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 신이림 동시집 『엉뚱한 집달팽이』 출간 > 시마을동인의 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시마을동인의 시

  • HOME
  • 창작의 향기
  • 시마을동인의 시

    (시마을 동인 전용)

  ☞ 舊. 시마을동인의 시



장승규 박미숙 이승민 박용 최정신 허영숙 임기정 조경희
이명윤 정두섭 이종원 김부회 이호걸 김용두 서승원 성영희
문정완 배월선 양우정 윤석호 정연희 김재준 신기옥  

축!!! 신이림 동시집 『엉뚱한 집달팽이』 출간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허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3건 조회 179회 작성일 24-10-25 18:32

본문

동화작가이자 동시 작가인 신이림 시인께서

동시집 『엉뚱한 집달팽이』를 출간하셨습니다.
축하드리며 많은 독자들에게 사랑 받는 동시집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책 소개

신이림 시인의 동시집이 청색종이에서 출간되었다.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동화가 당선되었고, 황금펜아동문학상에 동시가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한 신이림 시인의 세 번째 동시집 『엉뚱한 집달팽이』는 시적 상황이 매우 구체적이고 생동감 넘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시에 등장하는 사물들은 그저 단순히 배경으로만 그치지 않고, 곧잘 어떤 대상에 대한 은유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세심한 관찰력이 돋보이는 시편들은 관념적이지 않고 구체적인 정황과 메시지를 잘 전달하고 있다.


해설을 쓴 평론가 황수대는 “감정의 과잉 없이 절제된 언어로 담백하게 표현해 마치 잘 그려진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 듯하다.”고 말하고 있다. 그래서 시의 본질, 즉 여백의 미학을 잘 이해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출판사 서평

신이림 시인의 동시집이 청색종이에서 출간되었다.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동화가 당선되었고, 황금펜아동문학상에 동시가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한 신이림 시인의 세 번째 동시집 『엉뚱한 집달팽이』는 시적 상황이 매우 구체적이고 생동감 넘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시에 등장하는 사물들은 그저 단순히 배경으로만 그치지 않고, 곧잘 어떤 대상에 대한 은유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세심한 관찰력이 돋보이는 시편들은 관념적이지 않고 구체적인 정황과 메시지를 잘 전달하고 있다.

해설을 쓴 평론가 황수대는 “감정의 과잉 없이 절제된 언어로 담백하게 표현해 마치 잘 그려진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 듯하다.”고 말하고 있다. 그래서 시의 본질, 즉 여백의 미학을 잘 이해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밤사이
도둑이 다녀갔다.

어지러운 발자국
몽땅 훔쳐 갔다.

새하얀 숫눈길만
남겨 놓은 채.
― 「도둑눈」 전문

이 시는 눈 내린 어느 겨울날의 풍경을 노래하고 있다. 3연 6행의 짧은 분량이지만, 군더더기 없는 표현과 선명한 이미지가 인상적이다. 제목에서 보듯이 이 시는 밤사이 몰래 내린 눈을 “도둑”에 빗대어 표현하고 있다. 또한, “새-”와 “숫-” 같은 접두사의 사용과 “어지러운 발자국/ 몽땅 훔쳐 갔다.// 새하얀 숫눈길만/ 남겨 놓은 채”와 같은 구조의 뒤바꿈을 통해 눈 내린 겨울날의 아침 풍경을 묘사하고 있는데, 직접적인 감정의 표출 없이도 화자의 마음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나무가 꽃받침에
꽃봉오리 솥을 내걸었다.

봄볕은 모락모락
불을 지피고

봄바람은 살랑살랑
부채질하고

어느새 뜸이 든
향긋한 밥.

배고픈 벌과 나비
여기저기서 찾아든다.
― 「무료급식」 전문

시인은 어떤 시적 상황을 통해 자신의 사상과 정서를 표현한다. 이 시는 그 대표적인 예로, 어느 봄날 시인이 목격한 장면을 형상화하고 있다. 이 시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나무”이다. “나무가 꽃받침에/ 꽃봉오리 솥을 내걸었다.” “배고픈 벌과 나비/ 여기저기서 찾아든다.”에서 보듯이, 나무는 단순히 자연물이 아니다. 배고픈 벌과 나비를 위해 자신의 몸을 아낌없이 내어 주는 존재이다. 즉, 희생과 나눔의 상징으로 그려진다. 이는 신이림 시가 전반적으로 따뜻하게 느껴지는 까닭이 어디에서 비롯되는지 알게 해 준다.

시는 함축과 리듬, 이미지 같은 다양한 요소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같은 소재라도 시인이 그것을 어떻게 인식하고 표현하느냐에 따라 작품의 수준 및 감동의 크기가 달라진다. 그 때문에 시인은 내용이나 형식에 있어 작품의 완결성을 높이기 위해 부단히 애를 쓰는데, 그러한 노력은 작품을 통해 고스란히 독자에게 전달된다. 이는 신이림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실제로 그의 시를 읽다 보면 그가 얼마나 진정성 있는 자세로 창작에 임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겨우겨우 찾은
네잎클로버

벌레가 잎을
반이나 갉아먹었다.

에이, 속상해.
하다가

아니지,
벌레가 행운을 반이나 남겨 두었네.

생각 하나 살짝 바꾸니
고마워지는 벌레.
― 「반반」 전문

이 시는 행운을 의미하는 네잎클로버를 소재로 하고 있다. 이 시에서 화자는 어렵게 네잎클로버를 발견하지만, “벌레가 잎을/ 반이나 갉아먹”은 것을 알고는 속상해 한다. 그러다가 “아니지,/ 벌레가 행운을 반이나 남겨 두었네.” 하고 생각을 바꾼다. 그러자 조금 전까지 밉게만 느껴졌던 벌레가 새삼 고맙게 느껴진다. 이처럼 이 시는 화자가 사고의 전환을 통해 깨달은 바를 형상화하고 있는데, 실로 공감되는 바가 크다. 사실 네잎클로버는 그동안 시에서 단골로 등장한 탓에, 소재 면에서 그다지 새로울 게 없다. 그런데도 이 시가 특별하게 느껴지는 것은 시인이 지닌 철학적 깊이 때문이다.

누구나 시를 쓸 수는 있지만, 그렇다고 누구나 좋은 시를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좋은 시는 발상과 표현이 새롭다. 또한, 삶에 대한 깊은 통찰과 세계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보여 준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신이림의 시는 좋은 시가 갖추어야 할 조건을 두루 충족하고 있다. 더욱이 그의 시는 “염소는/ 뒤에서 고삐를 잡아 주면/ 길을 잘도 찾아간다,// 울 엄마는/아직도 모른다,/ 내가 염소라는 걸.”(「언제쯤 알까」)처럼 아이부터 어른까지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 많다.

흔히 시는 언어를 통해 시인의 내면세계와 존재 의미를 드러내는 하나의 도구라고 말한다. 따라서 시를 읽는 행위는 곧 독자가 그와 같은 시인의 사상이나 감정을 공유함으로써 세상을 이해하고, 자신의 존재 의미를 탐색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시는 일상어와 달리 정보 전달을 넘어서는 어떤 힘을 지니고 있는데, 이것이 우리가 시를 읽는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 싶다.
“우리 동네 분수대에는/ 밥 주는 동전이 산다.// 소원 하나씩 품에 안고/ 물속에 잠들었다가// 연말이면 물에서 깨어나/배고픈 사람들을 찾아간다.// 따끈한 밥이 되어/ 따끈한 국이 되어.”(「소원분수대」)는 4부에 수록된 작품으로 신이림이 지향하는 세계가 어떠한지 잘 보여 준다.

시인의 말

시는
쓰는 사람의 것이 아니라
읽는 사람의 것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 말대로라면
『엉뚱한 집달팽이』 집에 사는 이 동시들은
모두 제 것이 아니라 독자 여러분의 것이겠지요.

동시집을 엮으면서
사람은 더불어 살아가야 한다는 걸 새삼 생각했습니다.
한 편의 동시가 되어 준 모든 소재들
삽화를 그려 준 며느리
해설을 써주신 황수대 평론가
책을 만들어 준 청색종이 출판사
이런 고마운 이웃들이 없었다면
『엉뚱한 집달팽이』는 세상에 나오지도 못했을 거예요.

모든 것이 여물어 가는 때
동시들이 세상에 나가게 되어
참 다행입니다.
덜 여문 동시들이 여러분을 만나
좀 더 단단해지기를 소망합니다.


1087.jpg

작가약력

서울예술대학교와 경희사이버대학교에서 문예창작 전공

199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당선

2011황금펜아동문학상》 동시 부문 당선 

염소배내기』 『싸움닭 치리

동시집 발가락들이 먼저』 『추는 자귀나무』  

추천2

댓글목록

최정신님의 댓글

profile_image 최정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마음 리모컨

                신이림

이런 건 없을까?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켜지는
텔레비전, 컴퓨터, 게임기처럼
사람 마음도 꾸욱 누르면 켜지는
버튼이 있으면 좋겠다.
이유 없이 나만 보면 쌩
토라져 가 버리는 민주,
꺼진 그 마음 켜 볼 수 있게.

P. 50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축하합니다.
마음이 수정이라야 동시를 쓸 수 있지 않을지
신이림 시인의 마음이 그려지는...
이 땅 동심에 꿈을 심는 밀알이 될것임을

프로 못지않은 그림으로 며느님의 시모님에 대한 ♥︎ 도 편편~~☆

Total 967건 1 페이지
시마을동인의 시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967
잊혀진 성지 새글 댓글+ 2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4 0 06-30
966
봄의 서사 댓글+ 2
최정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4 0 06-24
965
칼의 파지법 댓글+ 6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7 0 06-20
964
이명(耳鳴 댓글+ 3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7 0 06-20
963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5 0 06-19
962 최정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 0 06-17
961 香湖김진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 0 06-16
960
호박 댓글+ 6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5 0 06-15
959
좁교 댓글+ 2
성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3 0 06-14
958
꿈의 틀 댓글+ 2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 0 06-13
957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 0 06-13
956
통영, 연싸움 댓글+ 2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4 0 06-09
955
악수 댓글+ 4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4 0 06-06
954
톺다 댓글+ 4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0 0 06-05
953 성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 0 06-04
952 香湖김진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9 0 06-04
951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2 0 05-31
950
설렘 댓글+ 5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 0 05-27
949 香湖김진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3 0 05-26
948
꽃마리꽃 댓글+ 6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9 0 05-23
947
버려질 순서 댓글+ 4
성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 0 05-18
946
레몬은 시다 댓글+ 5
香湖김진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5 0 05-16
945 김용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 0 05-12
944
동백숲 댓글+ 3
최정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 1 05-11
943
하얀밤 댓글+ 3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5 0 05-09
942
밍크의 잠 댓글+ 2
성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 0 05-09
941
장수 댓글+ 2
김용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7 0 05-07
940
뻥이요 뻥! 댓글+ 3
香湖김진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7 0 05-06
939
보시 댓글+ 6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5 0 05-02
938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 0 05-02
937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9 0 04-30
936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7 0 04-29
935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 0 04-24
934
14연대 댓글+ 3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 0 04-23
933
가금류들 댓글+ 3
성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 0 04-22
932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4 0 04-18
931
지배인 댓글+ 3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6 0 04-14
930
봄꿈 댓글+ 4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5 0 04-10
929
댓글+ 5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3 0 04-08
928
삼식이 댓글+ 5
장승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3 0 04-05
927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 1 03-28
926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8 0 03-15
925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7 0 03-10
924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 0 03-07
923
묘사 댓글+ 4
金富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 0 03-07
922
한 끼 댓글+ 4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4 0 03-06
921
댓글+ 5
무의(無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9 0 03-03
920
청첩장 댓글+ 3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 0 02-28
919 이시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4 0 02-27
918
눈사람 댓글+ 3
서피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 0 02-03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