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표와 느낌표 > 함께 읽는 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함께 읽는 글

  • HOME
  • 지혜의 향기
  • 함께 읽는 글

(운영자 : 김용호)

   ☞ 舊. 함께 읽는 글

 

★ 마음의 양식이 되는 책 구절, 선인의 지혜로운 글 등을 올리는 곳입니다 
시나 영상시, 시감상문, 본인의 자작글은 다른 게시판(창작시, 영상시란, 내가읽은시 등)을 이용해주세요

☆ 저작권 위배소지가 있는 음악 및 이미지는 올릴 수 없습니다


물음표와 느낌표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1건 조회 1,133회 작성일 16-09-15 11:04

본문




    물음표와 느낌표

    약속 시간에 늦은 친구에게
    "오늘도 늦으면 어떡해?" 라고 말하려다
    "오느라고 힘들었겠다!" 라고 말해봅니다.

    실수를 자주 하는 후배에게
    "또 실수한 거야?" 라고 말하려다
    "그럴 수도 있지!" 라고 말해봅니다.

    급한 때에 연락이 안 된 동생에게
    "왜 이렇게 전화를 안 받니?" 라고 말하려다
    "큰일이 생긴 게 아니어서
    다행이다!" 라고 말해봅니다.

    물음표를 느낌표로 바꿨더니
    부정이 물러가고 긍정이 찾아옵니다.

    우리는 모두 빚진 사람들입니다.
    너무도 무심해서 자주 잊고 지낼 뿐입니다.
    스스로 빚진 사람이라고 여기며 살면
    더 겸손히 고개 숙일 수 있습니다.
    언젠가 꼭 갚겠노라고 생각하면
    그 삶이 더욱 빛이 납니다.

    출처 : 월간 좋은 생각
    영상제작 : 풍차주인
    나오는 음악 : Yesterday Once More - Carpenters









        국민이 슬퍼하는 죽음

        정치지도자가 죽었을 때 국민의 반응은 대개 다섯 갈래로 나타난다.

        첫째는 기쁨이다.
        스탈린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철(鐵)의 인간 이란 뜻 을 지닌 스탈린이란 필명에 걸맞게
        철권을 휘둘렀던 독재자가 죽었다는 사실이 발표됐을 때 소련 국민은
        안도의 숨을 내쉴 수 있었다.
        루마니아 차우셰스쿠 대통령의 경우 20여년에 걸친 절대권력자로서의
        생애가 국민 봉기로 마감됐을 때 루마니아 국민은 환호작약했다.
        그렇게 하고도 그에 대한 미움은 너무나 커서 총살당한 그의 시신은
        1년 넘게 묏자리를 얻을 수 없었다.

        둘째는 슬픔이다.
        미국의 케네디 대통령, 영국의 처칠 총리, 프랑스의 드골 대통령,
        인도의 네루총리, 이집트의 나세르 대통령, 필리핀의 막사 이사이 대통령,
        그리고 며칠 전에 별세한 요르단의 후세인 국왕 등이 이 경우에 속한다.
        중국의 저우언라이(周恩來)총리가 죽은 직후의 한식날 때 는
        수백 만명의 추모 객이 베이징(北京)에 몰려와 그를 핍박했던
        당대의 집 권세력 4인방을 성토하기에 이르러 그들은 민중봉기가
        뒤따르는 것이 아닌가 두려워했다.
        중국 현대사의 거인 덩샤오핑(鄧小平)이 죽었을 때도 중국 전역에서
        국민이 눈물을 흘렸다.

        슬픔은 뒷날에야 나타나기도 했다.
        헝가리의 반소(反蘇)자유화 운동을 이끌었던 나기가 소련 침공군에 의해
        피살됐을 때 헝가리 국민은 공개적으로는 울 수 없었다.
        그러나 30년이 지나 헝가리에 대한 소련의 지배가 약 화되자
        그동안 버려졌던 그의 유해를 찾아내 국장을 치러 주면서
        마음껏 눈물을 흘렸다.
        칠레의 아옌데 대통령도 비슷했다.
        피노체트의 군사 쿠데타에 맞서 스스로 총을 들고 싸우다 죽었을 때
        칠레 국민은 공개적으로는 슬픔의 뜻을 나타낼 수 없었다.
        그러나 20여년 뒤 민정이 회복되자 그동안 지방의 한 공동묘지에
        쓸쓸히 묻혔던 그의 유해를 수도의 중앙국립묘 지로 화려하게
        이장하면서 실컷 울었다.

        셋째는 기뻐하는 쪽도 있지만 슬퍼하는 쪽도 있는 가운데
        상당한 수준 의 예우를 베푸는 경우이다.
        헝가리의 카다르가 여기에 속한다.
        카다르는 나기와 함께 자유화운동을 이끌다가 소련 침공군에 회유되어
        동지들을 배반하고 친소괴뢰정권을 세우는 데 앞장선 뒤
        30년 가까이 통치했다.
        그가 죽었을 때 헝가리는 이미 자유민주주의 시대로 접어들었고 따라서
        그의 장례식은 초라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적지 않은 국민이 자발적으로 애도의 행렬을 이뤄 주었다.
        그들은 그의 집권과정이 정당하지는 못했다고 해도 그의 통치아래
        조국이 다른 어느 공산국가들에 비해 경제적으로 번영했음을
        인정했던 것이다.

        넷째는 경멸이다.
        필리핀의 마르코스 대통령이 이 경우에 속한다.
        그가 민중봉기로 도망쳤을 때 기뻐했던 국민은 그가 망명지에서
        병사했다는 소식을 들으면서 30년 가까운 집권기간 부정축재한
        거만(巨萬)의 재산도 그를 질병으로부터 구제하지 못했다는 사실에
        그를 비웃지 않을 수 없었다.

        다섯째는 무관심이다.
        그래서 빠르게 잊혀지고 말며 그 뒤의 추도식은 가족행사로 끝나고 만다.
        뜻밖에도 동서양을 막론하고 적지 않은 정치 지도자들이 이 경우에 속한다.

        영상제작 : 동제

    소스보기

    <TABLE borderColor=#63009c cellSpacing=15 cellPadding=1 width=450 bgColor=#ffffff border=2><TBODY><TR><TD><FONT color=#3e8822> <EMBED height=400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width=600 src=http://cfile220.uf.daum.net/media/253B4A3E5384939B07DE9B wmode="transparent" allowNetworking="internal" scale="exactfit" allowfullscreen="true"> <FONT face=옹달샘체 color=#63009c font><UL><span id="style" style="line-height:20px"> 물음표와 느낌표 약속 시간에 늦은 친구에게 "오늘도 늦으면 어떡해?" 라고 말하려다 "오느라고 힘들었겠다!" 라고 말해봅니다. 실수를 자주 하는 후배에게 "또 실수한 거야?" 라고 말하려다 "그럴 수도 있지!" 라고 말해봅니다. 급한 때에 연락이 안 된 동생에게 "왜 이렇게 전화를 안 받니?" 라고 말하려다 "큰일이 생긴 게 아니어서 다행이다!" 라고 말해봅니다. 물음표를 느낌표로 바꿨더니 부정이 물러가고 긍정이 찾아옵니다. 우리는 모두 빚진 사람들입니다. 너무도 무심해서 자주 잊고 지낼 뿐입니다. 스스로 빚진 사람이라고 여기며 살면 더 겸손히 고개 숙일 수 있습니다. 언젠가 꼭 갚겠노라고 생각하면 그 삶이 더욱 빛이 납니다. 출처 : 월간 좋은 생각 영상제작 : 풍차주인 나오는 음악 : Yesterday Once More - Carpenters </PRE></UL> <UL></UL></FONT></PRE></B></FONT></TD></TR></TBODY></TABLE></CENTER> <embed src="http://festival.oc.go.kr/seedling/board/editor/uploaded/mid/free/1246745702.mp3" volume=0 loop=true showstatusbar="1" autostart="true"> <div id="user_contents" name="user_contents"> <br><center><TABLE borderColor=green cellSpacing=15 cellPadding=1 bgColor=white border=1><TBODY><TR><TD> <EMBED src="http://cfile24.uf.tistory.com/original/117E21244A820A1259D148" width=600 height=400> </center><FONT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color=green><span id="style" style="line-height:21px"><ul><ul> 국민이 슬퍼하는 죽음 정치지도자가 죽었을 때 국민의 반응은 대개 다섯 갈래로 나타난다. 첫째는 기쁨이다. 스탈린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철(鐵)의 인간 이란 뜻 을 지닌 스탈린이란 필명에 걸맞게 철권을 휘둘렀던 독재자가 죽었다는 사실이 발표됐을 때 소련 국민은 안도의 숨을 내쉴 수 있었다. 루마니아 차우셰스쿠 대통령의 경우 20여년에 걸친 절대권력자로서의 생애가 국민 봉기로 마감됐을 때 루마니아 국민은 환호작약했다. 그렇게 하고도 그에 대한 미움은 너무나 커서 총살당한 그의 시신은 1년 넘게 묏자리를 얻을 수 없었다. 둘째는 슬픔이다. 미국의 케네디 대통령, 영국의 처칠 총리, 프랑스의 드골 대통령, 인도의 네루총리, 이집트의 나세르 대통령, 필리핀의 막사 이사이 대통령, 그리고 며칠 전에 별세한 요르단의 후세인 국왕 등이 이 경우에 속한다. 중국의 저우언라이(周恩來)총리가 죽은 직후의 한식날 때 는 수백 만명의 추모 객이 베이징(北京)에 몰려와 그를 핍박했던 당대의 집 권세력 4인방을 성토하기에 이르러 그들은 민중봉기가 뒤따르는 것이 아닌가 두려워했다. 중국 현대사의 거인 덩샤오핑(鄧小平)이 죽었을 때도 중국 전역에서 국민이 눈물을 흘렸다. 슬픔은 뒷날에야 나타나기도 했다. 헝가리의 반소(反蘇)자유화 운동을 이끌었던 나기가 소련 침공군에 의해 피살됐을 때 헝가리 국민은 공개적으로는 울 수 없었다. 그러나 30년이 지나 헝가리에 대한 소련의 지배가 약 화되자 그동안 버려졌던 그의 유해를 찾아내 국장을 치러 주면서 마음껏 눈물을 흘렸다. 칠레의 아옌데 대통령도 비슷했다. 피노체트의 군사 쿠데타에 맞서 스스로 총을 들고 싸우다 죽었을 때 칠레 국민은 공개적으로는 슬픔의 뜻을 나타낼 수 없었다. 그러나 20여년 뒤 민정이 회복되자 그동안 지방의 한 공동묘지에 쓸쓸히 묻혔던 그의 유해를 수도의 중앙국립묘 지로 화려하게 이장하면서 실컷 울었다. 셋째는 기뻐하는 쪽도 있지만 슬퍼하는 쪽도 있는 가운데 상당한 수준 의 예우를 베푸는 경우이다. 헝가리의 카다르가 여기에 속한다. 카다르는 나기와 함께 자유화운동을 이끌다가 소련 침공군에 회유되어 동지들을 배반하고 친소괴뢰정권을 세우는 데 앞장선 뒤 30년 가까이 통치했다. 그가 죽었을 때 헝가리는 이미 자유민주주의 시대로 접어들었고 따라서 그의 장례식은 초라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적지 않은 국민이 자발적으로 애도의 행렬을 이뤄 주었다. 그들은 그의 집권과정이 정당하지는 못했다고 해도 그의 통치아래 조국이 다른 어느 공산국가들에 비해 경제적으로 번영했음을 인정했던 것이다. 넷째는 경멸이다. 필리핀의 마르코스 대통령이 이 경우에 속한다. 그가 민중봉기로 도망쳤을 때 기뻐했던 국민은 그가 망명지에서 병사했다는 소식을 들으면서 30년 가까운 집권기간 부정축재한 거만(巨萬)의 재산도 그를 질병으로부터 구제하지 못했다는 사실에 그를 비웃지 않을 수 없었다. 다섯째는 무관심이다. 그래서 빠르게 잊혀지고 말며 그 뒤의 추도식은 가족행사로 끝나고 만다. 뜻밖에도 동서양을 막론하고 적지 않은 정치 지도자들이 이 경우에 속한다. 영상제작 : 동제 </font></pre></ul></ul></td></tr></table>
    추천0

    댓글목록

    Total 2,835건 21 페이지
    함께 읽는 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183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9 0 07-15
    183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9 0 06-28
    1833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9 0 08-19
    1832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8 0 09-18
    1831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8 0 12-05
    1830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8 0 10-03
    182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8 0 09-07
    1828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7 0 07-09
    182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7 0 06-23
    1826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6 0 07-13
    182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5 0 07-28
    182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4 0 04-23
    1823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4 0 12-31
    1822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4 0 11-29
    열람중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4 0 09-15
    1820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3 0 05-27
    181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3 0 04-05
    1818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3 0 06-24
    181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2 0 09-07
    1816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1 0 01-19
    181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1 0 06-17
    181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1 0 09-22
    1813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0 10-31
    1812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0 11-01
    1811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0 06-13
    1810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8 0 11-22
    180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8 0 09-12
    1808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8 0 10-08
    180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0 06-08
    1806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0 12-08
    180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0 01-05
    180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0 10-12
    1803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4 0 09-14
    1802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4 0 09-23
    1801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0 04-27
    1800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1 0 06-08
    179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0 0 08-11
    1798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0 0 04-09
    179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0 0 11-17
    1796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0 0 06-11
    179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9 0 09-12
    179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9 0 11-20
    1793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9 0 07-02
    1792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9 0 04-28
    1791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0 11-28
    1790
    행복의 얼굴 댓글+ 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0 08-01
    178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0 06-12
    1788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0 08-12
    178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0 12-19
    1786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0 08-16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