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모(旋毛)에 대한 단편 > 시마을동인의 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시마을동인의 시

  • HOME
  • 창작의 향기
  • 시마을동인의 시

    (시마을 동인 전용)

  ☞ 舊. 시마을동인의 시



장승규 박미숙 이승민 박용 최정신 허영숙 임기정 조경희
이명윤 정두섭 이종원 김부회 이호걸 김용두 서승원 성영희
문정완 배월선 양우정 윤석호 정연희 김재준 신기옥  

선모(旋毛)에 대한 단편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이종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13건 조회 271회 작성일 22-07-20 22:08

본문


선모(旋毛)에 대한 단편     /    이 종원

 




사진첩을 들추다가
툭 떨어진 옛날
오롯이 담긴 흑백이
낙엽처럼 바스락거린다
중절모를 쓴 낯익은 젊음이 흐릿한 것은
꺼내야 할 그리움이 많은 탓이다
부치지 못한 전상서
주소 잃은 봉투
모두 벗겨진 채로
나를 카피한 얼굴에 밑줄을 그었다
설핏 보아도 선명한
궤적을 털어도 닮은 지문
당신의 발자국을 밟고 온 나 또한
눈물을 감추려고 사진 속 모자를 꺼내는데
반쯤 벗겨진 이마가 닮았고

내미는 왼손이 더 근친이다
머리카락 세던 소리
"가마가 둘이라 장가도 두 번 가겠네"
농담 반 놀림 반 태우던 쌍가마
"안돼! 난 장가 한 번만 갈 거다"
울음 쓰다듬던 눈빛
풍장 되어 날아간 기억이 선뜻하다
광속으로 돌려본 필름 속
추억을 입기 위해 벗은 모자 아래
쌍가마 자리 형광처럼 밝다

추천2

댓글목록

임기정님의 댓글

profile_image 임기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얼마 전 아는 사람과 이야기하다
왜 부모에게 물려받는 것은
안 좋은 것들이 많은지
그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저의 머릿결은 회오리치듯 하고
곱슬머리에 그런데 고거이는 아직 못 갔으니
빼고
아무튼 추억 속의 흑백 영사기 돌아가듯
잘 읽었습니다.
무덥던 날씨가 한줄기 비 적심으로
좀 시원한 밤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종원 시인님 늘 감사하고 고맙습니다

이종원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이종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좋은 것보다 안좋은 것에 대한 기억과 미련이 더 커서
그런 것이 아닌가 합니다. 제 생각 또한 그렇고요
그러나 지금은 주고 떠나신 좋은 것에 대하여 감사함이 큽니다.
 DNA는 부차적인 것이요 생명을 주신 것이 첫째니까요.
무더위 이기시고 건강하시길요 대길이 때문에 흘리는 땀이
몸에는 좋지 않을까 합니다.ㅎ 7월 한달이 점점 짧아지네요
걸음을 서둘러야 할 것 같습니다.

香湖김진수님의 댓글

profile_image 香湖김진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마음을 품었는데 어찌 그리움이 없겠는지요.
닮지 말아야지, 당신처럼 안 살거야!
다짐에, 다짐을 했겄만 거울에 비췬 벽면 속 사진 한장.
깜짝 놀랐습니다. 거기에 당신이 있었습니다.
어찌 그리 똑같은지,
파도처럼 밀려오는 그리움.
이제서야 압니다. 당신과 나는 둘 아닌 하나라는 걸.
보고싶습니다.

이종원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이종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형님의 사모곡은 늘 아련하면서도 진정이 묻어났지요
그 굵은 선이 지나간 자리 떠올려봅니다.
아직도 선연한 그리움이 가득하십니다.
먼 걸음 서슴치 않고 달려가 닦아주시며 쏟아내던
그 짙은 향이 생각납니다.

이종원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이종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다들 부럽다고 했는데 아직은 ㅎ~~~~
놀림과 농담을 곧이 듣던 시절, 벌써 한참을 돌아 한바퀴를 돌았습니다.

정윤호님의 댓글

profile_image 정윤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중절모를 쓴 낯익은 젊음이 흐릿한 것은
꺼내야 할 그리움이 많은 탓이다"
글 앞에서 저도 그리움 하나 꺼내봅니다.
시인님의 환한 얼굴이 떠오르네요. 참 다정한 글입니다.

이종원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이종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아버지 사진은 아직도 중절모를 쓴 청년 그래도 남아 있습니다.
머리 벗겨진 것도 이제는 똑 닮아갑니다. ㅎ
안 좋은 것을 물려주셨다는 것보다, 좀 더 잘해 드리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이 더 큽니다. 그러나 한 편의 글로 아쉼을 덜어내고자
하는 것 같습니다. 더위에 건강하시길요

조경희님의 댓글

profile_image 조경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그리움을 끄집어내는 시간은 오롯이 혼자라서 좋은 거 같습니다
흑백의 시간들을 저도 더듬어 보게 되네요^^
잘 감상했습니다
건강하고 시원한 여름 보내세요

이종원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이종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가끔은 그리움도 추억도 명약이 되기도 합니다.
흑백이 그리워지는 것 또한 흑백을 담아놓았기에 가능한 것이겠지요
시인님의 좋은 기억, 슬픈 기억도 대입해보고
반추해 보셔서 새로운 감성 하나로 긴 씨줄과 날줄을 이어가 보시는 것은
어떠신지요? 덕분에 많이 시원해집니다.

최정신님의 댓글

profile_image 최정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오늘은 중절모를 쓰신 아버님이
그리움의 산실이군요
계신다면 흐뭇한 미소지으시며
등을 토닥이실 것 같아요
추억은 시인의 밥과 같지요
아련한 추억에 동참합니다.

이종원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이종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아버님의 사진이 유명 배우의 이미지를 닮았던 생각이 납니다.
어린 시절의 응석이 생각나서 웃어봅니다.
레트로 맛집을 찾아가서 그날의 밥으로 감동의 고개 끄덕일 수 있었습니다.
퓨전도 좋지만 레트로도 좋은 맛인 것 같습니다.

허영숙님의 댓글

profile_image 허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등굽은 아버지를 보다가 사진첩을 보면
젊은 얼굴로 어린 내 손을 꼭 잡고 찍은 모습에서
가슴이 아려옵니다
요즘은 저도 사진첩을 보는데
지나간 시간이 거기에 다 묶여 있더군요

Total 935건 1 페이지
시마을동인의 시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935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1 0 04-24
934
14연대 댓글+ 2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0 0 04-23
933
가금류들 댓글+ 2
성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3 0 04-22
932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7 0 04-18
931
지배인 댓글+ 3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 0 04-14
930
봄꿈 댓글+ 4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4 0 04-10
929
댓글+ 3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5 0 04-08
928
삼식이 댓글+ 3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4 0 04-05
927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 1 03-28
926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6 0 03-15
925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 0 03-10
924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2 0 03-07
923
묘사 댓글+ 4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9 0 03-07
922
한 끼 댓글+ 4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5 0 03-06
921
댓글+ 5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 0 03-03
920
청첩장 댓글+ 3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8 0 02-28
919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 0 02-27
918
눈사람 댓글+ 3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7 0 02-03
917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7 0 02-02
916
첫 줄 댓글+ 2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3 0 02-02
915
초승달 댓글+ 3
허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0 0 01-21
914
세월 댓글+ 4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 0 01-20
913
종점 저수지 댓글+ 3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5 0 01-09
912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9 2 01-07
911
휴일 댓글+ 2
성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8 0 01-07
910
저녁놀 댓글+ 2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 0 01-06
909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 1 01-04
908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2 0 01-04
907
서울, 역 댓글+ 3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 0 01-01
906
공든 탑 댓글+ 3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7 0 12-31
905 한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3 0 12-21
904 한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9 0 12-18
903
배다리 댓글+ 2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 0 12-16
902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4 3 12-12
901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9 3 12-12
900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4 0 11-28
899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5 0 11-23
898
나비춤 댓글+ 2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 0 11-14
897
동백 지다 댓글+ 3
최정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3 1 11-14
896
우리 집 댓글+ 5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5 0 11-11
895
낙타 2 댓글+ 3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5 0 11-02
894 허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 2 10-25
893
전기(電氣) 댓글+ 2
김용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 0 10-20
892
가을비 댓글+ 3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0 0 10-18
891
하루살이 댓글+ 2
성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5 0 10-14
890
가을 지뢰밭 댓글+ 2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7 0 10-14
889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5 0 10-13
888 허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 1 10-12
887
둘레길 댓글+ 2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4 0 10-06
886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0 1 10-02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