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나의 친구에게 > 함께 읽는 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함께 읽는 글

  • HOME
  • 지혜의 향기
  • 함께 읽는 글

(운영자 : 김용호)

   ☞ 舊. 함께 읽는 글

 

★ 마음의 양식이 되는 책 구절, 선인의 지혜로운 글 등을 올리는 곳입니다 
시나 영상시, 시감상문, 본인의 자작글은 다른 게시판(창작시, 영상시란, 내가읽은시 등)을 이용해주세요

☆ 저작권 위배소지가 있는 음악 및 이미지는 올릴 수 없습니다


사랑하는 나의 친구에게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1건 조회 1,731회 작성일 17-05-24 20:37

본문





      사랑하는 나의 친구에게

      세상에서 가장 행복할 때는 친구를 사랑하는
      맘이 남아 있을 때이고 세상에서 가장 울고 싶을 때는
      친구가 내 곁을 떠나갈 때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미워하고 싶을 때는
      친구가 점점 변해 갈 때이고
      세상에서 가장 두려울 때는
      친구가 갑자기 차가워질 때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비참할 때는
      친구가 나의 존재를 잊으려 할 때이고,
      세상에서 가장 웃고 싶을 때는
      친구가 즐거워하는 모습을 볼 때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고마울 때는
      친구가 나의 마음을 알아줄 때이고,
      세상에서 가장 편안할 때는
      친구가 내 곁에 머물러 있을 때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다정스러울 때는
      친구가 내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믿고 싶은 것은
      친구가 날 사랑하는 마음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친근하게 느낄 때는
      친구 손을 꼭 잡고 마주 앉아있을 때이고,
      세상에서 가장 외롭다고 느껴질 때는
      친구가 내 곁에 없다고 생각될 때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바라고 싶은 것은
      친구의 마음속에
      내가 영원히 간직되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세상에서 가장 사랑하는 것은
      바로 내가 사랑하는 나의 친구
      이 글을 읽는 바로 당신입니다.

      출처 : 좋은 글 중에서

      영상 제작 : 동제







      자주 쓰면 좋은 말 10가지

      ① 상대가 걷잡을 수 없는 화를 가라앉히는 말은
      "미안해"입니다.

      ② 겸손한 인격의 탑을 쌓는 말은
      "고마워"입니다.

      ③ 상대의 어깨를 으쓱하게 하는 말은
      "잘했어"입니다.

      ④ 화해와 평화를 부르는 말은
      "내가 잘못했어"입니다.

      ⑤ 존재 감을 쑥쑥 키워 주는 말은
      "당신이 최고야"입니다.

      ⑥ 상대의 기분을 업 시키는 말은
      "오늘 아주 멋져 보여"입니다.

      ⑦ 더 나은 결과를 이끌어 내는 말은
      "네 생각은 어때"입니다.

      ⑧ 든든한 위로의 말은
      "내가 뭐 도울 일 없어"입니다.

      ⑨ 상대의 자신감을 하늘로 치솟게 하는 말은
      "어떻게 그런 일을 다 했을까"입니다.

      ⑩ 열정을 샘솟게 하는 말은
      "나이는 숫자에 불과해"입니다.

      영상 제작 : 동제







      행복의 주머니 3개

      인생을 정말로 행복하게 살려면
      주머니를 세 개 준비하세요.

      하나는 앞으로 이루고 싶은 꿈을 담아 놓는 주머니
      또 하나는 하루 하루를 즐겁게 지내는 재미 주머니
      그리고 세 번째 주머니는 비상금 주머니

      아름다운 집에 살고 싶다고 꿈꾸는 사람은 많아도
      아름다운 집을 누리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요?
      땅을 구하고 벽돌을 쌓고 기둥을 올리는 사람만이
      자기가 꿈꾸는 집을 누릴 수 있습니다.

      아무리 아름다운 집을 마련하더라도 큰집에 혼자만
      쓸쓸하게 그렇게 앉아 있다면 이런 사람의 인생은
      흑백 영화처럼 색이 바랩니다.

      먹을 것 안 먹고 입을 것 안 입고 숨막히게 살면서
      때론 손가락질도 받으면서 어떻게 벌어들인 돈인데
      이렇게 쳐다만 보고 이제는 삶을 마감해야 한다면
      손가락을 펼친 채 황금모래를 퍼 올리는 삶입니다.
      아무 것도 남는 것 없이 그렇게 재가 되고 맙니다.

      인생을 일곱 가지 무지갯빛으로 살아가려면
      눈으로는 내일을 보고 발은 오늘을 딛고
      인생을 음미하면서 한 걸음 한 걸음 걸어갑니다.

      걷다가 넘어질 때도 있겠지요.
      이럴 때 좋은 친구가 곁에 있다가
      일어나는 것을 도와준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비상금 주머니에는 돈을 준비하는 대신 좋은
      친구를 준비하세요.
      어려움이 오기 전에 미리 준비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친구와 사귀세요.

      출처 : 좋은 글 중에서

      영상제작 : 동제

소스보기

<center><table border=25 width=500 cellspadding=0 cellspacing="2" bordercolor=cceecc bgcolor=beige><tr><td><center> <EMBED src="http://cfile9.uf.tistory.com/media/241D19365726F6B5334B00" width=600 height=400> </center><FONT color="000000" face="Verdana"><span style="font-size:9pt;"><p style="line-height:150%;"><ul><ul> <font color=blue> 사랑하는 나의 친구에게 세상에서 가장 행복할 때는 친구를 사랑하는 맘이 남아 있을 때이고 세상에서 가장 울고 싶을 때는 친구가 내 곁을 떠나갈 때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미워하고 싶을 때는 친구가 점점 변해 갈 때이고 세상에서 가장 두려울 때는 친구가 갑자기 차가워질 때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비참할 때는 친구가 나의 존재를 잊으려 할 때이고, 세상에서 가장 웃고 싶을 때는 친구가 즐거워하는 모습을 볼 때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고마울 때는 친구가 나의 마음을 알아줄 때이고, 세상에서 가장 편안할 때는 친구가 내 곁에 머물러 있을 때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다정스러울 때는 친구가 내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믿고 싶은 것은 친구가 날 사랑하는 마음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친근하게 느낄 때는 친구 손을 꼭 잡고 마주 앉아있을 때이고, 세상에서 가장 외롭다고 느껴질 때는 친구가 내 곁에 없다고 생각될 때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바라고 싶은 것은 친구의 마음속에 내가 영원히 간직되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세상에서 가장 사랑하는 것은 바로 내가 사랑하는 나의 친구 이 글을 읽는 바로 당신입니다. 출처 : 좋은 글 중에서 영상 제작 : 동제 </ul></ul></pre></td></tr></table></center> <EMBED style="WIDTH: 450px; HEIGHT: 45px; TOP: 682px; LEFT: 106px" height=45 type=application/octet-stream hidden=true width=450 src=http://cfs6.planet.daum.net/upload_control/pcp_download.php?fhandle=NEdXdnhAZnM2LnBsYW5ldC5kYXVtLm5ldDovMC8wLzM5LndtYQ==&filename=39.wma volume="0" loop="-1"> <center><table border=25 width=500 cellspadding=0 cellspacing="2" bordercolor=cceecc bgcolor=beige><tr><td><center> <EMBED src="http://cfile6.uf.tistory.com/media/2462CC4353CE372E049B0F" width=600 height=400> </center><FONT color="000000" face="Verdana"><span style="font-size:9pt;"><p style="line-height:150%;"><ul><ul> <font color=blue> 자주 쓰면 좋은 말 10가지 ① 상대가 걷잡을 수 없는 화를 가라앉히는 말은 "미안해"입니다. ② 겸손한 인격의 탑을 쌓는 말은 "고마워"입니다. ③ 상대의 어깨를 으쓱하게 하는 말은 "잘했어"입니다. ④ 화해와 평화를 부르는 말은 "내가 잘못했어"입니다. ⑤ 존재 감을 쑥쑥 키워 주는 말은 "당신이 최고야"입니다. ⑥ 상대의 기분을 업 시키는 말은 "오늘 아주 멋져 보여"입니다. ⑦ 더 나은 결과를 이끌어 내는 말은 "네 생각은 어때"입니다. ⑧ 든든한 위로의 말은 "내가 뭐 도울 일 없어"입니다. ⑨ 상대의 자신감을 하늘로 치솟게 하는 말은 "어떻게 그런 일을 다 했을까"입니다. ⑩ 열정을 샘솟게 하는 말은 "나이는 숫자에 불과해"입니다. 영상 제작 : 동제 </ul></ul></pre></td></tr></table></center> <div id="user_contents" name="user_contents"> <br><center><TABLE borderColor=green cellSpacing=15 cellPadding=1 bgColor=white border=1><TBODY><TR><TD> <EMBED src="http://cfile27.uf.tistory.com/media/0104EE4651C586A429FDC2" width=600 height=400> </center><FONT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color=green><span id="style" style="line-height:21px"><ul><ul> 행복의 주머니 3개 인생을 정말로 행복하게 살려면 주머니를 세 개 준비하세요. 하나는 앞으로 이루고 싶은 꿈을 담아 놓는 주머니 또 하나는 하루 하루를 즐겁게 지내는 재미 주머니 그리고 세 번째 주머니는 비상금 주머니 아름다운 집에 살고 싶다고 꿈꾸는 사람은 많아도 아름다운 집을 누리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요? 땅을 구하고 벽돌을 쌓고 기둥을 올리는 사람만이 자기가 꿈꾸는 집을 누릴 수 있습니다. 아무리 아름다운 집을 마련하더라도 큰집에 혼자만 쓸쓸하게 그렇게 앉아 있다면 이런 사람의 인생은 흑백 영화처럼 색이 바랩니다. 먹을 것 안 먹고 입을 것 안 입고 숨막히게 살면서 때론 손가락질도 받으면서 어떻게 벌어들인 돈인데 이렇게 쳐다만 보고 이제는 삶을 마감해야 한다면 손가락을 펼친 채 황금모래를 퍼 올리는 삶입니다. 아무 것도 남는 것 없이 그렇게 재가 되고 맙니다. 인생을 일곱 가지 무지갯빛으로 살아가려면 눈으로는 내일을 보고 발은 오늘을 딛고 인생을 음미하면서 한 걸음 한 걸음 걸어갑니다. 걷다가 넘어질 때도 있겠지요. 이럴 때 좋은 친구가 곁에 있다가 일어나는 것을 도와준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비상금 주머니에는 돈을 준비하는 대신 좋은 친구를 준비하세요. 어려움이 오기 전에 미리 준비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친구와 사귀세요. 출처 : 좋은 글 중에서 영상제작 : 동제 </font></pre></ul></ul></td></tr></table>
추천0

댓글목록

Total 11,412건 148 페이지
함께 읽는 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4062 竹 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9 0 06-14
4061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68 0 06-14
4060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3 0 06-14
405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47 0 06-13
4058 리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70 0 06-13
4057
오늘 웃어라 댓글+ 6
우미김학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31 0 06-13
4056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22 0 06-13
4055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 0 06-13
4054 竹 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2 0 06-13
4053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32 0 06-12
4052 물가에아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71 0 06-12
4051 우미김학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34 0 06-12
4050 竹 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80 0 06-12
4049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31 0 06-12
4048
착한 후회 댓글+ 1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26 0 06-12
404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99 0 06-11
4046 우미김학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3 0 06-11
4045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33 0 06-11
4044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6 0 06-11
4043 竹 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25 0 06-11
4042 리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2 0 06-10
4041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21 0 06-10
4040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46 0 06-10
4039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31 0 06-10
4038 우미김학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23 0 06-10
4037 竹 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5 0 06-10
4036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48 0 06-09
4035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81 0 06-09
4034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93 0 06-09
4033 竹 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78 0 06-09
4032
운명 댓글+ 1
너는또다른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74 0 06-08
4031 리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48 0 06-08
4030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86 0 06-08
4029 우미김학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91 0 06-08
4028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88 0 06-08
4027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7 0 06-08
4026 竹 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37 0 06-08
402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23 0 06-07
4024 리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1 0 06-07
4023 우미김학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8 0 06-07
4022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47 0 06-07
4021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7 0 06-07
4020 竹 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60 0 06-07
401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 0 06-06
4018 竹 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5 0 06-06
4017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23 0 06-06
4016 리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33 0 06-06
4015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64 0 06-06
4014 우미김학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5 0 06-05
4013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4 0 06-05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