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6 03-08
319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1 03-07
318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8 03-06
317
살아있는 길 댓글+ 13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44 03-05
316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2 03-04
315
들꽃 시인 댓글+ 12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4 03-03
314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49 02-28
313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48 02-27
312
탈수되다 댓글+ 14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45 02-26
311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66 02-24
310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44 02-23
309
갈림길 댓글+ 6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1 02-22
308
빈 들 댓글+ 12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34 02-21
307
낯선 방문객 댓글+ 12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6 02-20
306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95 02-19
305
밤의 중독 댓글+ 16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0 02-18
304
아픈 손가락 댓글+ 12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14 02-17
303
일몰(日沒) 댓글+ 15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46 02-16
열람중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8 02-15
301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7 02-14
300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82 02-13
299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1 02-12
298
기념적 사진 댓글+ 16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09 02-10
297
아! 임진각 댓글+ 12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0 02-09
296
화진포 사랑 댓글+ 12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1 02-08
295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43 02-07
294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6 02-03
293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72 02-02
292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87 02-01
291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24 01-31
290
수선화 홀릭 댓글+ 10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76 01-30
289
하현달의 눈물 댓글+ 15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78 01-29
288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42 01-28
287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8 01-27
286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0 01-26
285
1월의 꽃 댓글+ 8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6 01-25
284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92 01-24
283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13 01-23
282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9 01-22
281
로그아웃 댓글+ 8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57 01-21
280
댓글+ 18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8 01-20
279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4 01-19
278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9 01-18
277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02 01-17
276
유년에 단상 댓글+ 14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51 01-16
275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7 01-15
274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80 01-14
273 두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66 01-13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