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 이시향 시인, 디카시집 '우주정거장' 출간 > 시마을동인의 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시마을동인의 시

  • HOME
  • 창작의 향기
  • 시마을동인의 시

    (시마을 동인 전용)

  ☞ 舊. 시마을동인의 시



장승규 박미숙 이승민 박용 최정신 허영숙 임기정 조경희
이명윤 정두섭 이종원 김부회 이호걸 김용두 서승원 성영희
문정완 배월선 양우정 윤석호 정연희 김재준 신기옥  

[축!!] 이시향 시인, 디카시집 '우주정거장' 출간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조경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6건 조회 542회 작성일 21-06-17 13:36

본문

이시향 시인이 디카시집 '피다'에 이어 두 번 째 디카시집 '우주정거장'을 

울산문화재단 지원금을 받아 출간하였습니다

시와 사진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고 아름다운 사유를 담은 

시인의 시집 '우주정거장'의 출간을 축하드립니다. 



책소개

2003년 계간 ≪시세계≫에 시, 2006년 ≪아동문학평론≫에 동시, 2020년 ≪시와편견≫에 디카시로 등단한 이후 디카시집 ?피다? 와 동시집 등 여러 권의 책을 내며 다방면으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이시향 시인이 이번에는 울산문화재단 지원금을 받아 두 번째 디카시집을 냈다.

디지털카메라(디카)와 시를 결합하여 줄인 말인 디카시는 자연이나 사물에서 시를 포착한 순간 그 감흥이 날아가기 전에 사진으로 찍고 문자로 써서 결합한 다음 SNS에 올려 실시간으로 세상과 소통하고자 하는 영상 언어와 시라는 문자 언어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시인은 우주정거장과 같은 산업 현장에서 오랫동안 일을 하며 노동에 관한 시도 썼지만, 디카시 만큼 현장성이 잘 전달되는 것은 없다며 그림 그리기와 사진 찍기를 좋아하는 자신에게 딱 맞는 문학 장르인 디카시 저변 확대를 위해 울산을 중심으로 매년 전시회와 백일장도 개최하고 있다.

이 디카시집에서는 시가 꼭 아름다워야 감동을 주는 것은 아닌 것처럼 가족을 먹여 살리기 위해 20년 넘도록 용접을 하는 아주머니 얘기도 있고, 하루아침에 명예퇴직을 당해 방황하는 중년의 애환도 있지만, 이렇게 힘든 노동의 결과로 대한민국의 경제가 돌아가고 있다는 삶의 진정성이 돋보인다. 또한 촌철살인의 다섯 줄 이하의 문장으로 사진과 함께 누구나 따뜻하고 정겨움을 느낄 수 있는 서정성과 지난해부터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힘들어하는 사람들에게 오를 수 없는 벽이 보일 때 벽을 오르는 법을 그리며 희망을 노래한다.

2004년 디카시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이상옥 교수는 이 시집 표사에서 “시인이자 아동문학가이면서 사진에 대한 조예도 남다른 이시향 시인은 멀티 언어 예술이며 하이브리드 디카시에 정통한 시인이며 디카시를 일찍부터 수용하여 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디카시 문예 운동을 펼치는 리더이기도 하다.”라고 말하고 있고, 시인이자 평론가인 이어산 시인은 이시향 시인의 첫 디카시집 〈피다〉 표사에서 “누구나 디카시를 쓸 수는 있다. 그러나 누구나 좋은 작품을 내어놓기는 쉽지 않다며 앞으로 디카시를 쓸 사람들에게 좋은 지침서가 될 시집이다.”라고 밝힌 바 있다.


저자소개

이시향

본명 이승민. 물 맑고 바람 많은 제주도가 고향이다. 2003년 계간 [시세계]에 시가 당선됐고, 2006년에는 [아동문학평론]에 동시가 당선되면서 동시를 즐겨 쓰고 있다. 2020년 [시와편견]에 디카시가 당선되었다. 제34회 울산예총에서 예술문학상을 받았고, 제3회 울산 남구 문인상, 제9회 울산아동문학상과 제15회 울산동요사랑 대상도 받았다. 2020년에는 울산광역시 문화예술육성지원에 선정되었다.

작품집으로는 시집 『들소 구두를 신고』, 『사랑은 혼자여도 외롭지 않습니다』, 『그를 닮은 그가 부르는 사모곡』 시화집 『마주 보기』가 있고, 개인 동시집 『아삭아삭 책 읽기』, 여러 선생님들과 펴낸 동시집 『아이티로 간 내 운동화』 외 다수가 있고, 함께 쓴 디카시집 『삼세끼』, 그리고 디카시집 『피다』, 『우주정거장』 등이 있다. 울산대학교 기계공학과에 진학하며 울산과 인연이 되었고 현재 울산아동문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고향인 삼양검은모래해수욕장에 「삼양포구의 일출」시비가 세워져 있다.

추천1

댓글목록

조경희님의 댓글

profile_image 조경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이시향 시인님, 두 번째 디카시집 '우주정거장' 출간을 축하드립니다
시와 사진을 통해 풀어 낸, 간단하지만 명징한 시인의 삶이 녹여져 있어서 좋았습니다
축하드립니다!!

이종원님의 댓글

profile_image 이종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정말 대단하십니다. 이시향 시인님!!!
당연히 축하드리고요, 이미 보내주신 시집은 한달음에 다 읽어버렸습니다.
멋진 사진과 더불어 명징한 시어들이 하나로 어우러져 더 고소하고 향기로웠습니다.
삶의 현장에서 건져낸 사진과 글은 이제 영원한 기록으로 남아 있겠습니다.
많이 애독되고 사랑받는 시집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Total 935건 1 페이지
시마을동인의 시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935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1 0 04-24
934
14연대 댓글+ 2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1 0 04-23
933
가금류들 댓글+ 2
성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3 0 04-22
932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7 0 04-18
931
지배인 댓글+ 3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 0 04-14
930
봄꿈 댓글+ 4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5 0 04-10
929
댓글+ 3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6 0 04-08
928
삼식이 댓글+ 3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4 0 04-05
927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 1 03-28
926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7 0 03-15
925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 0 03-10
924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2 0 03-07
923
묘사 댓글+ 4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9 0 03-07
922
한 끼 댓글+ 4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5 0 03-06
921
댓글+ 5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 0 03-03
920
청첩장 댓글+ 3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8 0 02-28
919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 0 02-27
918
눈사람 댓글+ 3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7 0 02-03
917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7 0 02-02
916
첫 줄 댓글+ 2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3 0 02-02
915
초승달 댓글+ 3
허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0 0 01-21
914
세월 댓글+ 4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 0 01-20
913
종점 저수지 댓글+ 3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5 0 01-09
912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9 2 01-07
911
휴일 댓글+ 2
성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8 0 01-07
910
저녁놀 댓글+ 2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 0 01-06
909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 1 01-04
908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2 0 01-04
907
서울, 역 댓글+ 3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 0 01-01
906
공든 탑 댓글+ 3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7 0 12-31
905 한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3 0 12-21
904 한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9 0 12-18
903
배다리 댓글+ 2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12-16
902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4 3 12-12
901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9 3 12-12
900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4 0 11-28
899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5 0 11-23
898
나비춤 댓글+ 2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 0 11-14
897
동백 지다 댓글+ 3
최정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3 1 11-14
896
우리 집 댓글+ 5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5 0 11-11
895
낙타 2 댓글+ 3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5 0 11-02
894 허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 2 10-25
893
전기(電氣) 댓글+ 2
김용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 0 10-20
892
가을비 댓글+ 3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1 0 10-18
891
하루살이 댓글+ 2
성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5 0 10-14
890
가을 지뢰밭 댓글+ 2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7 0 10-14
889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5 0 10-13
888 허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 1 10-12
887
둘레길 댓글+ 2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4 0 10-06
886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0 1 10-02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