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령 넘어서 > 시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시조

  • HOME
  • 창작의 향기
  • 시조

(운영자 : 정민기) 

 ☞ 舊. 시조    ♨ 맞춤법검사기

 

모든 저작권은 해당작가에게 있습니다. 무단인용이나 표절을 금합니다

시스템 오류에 대비해 게시물은 따로 보관해두시기 바랍니다

한계령 넘어서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6건 조회 207회 작성일 19-10-05 21:54

본문


한계령 넘어서


                                  은파 오애숙


 

소슬바람 불어올 때

삶의 잔해 바람결로

깡통 구르는 소리와

낙엽 태우는 소리에 

한계령 넘는 반사체


늘상 내면의 현실엔

아귀다툼하는 문제

긍정꽃의 적당이가

부정의 사윈 동산속

불도저로 판 벌인다


허나 가끔 눈 먼 새

새장 걷어차고 나와 

창망의 허공속에서

이리저리 뛰어 날아

친세계 구축 하려


도전 의식에 춤추며

따사론 들숨 날숨에

화해 장 열어 손잡고

그 쓰디쓴 잔 마시네


꿈꾸던 

유토피아를

건설위한 일념에


추천2

댓글목록

꿈길따라님의 댓글

profile_image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한계령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한계(限界)가 아니라 차가운 시내라는 뜻이다.
 차디찬 계곡이라는 뜻의 한계령(寒溪嶺)을 넘지 못하는 일정한 범위라는 뜻

실제 한계령을 넘어 보지 못했으나 그 의미를 사유체로 걸러 시어로 착용함

꿈길따라님의 댓글

profile_image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한계령 길은 언제부터 사람이 다니기 시작했을까. 구석기,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하였던 양양인만큼 아주 오래전부터 한계령 길이 나 있었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문헌상으로는 <고려사>에 기록된 것이 최초인 듯싶다. <고려사>의 기록에 의하면, 고려 고종 44년 당시 몽고군은 철원, 춘주(현 춘천), 인제를 거쳐 한계령을 넘어 양양으로 진격한 것으로 나와 있다. 당시 춘주성의 항복소식을 듣고 인제 지역 백성들이 한계령을 넘어 양양으로 피난했다는 얘기도 있다. 그러한 한계령이 조선 초기에는 험하다는 이유로 폐쇄되었다.

1400년대에서 1500년대 사이에 간행된 동국여지승람 양양도호부편에서는 한계령을 ‘부 서쪽 60리에 있으며 겹쳐지고 포개진 산맥에 지세가 험하고 궁벽지다. 예전에는 서울로 통하는 길이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졌다’라고 적고 있다. 즉, 동국여지승람이 완성된 1481년 이전에 한계령 길을 폐쇄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그 사유는 증보문헌비고에 나와 있다. 증보문헌비고 중 미시령을 설명한 부분을 보면 ‘조선 성종조에 양양부의 소동라령(所冬羅嶺, 현 한계령)이 험액(險阨)이라고 하여 다시 이 길을 열었다’라고 되어 있다.
그러나, 폐쇄했다고 해서 전혀 사람이 다니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1750년 씌여진 것으로 보이는 <택리지>에서 이중환은 백두대간 강원도 지역의 령 여섯 개 중 하나로 오색령(현 한계령)을 손꼽았으니, 험하다 해서 다니지 않았던 것은 조선 왕실과 양반 사대부일 뿐, 민초들은 1971년 현재의 한계령 포장도로가 완성되기 전까지는 한계령 오솔길을 통해 백두대간을 넘나들었다.

현재의 한계령 도로는 1968년 김재규가 사단장으로 있던 1102 야전 공병단에서 착공하여 1971년 완공하였다. 한계령 도로의 완공을 기념하여 한계령 108계단 위에 있는 설악루라는 정자 옆에 공덕비를 만들었으며 “설악루”라는 현판은 김재규 당시 사단장이 직접 썼다고 하며, 현재까지 전해온다.

이러한 한계령이 더욱 유명해진 것은 아마 1984년 시인과 촌장이 처음 불렀고, 양희은씨가 1985년에 다시 부른 노래 “한계령”(작사: 정덕수) 때문일 것이다. 계간 <시인세계>에서 2004년 봄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글 짓는 문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곡 중 5위에 뽑힐 정도로 가사가 시적이며 서정적인 선율을 지니고 있는 노래 “한계령”을 들어보지 못한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정작 “한계령”을 부른 양희은씨는 이 노래를 부른 지 10년이 지나서야 한계령에 처음 와 봤다고 한다. 이 얘기를 들은 주위 사람들이 양희은씨에게 ‘사기’라고 했단다. 그럴 때마다 양희은씨는 ‘그럼 연극배우들은 암환자 연기할 때 암 걸려보고 하냐’며 대꾸하곤 했다는 일화가 있다.

한계령의 옛 이름을 찾아서

 

"소동라所東羅, 그녀의 이름이었다. 서른 하나, 그녀의 나이였다. 현수(絃首, 코머리), 그것은 그녀의 신분이었다. 양양 고을의 관기, 그리고 그 우두머리. '천첩의 기명을 소동라령(현 한계령)에서 딴 것은 실로 외람된 바가 적지 않사온데, 여짜오면 내륙의 길손은 원통역으로부터 반드시 소동라령을 넘어야만 비로소 설악에 이를 수가 있사옵고, 또 설악을 거쳐서 본읍에 당도하셔도 마땅히 천첩의 수발을 넘어야만 마침내 양양을 보았다고 하리라 하여 기명으로 정했던 터입니다. 하오나 나리께서는 바야흐로 천첩의 시험을 넘으신 듯하옵기에 감히 아뢰오니다.'"

소설가 이문구 선생이 쓴 <매월당 김시습>의 한 장면이다. 물론 양양 고을의 기생으로 나오는 소동라는 허구의 인물이지만, 김시습과 수작하는 기생의 이름으로 한계령의 옛 지명인 “소동라”를 붙이고, ‘소동라령을 넘어야만 양양과 설악에 다다를 수 있고, 소동라의 수발을 넘어야만 마침내 양양을 보았다’고 한 작가의 상상력에 감탄을 금할 수가 없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것처럼 김시습이 살았던 15세기에는 한계령을 “소동라령(所冬羅嶺)”이라 하였다.

문헌상 가장 최초로 등장하는 한계령에 관한 지명은 세종실록지리지(1454년)의 “소등라령(所等羅嶺)”이다. 소등라령을 국역 조선왕조실록에서는 ‘바드라재’로 번역하였다. 속초여고 주상훈 교사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이 고개의 원래 이름은 '바드라'였다. 이 바드라를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이두식으로 소등라(所等羅)라고 표기하였다가, 그 후 조선시대 읍지류에서 발음상 편한 소동라(所冬羅)로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다가, 조선시대 후기 문헌인 택리지, 대동여지도, 증보문헌비고 등에서는 전부 한계령을 ‘오색령’으로 부르고 있다. 현재와 같이 한계령으로 명명된 것은 1968년 공병부대가 한계령 도로공사를 인제쪽에서부터 시작하다 보니 인제군 한계리의 이름을 따 한계령이라 하였다.

삶이 몹시 힘들거나 지칠 때면 문인들처럼 한계령에 올라 나의 한계를 곱씹으며 다시 극복할 기운을 회복해 보는 것도 괜찮을 것이다.

베르사유의장미님의 댓글

profile_image 베르사유의장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시인님
잘읽고 가옵니다
감사 드리겠사옵니다 ...

저도
어쩌면 영원히 못가볼지도
모르옵니다 ...

솔직히
말하면 제가 어디 다니는걸
좀 싫어하옵니다

하지만
꼭 가야될데는 잘가는데 말이옵니다 ...

남은 휴일 시간도
즐겁게 ... 잘 보내시옵소서

꿈길따라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한국에서도 장미마마님 가시려면
기차나 비행기 타야 하니 그림의 떡일 수도 있겠습니다.
인터넷으로라도 한 번 다녀 오세요...

소슬바위님의 댓글

profile_image 소슬바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한계령을 소상히 잘 설명을 해 주셨습니다
잘 탐독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몇번을 넘긴했으나
무관심으로 지나쳤을뿐
그렇게 무지했네요
좋은밤 되십시오

Total 7,925건 83 페이지
시조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3825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 0 08-14
3824 소슬바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 0 09-02
3823 鴻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 0 09-20
3822 소슬바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 0 10-28
3821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 1 11-15
3820 석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 0 12-05
3819 레오다빈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 0 12-07
3818 소슬바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 0 12-23
3817 소슬바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 0 01-14
3816 鴻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 1 04-30
3815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 1 05-22
3814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 1 05-25
3813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 2 05-29
3812 鴻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 1 06-20
3811
뿌리 댓글+ 1
鴻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 2 08-11
3810 鴻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 0 12-03
3809 소슬바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 1 01-01
3808 소슬바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 1 01-21
3807 恩波오애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 1 04-29
3806
인생후반 댓글+ 4
소슬바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 3 05-10
3805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08-02
3804
새벽 손님 댓글+ 1
鴻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08-18
3803 NHKIM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09-03
3802 鴻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10-14
3801 鴻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12-13
3800 남창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03-23
3799 주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05-05
3798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1 05-26
3797
8월의 소나기 댓글+ 5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2 07-31
3796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2 08-09
3795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1 11-09
3794 鴻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12-26
3793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2 12-30
3792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04-03
3791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1 04-11
3790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05-03
3789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05-03
3788 소슬바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1 06-15
3787 소슬바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06-20
3786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1 07-24
3785 소슬바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08-29
3784 鴻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08-30
3783 석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08-30
3782 鴻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10-17
3781 소슬바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11-21
3780 鴻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01-22
3779 소슬바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02-04
3778 소슬바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03-07
3777 鴻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03-12
3776 꿈길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1 04-28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