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복과 임을찾는 매미의 애절한노래 > 편지·일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편지·일기

  • HOME
  • 창작의 향기
  • 편지·일기

☞ 舊. 편지/일기    ♨ 맞춤법검사기

  

▷ 모든 저작권은 해당작가에게 있습니다. 무단인용이나 표절을 금합니다

말복과 임을찾는 매미의 애절한노래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215회 작성일 21-08-10 10:57

본문

말복은  절후와 관계가 없지만 음력6~7에 천간에 庚자에 해당하는날로 

초복과  중복을 정하고 말복은 입추가 지난뒤 첫번째 庚日이다

하지만 농부들에 의해 전래된 풍습에는

들판에 벼들이 초복 한마디 중복에 한마디 말복에 마지막 마디가 생기면서

마디위에  자란 대공에에 벼 이삭이 팬다고(열린다고)믿고있다

어릴때 탈곡한 볏집을 까보면 세마디가 분명하다

 

또 다른 유래로는

농부들이 초복에 벼포기 사이자란 잡풀을 호미로 파엎고 그과정이 끝나면

쉬면서  개를 잡아 보신을하고

중복때 역시 파엎은 흙더미에 자란 잡풀을 파엎어 자라지 못하게 김을매고

초복처럼  쉬면서 삼계탕등으로 보신을하고

입추 전후에 만물이라 해서 손을 자란잡풀을 훔처뽑고

논마다 이절차가 끝나면 벼 빌때까지 논에 들어가지 않고 쉬면서 보신을 하고

벼가패여 누렇게 익어가는 논에는 피 사리를 한다

삼복이란 농부가 벼농사를 짛는 절차라고 볼수있다

 

매미의 애절한 노래

한라비발디아파트  후문을 나서면  야산머리다

귀가 따가울정도로  요란한 노래소리

7일내 임을 찾지 못하면 총각귀신이 될터 노래가 아니라 임을 부르는 애절한 외침이다

유충으로 나무뿌리의 수액으로 성충이되고

굼벙이로  논두렁을 누비벼 토양속에 양분과 물을 먹으며7년을 딍구러야 매미가 된다

錦蟬脫殼(금선탈각)

장가 가고 시집 가기위해 군벙이 탈을 벗어 던지고  매미가 되여 임부르는 노래를 시작 하지만

7일내 임을 찾지못하면 그대로 죽는다

하여 노래가 아니라 임을 부르는 아우성이다

7년에 인고가 짝을 만저보지도 못하고 죽는다

비구니 신승 수녀와 신부 이것은 싯다르타와 예수가 자연을 막은 엄청난 잘못이다

오늘에 편지일기'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360건 27 페이지
편지·일기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열람중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6 0 08-10
3579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4 0 08-09
3578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8 0 08-08
3577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3 0 08-07
3576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5 0 08-06
3575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5 0 08-05
3574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1 0 08-04
3573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2 0 08-03
3572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3 0 08-02
3571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 0 08-01
3570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4 0 07-31
3569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9 0 07-30
3568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8 0 07-29
3567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 0 07-28
3566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 0 07-27
3565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8 0 07-26
3564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4 0 07-25
3563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7 0 07-24
3562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07-22
3561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6 0 07-21
3560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4 0 07-20
3559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6 0 07-19
3558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8 0 07-18
3557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 0 07-17
3556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8 0 07-15
3555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2 0 07-14
3554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7 0 07-13
3553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4 0 07-12
3552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6 0 07-11
3551 景山유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9 0 07-10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