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16] 바라나와 나시 사이*에서 > 우수창작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우수창작시

  • HOME
  • 창작의 향기
  • 우수창작시

     (관리자 전용)

☞ 舊. 우수창작시  ♨ 맞춤법검사기


창작의향기 게시판에 올라온 미등단작가의 작품중에서 선정되며,

 월단위 우수작 및 연말 시마을문학상 선정대상이 됩니다

우수 창작시 등록을 원하지 않는 경우 '창작의 향기' 운영자에게 쪽지를 주세요^^

(우수 창작시에 옮겨진 작품도 퇴고 및 수정이 가능합니다)


[이미지 16] 바라나와 나시 사이*에서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5건 조회 1,101회 작성일 16-08-07 00:31

본문


바라나와 나시 사이*에서

 

 

고국에서 뜨는 해나

인도에서 뜨는 해나

다 똑 같지만

보이는 해는 다 다르니

 

세상에

전생에 뭐였다고

후생이 무에 그럴 거라고

천국은 뭐고 또 지옥은 어떻다고

 

혼백도 삐져나간 거 다 안다며?

 

비석을 세우다가 멀리서 온

이방인도 질러쌓는 불이랴만

 

사람아, 아 사람아

이승 떼 내는데, 쓰잘머리 없는 번뇌 하직하는데

축복도 불사할 일

뭘 그리도

더 바라나

 

나는 기러기 날개 접듯

그냥 그러면 되는 것을

 

별도 달도 가만 있거늘

제 뭐 했다고

대체


떼 지어

 






-------------------------------------------------------------------------------------

*

1.

그럼 해탈은 어디에 근거하고 있습니까?

          “바라나나시에 근거하고 있소

바라나나시는 또 무엇입니까?

        모든 감각기관(, , , , , 생각)의 부족함을 넘어서는 것이 바라나.

        감각기관으로 행할 모든 악을 파괴하는 것이 나시.

그러면 그들은 어디에 있는 것입니까?

        미간과 코 사이에 만나는 지점이오.

        이것이 신의 세상과 그 보다 높은 세상이 만나는 지점이오.

 

2.

갠지즈강의 지류인 바라나강과 나시강이 만나는 지점, 즉 바라나시는 힌두 및 요가에서

해탈이 추구하는 신성한 땅이라나 뭐라나. 

덜 태운 다리도 삐죽 돌아다니는 화장터 하나 가지고도 꽤나 문사들을 홀리는...  그라지요.

 

건방이 하늘을 찌르는지는 몰라도 개인적 생각으론 다 풀 뜯는 소리 같아서요.

 

[이 게시물은 시마을동인님에 의해 2016-08-15 15:04:33 창작시에서 복사 됨]
추천0

댓글목록

한드기님의 댓글

profile_image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바라나시
      / 김재진


하늘에 강 떠있다.
손가락 없는 문둥이들의 전생
힌두교도의 붉은 빈디가
깜깜한 내 금생에 찍혀 있다.
나는 너무 오랫동안 살아왔다.
자욱한 먼지와 들끓는 파리
맨발로 걷는 사람들 따라
내 다음 생이
소 되어 어슬렁거리고 있다.
어디서 멈출 건가 이 지독한 윤회
타다 남은 시신 떠내려가는
강 한쪽에선
양히차거나 머리 감는 사람 보인다.
입은 채 몸 잠기는 하늘 위로
해가 진다.
떠가던 촛불 사라지고 없는
세상의 끝
구미꼬 집 앞에 걸터앉아
울고 있는 나를 본다.
하늘로 강 흐른다.
가트 한 쪽에서 흩어지는 연기
더러운 사리를 입고 있는
내 전생이
3,000년 전 바자르를 헤맨다 .

쇄사님의 댓글

profile_image 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인도에 안 가기

              - 정병근



인도에 안 가는 동안

인도는 수시로 나를 다녀갔다
인도에 안 가는 그 긴 세월 동안
나는 오른손으로 밥을 버무려 먹고 왼손으로 밑을 닦았다
내 속엔 인도가 너무 많아*
인도적인 자세로 인도는 나를 인도하려 했지만
나는 걸핏하면 인도를 허탕시켰다
그러니까 내가 인도에 안 간 것은
이마에 붉은 점을 찍은 어머니가
헐벗은 흙집에서 밀 빵을 굽고 있거나
아버지가 철침 방석에 앉아 명상 중이라는
소문 때문만은 아니었다
틈만 나면 나는 인도에 안 갔고
인도에 안 가는 수많은 시간동안
나는 한 도시의 뒷골목에서 집채만 한 수레를 끌거나
하루 종일 빨래들을 후려쳤다
무례하거나 무심하게 인도는 인도적으로 북적댔고
인도에 안 가기 위해 나는 수시로
큰 강이 내려다보이는 언덕배기의 한 옥탑방에서
무더운 연기와 냄새를 고스란히 견뎠다
타다만 주검들이 둥둥 떠내려가는
그 물을 마시고 그 물에 몸을 씻고 돌아와
인도 비디오를 보는 인도**의 자세로
나는 줄기차게 인도에 안 갔다
내가 인도에 안 가는 그 수많은 시간 동안



* 하덕규의 시 <가시나무새> 중, “내속엔 내가 너무도 많아” 구절을 패러디함.
** 이수명의 시 <고양이 비디오를 보는 고양이>를 패러디함.

 
 
...........................................//


 너무 많은 인도는 인도가 아니다. 많은 이들이 인도를 다녀왔다. 몇 장의 사진이 남았고 그 안에서 인도는 죽었다. 뛰어난 여행시가 많지 않은 이유는 뜬구름처럼 들떠 있는 정서와 빈약한 사유, 육화시키지 못한 외지의 낯선 풍물과 풍정 때문이다. 단순히 외국의 날것을 그대로 옮긴다고 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절경은 시가 되지 않는다는 문인수 시인의 말은 여전히 유효하다.

정병근 시인은 인도에 가지 않았지만 수없이 인도에 다녀왔다. 온갖 기행서와 시들을 통해 인도를 만났고 인도를 살았다. 그러나 화자는 “걸핏하면 인도를 허탕시켰다”. 가난한 현실 탓이었을 것. 가고 싶어도 갈 수 없었던 여건 때문에 인도에 가지 않았지만 그는 누구보다도 인도적으로 살았다. “헐벗은 흙집”과 “철침 방석” 못지않은 현실을 살았고, 살고 있기 때문에 화자에게 인도는 더 이상 가야할 곳이 아니다.

그는 지금도 “도시의 뒷골목에서 집채만한 수레를 끌”고 있고, “언덕배기의 한 옥탑방에서 “무더운 연기와 냄새” 를 온몸으로 견디고 있는 아수라 같은 현실 속 존재인 것이다. 즉 화자는 이곳이 곧 인도이고 갠지스강의 더러운 물이 흐르고 있는 공간이다. 북인도, 서인도, 남인도를 모두 그는 현실의 질곡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화자가 인도에 갈 이유가 없는 것은 당연지사다. “인도 비디오를 보는 인도 자세”로 그는 바라볼 뿐이다.

시인은 보편과 상식에 순응하지 않는다. 그들은 반역의 붉은 피가 흐르는 이단이고 혁명의 전사이다. 남들이 다 가는 편안하고 안락한 길을 거부하고 일부러 낯설고 외진 길을 찾아가는 것이 시인의 습성이다. 화자는 네팔, 라다크, 몽골 오지 등의 탐험과 여행이 내용 없이 하나의 유행처럼 번져가는 것을 쉽게 수용할 수 없었던 것.

이 시는 인도의 과잉에 보내는 풍자이다. 원효가 당시 하나의 관례처럼 여겨졌던 당나라 유학을 포기하고 도중에 “마음의 밖에 법이 없는 걸 어찌 따로 구하리오.”라는 깨달음을 얻은 뒤 서라벌로 돌아와 불교의 대중화에 힘쓴 행적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 작품의 화자 역시 세인들의 너도나도 앞다투어 떠나는 인도 여행에 어깃장을 놓으면서 바다 건너 먼 나라가 아닌 바로 발밑의 고통스런 현실을 살아내는 것이 오히려 인도에 가는 한 방법이라는 것을 역설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홍일표

     
......................................... //

   
"다 풀 뜯는 소리 같아서요"
통쾌한 일갈입니다.

한드기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과분하고 감사한 댓글에 뭐라 말씀을 드려야할 지...

정형화된 것을 싫어하는 저지만

꽉 찬 시조
느낌 팍 오는 시조

늘 감상 잘 하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쇄사 시인님.

잡초인님의 댓글

profile_image 잡초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인도에서
타향살이 하시는  한드기시인님
이미지가 한드기 시인님을위해
올려 놓은것 같습니다
풀 뜯는 소리 같은 부록도 소중하게 보고 갑니다
늘 행복 하시고 건강에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감사 합니다

Total 31건 1 페이지
우수창작시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31
늘봄 약국 댓글+ 12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29 0 02-02
30
노출 댓글+ 2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63 0 08-02
29
요양 댓글+ 12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41 0 02-05
28
消點은 없다 댓글+ 6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8 0 08-04
27
댓글+ 8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7 0 02-09
열람중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0 08-07
25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0 0 02-13
24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92 0 08-12
23
무덤덤 댓글+ 4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0 02-19
22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73 0 08-17
21
쑤신다 댓글+ 9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53 0 03-02
20
人空知能 댓글+ 4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21 0 08-24
19
뇌 식히기 댓글+ 19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62 0 03-04
18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53 0 08-30
17
헤게모니 댓글+ 6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5 0 03-27
16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0 0 11-10
15
허 참 댓글+ 10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80 0 04-02
14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88 0 12-11
13
나 짱구 댓글+ 6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89 0 04-03
12
기찻길 별곡 댓글+ 2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90 0 12-24
11
데칸(Deccan) 댓글+ 13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64 0 06-24
10
스몸비 댓글+ 3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9 0 08-22
9
중력파 댓글+ 2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60 0 06-29
8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2 0 09-03
7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65 0 07-10
6
오래된 낙서 댓글+ 2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04 0 08-19
5
不自然스런 댓글+ 3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28 0 07-19
4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19 0 08-25
3
종이비행기 댓글+ 2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61 0 07-21
2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17 0 09-02
1
명상 전 댓글+ 10
한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6 0 07-25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