싹트는 그림 > 함께 읽는 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함께 읽는 글

  • HOME
  • 지혜의 향기
  • 함께 읽는 글

(운영자 : 김용호)

   ☞ 舊. 함께 읽는 글

 

★ 마음의 양식이 되는 책 구절, 선인의 지혜로운 글 등을 올리는 곳입니다 
시나 영상시, 시감상문, 본인의 자작글은 다른 게시판(창작시, 영상시란, 내가읽은시 등)을 이용해주세요

☆ 저작권 위배소지가 있는 음악 및 이미지는 올릴 수 없습니다


싹트는 그림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301회 작성일 21-10-24 22:00

본문

싹트는 그림

오스트리아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프리들 디커브랜다이스의 이야기다.
미술 대학교에 입학해 화가가 된 그녀는 독일의 바우하우스에서
거장 파울 클레를 만나 미술 교육의 원리를 배우고 아이들에게 그림을 가르쳤다
1942년, 나치의 강제 추방 명령에 따라 그녀는 체코 수용소로 끌려갔다.
허용된 짐 무게는 50킬로그램으로, 사람들은 대개 옷이나 귀중품을 넣었지만
그녀는 미술 용품부터 챙겼다. 그림을 그리고 아이들에게
미술을 가르치기 위해서였다.

수용소의 상황은 굶주림과 질병 등으로 갈수록 열악해졌다.
특히 하루아침에 가족과 헤어진아이들은 더 큰 충격에 휩싸였다.
그녀는 아이 600여명을 만나며 그림 수업을 열었다.
그림을 모아 전시를 하고, 고흐의 작품을 어렵게 반입해 보여 주기도 했다.
그녀의 수업은 아이들이 슬픔을 표현하고 희망을 그리는 유일한 시간이었다.

그녀가 세상을 떠나고 10년 뒤, 그녀의 커다란 가방에서 8∼12세
어린이들이 그린 그림 4,700여 장이 나왔다.
그녀는 그림에 이름과 나이를 기록하게 해 아이들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남기게 했고, 훗날 작품이 발견되도록 숨겨 두었다.

꽃병과 들판 등을 그리고, <우리 집>, <연날리기>등의 제목을 붙인
그림에서는 어둠이 느껴지지 않았다.
그녀를 기억하는 생존자는 말했다, 그녀가 가르쳐 준 것은 그림뿐 아니라
두려움으로부터의 해방이고 명상이었다고.

작가 이소영은 그녀에 대해 이렇게 평했다.
“프리들 디커브랜다이스는 ‘예술은 어린이들의 가장 위대한
자유’라고 강조했다.
나치의 억압과 횡포에서 그녀가 만난 어린이들의 그림에는 자유가 있었다.
미술의 진짜 힘은 가장 힘든 순간에도 싹을 틔우는 데 있다”

출처 : 월간 좋은 생각 김보나 기자
 

추천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1,389건 193 페이지
함께 읽는 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178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3 1 08-21
1788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2 0 05-06
1787 竹 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2 0 08-31
1786 김상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2 2 10-06
1785 김상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2 0 10-12
열람중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2 1 10-24
1783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2 0 10-27
1782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2 0 04-11
1781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2 1 04-16
1780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2 1 10-28
177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2 0 07-16
1778 김상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1 0 03-17
177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1 0 06-17
1776 김상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1 0 09-23
1775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1 0 01-09
1774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0 0 09-24
1773 竹 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0 0 05-18
1772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0 0 08-17
1771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0 0 07-27
1770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0 0 07-31
1769 김상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0 0 12-26
1768 김상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0 0 03-08
176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0 0 03-18
1766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0 0 03-29
176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0 0 06-28
176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0 0 08-11
1763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0 0 04-29
1762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0 0 08-12
1761 김상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9 0 06-14
1760 김상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9 0 06-14
175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9 0 04-17
1758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9 0 06-22
175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9 0 07-24
1756 무상심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9 2 12-14
1755 세잎송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9 2 04-14
1754 竹 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8 0 06-09
1753 김상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8 1 10-08
1752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8 0 04-13
1751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8 0 04-22
1750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8 0 04-26
1749 무상심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8 3 08-08
1748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8 0 04-16
1747 竹 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7 0 08-15
1746 김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7 0 08-01
174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7 0 12-11
174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7 0 10-27
1743 김상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7 0 11-05
1742 손계 차영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7 1 10-07
1741 幸村 강요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7 1 10-10
1740 김상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6 0 10-28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