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어른을 기다리며 > 시마을동인의 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시마을동인의 시

  • HOME
  • 창작의 향기
  • 시마을동인의 시

    (시마을 동인 전용)

  ☞ 舊. 시마을동인의 시



장승규 박미숙 이승민 박용 최정신 허영숙 임기정 조경희
이명윤 정두섭 이종원 김부회 이호걸 김용두 서승원 성영희
문정완 배월선 양우정 윤석호 정연희 김재준 신기옥  

『칼럼』 어른을 기다리며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6건 조회 171회 작성일 25-01-04 19:32

본문

칼럼시인의 눈으로 본 천자만평

 

른을 기다리며

 

/ 김부회 시인, 문학평론가


 

국어사전에 어른이라는 단어는 / 다 자란 사람/ 지위나 나이, 항렬이 자기보다 높은 사람/ 남의 아버지를 조금 높여 이르는 말/이라고 나와 있다. 사전적 의미와는 조금 다르지만 보통 어른이라고 하면 존경과 공경의 대상이며 귀감龜鑑 되는 행동이나 철학을 갖고 사회의 무게 중심을 잡는 저울추의 역할을 하는 분들을 말하기도 한다. 어지럽고 혼란한 시국일수록 절실하게 필요한 것이 어른이다.

 

다양한 의견과 소신과 제 눈에 맞는 안경만이 오직 안경이라고 주장하는 극단주의나 편향주의로 진영 대립이 갈등할 때, 마치 솔로몬의 재판처럼 현명하게 판단하여 중립적이지만 지극히 공정하고 수긍이 가는 판단의 가치 기준을 제시할 때 비로소 어른이라는 말을 들을 수 있을 것이다. 세상은 해와 달이 공존한다. 그늘과 양지가 존재하며 해가 있음으로 달이 존재하고 음지가 있으므로 양달이 존재한다. 어느 한쪽만 존재해서는 삶이라는 보편적 가치가 돌아갈 수 없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보편적 가치라는 말이다. 가령 구급차가 사이렌 소릴 내며 달려올 때 길을 비켜주는 것은 도로교통법 29조라는 법률이 정하기 이전에 사회적 약속이다. 위급한 상황에 대한 인식, 그 인식의 결과물을 판단하여 내 길을 양보하는 것이 사회적 배려이며 공동체 사회를 위한 일종의 묵시적 규범인 것이다. 어쩌면 우리는 그런 보편적 가치에 인색한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요즘이다.

 

우리가 속한 사회의 법전이 두꺼우면 두꺼울수록 좋은 사회일까? 어설픈 비유일지 모르지만 사회보장 제도가 잘 되려면 보험회사가 모두 망해야 한다는 말을 경제학 이론에서 배운 것 같다. 아이러니다. 보편적普遍的이라는 단어는 쉬운 단어이면서 동시에 가장 큰 단어이기도 하다. 양쪽 모두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은 없을지도 모른다. 다만, 서로 조금의 양보와 배려가 있다면 어느 정도의 손해를 보면서 취할 것은 취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좀 더 객관적이며 좀 더 냉정하게 한 발자국 뒤에서 나를 보면 내가 보인다는 말이 생각난다. 극단의 길에는 낭떠러지만 있다.

 

모든 도로는 상행과 하행이 하나의 길로 나누어져 있다. 같은 길이라도 각자의 목적에 따라 상행 일 수도 있고 하행 일 수도 있다. 어른이 필요한 시대다. 비록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일지라도,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라는 선문답일지라도 정작 혼돈의 시대에 필요한 것은 일갈一喝이라는 단어다. 한 번 큰 소리로 꾸짖는다라는 의미다. 그 일갈의 대상이 내가 되어야 한다. 당신이, 우리가 아닌 내가, 일갈의 소릴 듣고 정신을 번쩍 차려야 한다는 말이다. 나이만 많은 어른이 아닌, 맑고 청아한 보편적 가치를 담은 일갈을 외쳐줄 어른을 기다린다. 목이 빠지게.


2025.01.04 김포신문 기고


d9f50b926cf1dad7994ba3572ad47d16_1735987001_01.jpg

 

https://www.igimpo.com/news/articleView.html?idxno=86430 


 

 

 

 

 

추천1

댓글목록

장승규님의 댓글

profile_image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그 일갈의 대상이 내가 되어야 한다.
-네가 아닌
-너네가 아닌

맑고 청아한 보편적 가치를 담은 일갈을 외쳐줄 어른을 기다린다. 목이 빠지게.
-너도
-나도
-우리 모두

무의(無疑)님의 댓글

profile_image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요즘 시절이 참 수상합니다.
'임제할 덕산방(臨濟喝 德山棒)’을 잘못 해석하는 듯합니다.

석열 喝
의원을 만나면 의원을 죽이고
백성을 만나면 백성을 죽이고

상현 棒
트렉터는 몽둥이가 답

그야말로 어른이 없기 때문이겠지요.

Total 937건 1 페이지
시마을동인의 시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937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 0 04-30
936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0 0 04-29
935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4 0 04-24
934
14연대 댓글+ 3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4 0 04-23
933
가금류들 댓글+ 3
성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5 0 04-22
932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 0 04-18
931
지배인 댓글+ 3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7 0 04-14
930
봄꿈 댓글+ 4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 0 04-10
929
댓글+ 3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9 0 04-08
928
삼식이 댓글+ 3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6 0 04-05
927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2 1 03-28
926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8 0 03-15
925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 0 03-10
924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4 0 03-07
923
묘사 댓글+ 4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 0 03-07
922
한 끼 댓글+ 4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5 0 03-06
921
댓글+ 5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2 0 03-03
920
청첩장 댓글+ 3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8 0 02-28
919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 0 02-27
918
눈사람 댓글+ 3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7 0 02-03
917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7 0 02-02
916
첫 줄 댓글+ 2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3 0 02-02
915
초승달 댓글+ 3
허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1 0 01-21
914
세월 댓글+ 4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2 0 01-20
913
종점 저수지 댓글+ 3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7 0 01-09
912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 2 01-07
911
휴일 댓글+ 2
성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8 0 01-07
910
저녁놀 댓글+ 2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 0 01-06
열람중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2 1 01-04
908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4 0 01-04
907
서울, 역 댓글+ 3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 0 01-01
906
공든 탑 댓글+ 3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8 0 12-31
905 한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3 0 12-21
904 한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 0 12-18
903
배다리 댓글+ 2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9 0 12-16
902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5 3 12-12
901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 3 12-12
900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5 0 11-28
899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6 0 11-23
898
나비춤 댓글+ 2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 0 11-14
897
동백 지다 댓글+ 3
최정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4 1 11-14
896
우리 집 댓글+ 5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5 0 11-11
895
낙타 2 댓글+ 3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5 0 11-02
894 허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 2 10-25
893
전기(電氣) 댓글+ 2
김용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 0 10-20
892
가을비 댓글+ 3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3 0 10-18
891
하루살이 댓글+ 2
성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6 0 10-14
890
가을 지뢰밭 댓글+ 2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8 0 10-14
889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5 0 10-13
888 허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4 1 10-12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