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사랑이었으면 좋겠습니다 > 함께 읽는 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함께 읽는 글

  • HOME
  • 지혜의 향기
  • 함께 읽는 글

(운영자 : 김용호)

   ☞ 舊. 함께 읽는 글

 

★ 마음의 양식이 되는 책 구절, 선인의 지혜로운 글 등을 올리는 곳입니다 
시나 영상시, 시감상문, 본인의 자작글은 다른 게시판(창작시, 영상시란, 내가읽은시 등)을 이용해주세요

☆ 저작권 위배소지가 있는 음악 및 이미지는 올릴 수 없습니다


가을사랑이었으면 좋겠습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1건 조회 1,139회 작성일 16-10-03 00:00

본문





      가을사랑이었으면 좋겠습니다

      비록 오늘의 삶이 힘겨울지라도 하늘을
      바라볼 때면 늘 힘이 되어주는
      사랑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고추잠자리 맴도는 하늘가에
      파아란 마음으로 메아리치는
      늘 푸른 가을사랑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가끔 하늘이 너무 파래 눈물이 날 때면
      사랑이 가득한 메시지로 늘 힘이 되어주는

      지란지교 참사랑으로 언제나 반겨주는
      한 송이 들꽃처럼 행복이 가득한
      사랑이었으면 좋겠습니다.

      비록 그대와 나 멀리 있다 하여도 늘 같은
      하늘아래 상큼한 공기 마시며 오늘을
      이야기 할 수 있음에 감사 드리며

      늘 처음처럼 설레이는 마음으로 열심히 살았노라고
      이야기 할 수 있는 그런 사랑이면 좋겠습니다.

      흐르는 강물은 다시는 돌아오지 않습니다.
      지나간 시간은 다시는 돌이킬 수 없습니다.

      늘 푸른 여름향기 가득했던 날들이여
      늘 힘이 되어주는 내 사랑하는 님이여

      여름향기가 아쉬운 작별을 이야기하는
      쓸쓸한 매미들의 합창 소리가 들리시는지요.

      해가 지고 달이 뜨는 배경에서 해와 달의
      아름다운 정겨운 이야기들이 한 여름밤의
      꿈 이야기들이 하나둘씩 피어납니다.

      말없이 흘러가는 강물 같은 인생이여
      서로가 서로에게 마음의 정 나누며 살아도
      부족한 우리네 삶의 여정이기에

      늘 우리는 하나요 늘 사랑도 하나여야 합니다.
      세상이 우리를 힘들게 하여도 그대와 나
      귀뚜라미 노래하는 가을의 향기 속으로

      사랑과 행복이 어울림 되어 기쁨이 가득한
      사랑으로 풍요로운 가을의 향기를 나눌 수 있는
      지란지교 참 사랑 이였으면 참 좋겠습니다.

      나 그대에게 그런 가을사랑이고 싶습니다.
      나 그대에게 그런 기쁜 사랑이고 싶습니다.

      출처 : 좋은 글 중에서

      영상 제작 : eclin





      고난을 만났을 때

      옛날 우리나라의 민담 가운데 한 토막입니다.
      한 나그네가 산 속 깊은 곳에서 호랑이 한 마리를 만났습니다.
      호랑이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내가 너를 잡아먹어야겠지만 네가 만일 팔 하나만 잘라서 주면
      잡아먹지 않겠다.”
      나그네는 목숨보다 팔 하나를 잃는 것이 낫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자신의 팔을 칼로 잘라서 호랑이에게 줬습니다.
      다음 고개에 이르자 호랑이가 또다시 그에게 나타났습니다.
      “아무래도 배가 고파서 안 되겠다.
      네 다리를 하나 더 주든지
      그렇지 않으면 네 몸 전체를 내게 주든지 해라.”
      나그네는 이번에도 다리 하나를 호랑이에게 던져 줬습니다.
      마지막 고개에 이르렀을 때였습니다.
      그 호랑이는 다시 나타나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늙어서 이빨과 발톱이 없어진 호랑이였어.
      자네가 만약 맞서 싸웠더라면 나는 힘도 못쓰고 도망갔을 텐데.”
      그러면서 그 호랑이는 이미 팔과 다리가 없어 아무런 힘도 쓸 수 없는
      나그네를 한 입에 잡아먹고 말았습니다.

      고난을 만났을 때 한 번 싸워 보지도 않고 미리 짐작해
      “나는 할 수 없어. 결코 이길 수 없어” 하는 마음을 갖고 포기한다면
      우리는 넘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고난이 우리를 넘어뜨리는 게 아닙니다.
      이빨과 발톱이 없는 호랑이를 보고 두려워하는 우리의 연약함이
      우리를 쓰러뜨리는 것입니다.

      출처 : 고경환목사 순복음원당교회

      영상 제작 : 동제

소스보기

<center><table border=25 width=500 cellspadding=0 cellspacing="2" bordercolor=cceecc bgcolor=beige><tr><td><center> <EMBED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height=400 width=600 src=http://cfile238.uf.daum.net/media/2453054252EE6CC8043C3A flashvars="file=https://youtu.be/7HtuluVSHqU&vq=hd1080&menu=false" allowfullscreen="true" menu="0"> </center><FONT color="000000" face="Verdana"><span style="font-size:9pt;"><p style="line-height:150%;"><ul><ul> <font color=blue> 가을사랑이었으면 좋겠습니다 비록 오늘의 삶이 힘겨울지라도 하늘을 바라볼 때면 늘 힘이 되어주는 사랑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고추잠자리 맴도는 하늘가에 파아란 마음으로 메아리치는 늘 푸른 가을사랑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가끔 하늘이 너무 파래 눈물이 날 때면 사랑이 가득한 메시지로 늘 힘이 되어주는 지란지교 참사랑으로 언제나 반겨주는 한 송이 들꽃처럼 행복이 가득한 사랑이었으면 좋겠습니다. 비록 그대와 나 멀리 있다 하여도 늘 같은 하늘아래 상큼한 공기 마시며 오늘을 이야기 할 수 있음에 감사 드리며 늘 처음처럼 설레이는 마음으로 열심히 살았노라고 이야기 할 수 있는 그런 사랑이면 좋겠습니다. 흐르는 강물은 다시는 돌아오지 않습니다. 지나간 시간은 다시는 돌이킬 수 없습니다. 늘 푸른 여름향기 가득했던 날들이여 늘 힘이 되어주는 내 사랑하는 님이여 여름향기가 아쉬운 작별을 이야기하는 쓸쓸한 매미들의 합창 소리가 들리시는지요. 해가 지고 달이 뜨는 배경에서 해와 달의 아름다운 정겨운 이야기들이 한 여름밤의 꿈 이야기들이 하나둘씩 피어납니다. 말없이 흘러가는 강물 같은 인생이여 서로가 서로에게 마음의 정 나누며 살아도 부족한 우리네 삶의 여정이기에 늘 우리는 하나요 늘 사랑도 하나여야 합니다. 세상이 우리를 힘들게 하여도 그대와 나 귀뚜라미 노래하는 가을의 향기 속으로 사랑과 행복이 어울림 되어 기쁨이 가득한 사랑으로 풍요로운 가을의 향기를 나눌 수 있는 지란지교 참 사랑 이였으면 참 좋겠습니다. 나 그대에게 그런 가을사랑이고 싶습니다. 나 그대에게 그런 기쁜 사랑이고 싶습니다. 출처 : 좋은 글 중에서 영상 제작 : eclin </ul></ul></pre></td></tr></table></center> <center><table border=25 width=500 cellspadding=0 cellspacing="2" bordercolor=cceecc bgcolor=beige><tr><td><center> <EMBED src="http://cfile3.uf.tistory.com/media/2529CE4657EDFDDE0C7EA9" width=600 height=400> </center><FONT color="000000" face="Verdana"><span style="font-size:9pt;"><p style="line-height:150%;"><ul><ul> <font color=blue> 고난을 만났을 때 옛날 우리나라의 민담 가운데 한 토막입니다. 한 나그네가 산 속 깊은 곳에서 호랑이 한 마리를 만났습니다. 호랑이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내가 너를 잡아먹어야겠지만 네가 만일 팔 하나만 잘라서 주면 잡아먹지 않겠다.” 나그네는 목숨보다 팔 하나를 잃는 것이 낫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자신의 팔을 칼로 잘라서 호랑이에게 줬습니다. 다음 고개에 이르자 호랑이가 또다시 그에게 나타났습니다. “아무래도 배가 고파서 안 되겠다. 네 다리를 하나 더 주든지 그렇지 않으면 네 몸 전체를 내게 주든지 해라.” 나그네는 이번에도 다리 하나를 호랑이에게 던져 줬습니다. 마지막 고개에 이르렀을 때였습니다. 그 호랑이는 다시 나타나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늙어서 이빨과 발톱이 없어진 호랑이였어. 자네가 만약 맞서 싸웠더라면 나는 힘도 못쓰고 도망갔을 텐데.” 그러면서 그 호랑이는 이미 팔과 다리가 없어 아무런 힘도 쓸 수 없는 나그네를 한 입에 잡아먹고 말았습니다. 고난을 만났을 때 한 번 싸워 보지도 않고 미리 짐작해 “나는 할 수 없어. 결코 이길 수 없어” 하는 마음을 갖고 포기한다면 우리는 넘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고난이 우리를 넘어뜨리는 게 아닙니다. 이빨과 발톱이 없는 호랑이를 보고 두려워하는 우리의 연약함이 우리를 쓰러뜨리는 것입니다. 출처 : 고경환목사 순복음원당교회 영상 제작 : 동제 </ul></ul></pre></td></tr></table></center>
추천0

댓글목록

kgs7158님의 댓글

profile_image kgs7158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귀뚜리소리가 엄청커서 깨어난듯,,가을속에 눈울뜨니 지진문자가 와있네요 ㅜㅜ
경주 3,0    8시 53문..
눈도갸슴프레뜨고 눈도아프고,,ㅎㅎ
조은글 즐감하고 갑니다
. 강하고 담대하라 내가 세상을 이기었노라...................
고운 가을밤들 되셔요,

Total 2,844건 36 페이지
함께 읽는 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109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74 0 12-24
1093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92 0 01-20
1092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75 0 02-19
1091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36 0 03-23
1090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39 0 04-29
108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7 0 07-23
1088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40 0 07-31
108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38 0 08-04
1086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70 0 08-18
108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6 0 08-26
108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89 0 09-07
1083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9 0 09-25
1082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43 0 10-09
1081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57 0 10-18
1080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41 0 10-28
107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67 0 11-06
1078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4 0 11-12
107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55 0 11-19
1076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6 0 11-27
107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55 0 12-02
107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58 0 12-12
1073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6 0 12-21
1072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46 0 12-31
1071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5 0 01-06
1070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49 0 01-14
106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99 0 01-20
1068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9 0 01-26
106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70 0 01-31
1066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38 0 02-11
106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14 0 03-13
106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64 0 03-26
1063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75 0 04-13
1062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02 0 04-26
1061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99 0 05-16
1060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77 0 05-26
105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07 0 06-16
1058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3 0 07-28
105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0 0 08-18
1056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1 0 10-28
105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89 0 02-19
105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1 0 03-18
1053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07 0 03-30
1052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3 0 04-20
1051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1 0 04-26
1050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22 0 05-10
104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4 0 06-19
1048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9 0 07-24
104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4 0 09-16
1046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0 0 11-14
104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5 0 12-29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