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보석 같은 나라 > 함께 읽는 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함께 읽는 글

  • HOME
  • 지혜의 향기
  • 함께 읽는 글

(운영자 : 김용호)

   ☞ 舊. 함께 읽는 글

 

★ 마음의 양식이 되는 책 구절, 선인의 지혜로운 글 등을 올리는 곳입니다 
시나 영상시, 시감상문, 본인의 자작글은 다른 게시판(창작시, 영상시란, 내가읽은시 등)을 이용해주세요

☆ 저작권 위배소지가 있는 음악 및 이미지는 올릴 수 없습니다


한국은 보석 같은 나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285회 작성일 22-06-06 17:31

본문

한국은 보석 같은 나라

한국인은 원래 선한 품성을 가진 백의민족(白衣民族) 이었다.

우리 조상들은 작은 벌레의 생명조차도 가볍게 여기지 않았다.

뜨거운 개숫물을 마당에 버릴 때에는 이렇게 외쳤다.
“워이 워이”
물이 뜨거워 벌레들이 다칠 수 있으니 어서 피하라고 소리친 것이다.

봄에 먼 길을 떠날 때에는 오합혜(五合鞋) 와 십합혜(十合鞋),두 종류의 짚신을
봇짐에 넣고 다녔다.

십합혜는 씨줄 열 개로 촘촘하게 짠 짚신이고 오합혜는 다섯 개의
씨줄로 엉성하게 짠 짚신을 가리킨다.

행인들은 마을길을 걸을 땐 십합혜를 신고 걷다 산길이 나오면
오합혜로 바꾸어 신곤 했다.

벌레가 알을 까고 나오는 봄철에 벌레들이 깔려 죽지 않도록
듬성듬성 엮은 짚신을 신은 것이다.

오합혜는 십합혜보다 신발의 수명이 짧았으나 그 만큼 벌레의 수명은 늘어났다.

농부들은 동물의 끼니까지 살뜰히 챙겼다.

콩을 심을 때엔 세 알씩 심었다. 한 알은 땅 속에 있는 벌레의 몫으로,
또 하나는 새와 짐승의 몫으로, 마지막 하나는 사람의 몫으로 생각했다.

감나무 꼭대기에 ‘까치 밥’을 남겨놓고, 들녘에서 음식을 먹을 때에도
'고수레' 하면서 풀벌레들에게 음식을 던져 주었다.

이러한 미덕(美德)은 우리의 식문화에도 그대로 배어났다.

여인들은 3덕(三德) 이라고 해서 식구수에 세 명의 몫을 더해
밥을 짓는 것을 부덕(婦德)으로 여겼다.
걸인이나 가난한 이웃이 먹을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었다.

미국 여류소설가 펄 벅은 장편소설 ‘살아있는 갈대’에서
한국을 ‘고상한 사람들이 사는 보석같은 나라’로 표현했다.

그녀의 극찬은 한국에서 겪었던 특별한 체험 때문이었다.

1960년 펄벅이 소설을 구상하기 위해 한국을 찾았다.
여사는 늦가을에 군용 지프를 개조한 차를 타고 경주를 향해 달렸다.
노랗게 물든 들판에선 농부들이 추수하느라 바쁜 일손을 놀리고 있었다.

차가 경주 안강 부근을 지날 무렵, 볏가리를 가득 실은 소달구지가 보였다.
그 옆에는 지게에 볏짐을 짊어진 농부가 소와 함께 걸어가고 있었다.

여사는 차에서 내려 신기한 장면을 카메라에 담았다.

여사가 길을 안내하는 통역에게 물었다.
“아니, 저 농부는 왜 힘들게 볏단을 지고 갑니까?
달구지에 싣고 가면 되잖아요?”

“소가 너무 힘들까봐 농부가 짐을 나누어지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지요.”

여사는 그때의 충격을 글로 옮겼다.

“이제 한국의 나머지 다른 것은 더 보지 않아도 알겠다.
볏가리 짐을 지고 가는 저 농부의 마음이 바로 한국인의 마음이자,
오늘 인류가 되찾아야 할 인간의 원초적인 마음이다.
내 조국, 내 고향, 미국의 농부라면 저렇게 힘들게 짐을
나누어지지 않고, 온 가족이 달구지 위에 올라타고 채찍질하면서
노래를 부르며 갔을 것이다.
그런데 한국의 농부는 짐승과도 짐을 나누어지고
한 식구처럼 살아가지 않는가.”

구한말 개화기에 한 선교사가 자동차를 몰고 시골길을 가고 있었다.
그는 커다란 짐을 머리에 이고 가는 할머니를 보고 차에 태워드렸다.

저절로 바퀴가 굴러가는 신기한 집에 올라탄 할머니는
눈이 휘둥그레졌다.
뒷자리에 앉은 할머니는 짐을 머리에 계속 이고 있었다.

“할머니, 이제 그만 내려놓으시지요?"

선교사의 말에 할머니는 순박한 웃음을 지으며 대답했다.
“아이고, 늙은이를 태워준 것만 해도 고마운데, 어떻게
염치없이 짐까지 태워달라고 할 수 있겠소?”

차를 얻어 타고서 차마 머리에 인 짐을 내려놓지 못하는
선한 마음이 우리의 모습이었다.

이어령 장관의 부친은 6·25의 피난 때에도 남의 밭을
밟지 않으려고 먼 길을 돌아왔다고 한다.
그 때문에 가족들이 오랫동안 가슴을 졸이며 아버지를 기다려야 했다.

백의민족의 가슴에는 이런 선한 피가 흐른다.

선한 마음은 적장의 전의까지 빼앗아 버리는 힘이 있다.
임진왜란이 일어난 1592년 봄
"사야가(沙也加)"라는 스물 두 살의 일본 장수가 조선 땅을 침략했다.

가토 기요마사의 우선봉장인 그는 부하들을 이끌고 진격하다
피난을 떠나는 농부 가족을 보았다.

왜군들이 총을 쏘는 와중에도 농부는 늙은 어머니를 등에 업고
아이들과 함께 산길을 오르고 있었다.

젊은 장수는 자기보다 노모의 목숨을 더 중히 여기는 농부의
모습을 보자 심장이 쿵 하고 내려앉았다.
칼날처럼 번뜩이던 살기는 한 백성의 지극한 효심에
순식간에 녹아 내리고 말았다.

“도덕을 숭상하는 나라를 어찌 짓밟을 수 있단 말인가”

왜장 "사야가"는 그 날 뜬눈으로 밤을 새웠다.
착한 백성들을 죽이는 전쟁은 불의라는 결론을 내렸다.

마침내 사야가는 부하 500여명과 함께 조선에 투항하기로 결심했다.
승전을 거듭하던 침략군이 "인의(仁義)"를 이유로 힘없는
나라에 집단 망명한 사례는 세계사에 전무후무한 일이다.

조선에 투항한 사야가와그의 병사들은 자신의 동료인
왜군들을 향해 총을 쏘았다.
그가 바로 "김충선"이다.☆

백범 김구가 꿈꾼 나라는 선(善)으로 우뚝 서는 '문화의 나라'였다.

김구는 백범일지에 ‘내가 원하는 우리나라’의
모습을 이렇게 그렸다.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이 아니다.
내가 남의 침략에 가슴이 아팠으니 내 나라가 남을
침략하는 것을 원치 아니한다.
우리의 부력(富力)은 우리의 생활을 풍족히
할 만하고, 우리의 강력(?力)은 남의 침략을 막을 만하면 족하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기 때문이다.”

.오늘 우리의 모습은 김구가 사랑한 조국이 맞는가?
적국의 장수까지 무장 해제시킨 선한 나라의 모습인가?

나라의 물질은 유사이래 가장 부유해 졌으나 정신은 더 가난해졌다.
그 사실이 가슴 시리도록 아프다.

출처 : 좋은 글 중에서

추천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822건 1 페이지
함께 읽는 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2822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 0 04-26
2821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 1 04-26
2820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2 0 04-25
281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9 0 04-25
2818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9 0 04-24
281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2 0 04-24
2816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5 1 04-20
281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7 1 04-20
281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3 1 04-06
2813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 0 04-06
2812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4 0 04-06
2811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4 1 03-30
2810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6 1 03-30
280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7 0 03-28
2808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8 0 03-28
280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 1 03-13
2806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8 1 03-13
280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9 1 02-24
280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4 1 02-24
2803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 1 02-21
2802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 0 02-21
2801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8 1 02-20
2800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5 0 02-20
279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 0 02-19
2798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 0 02-19
279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 1 02-18
2796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 0 02-18
279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3 1 02-17
279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4 0 02-17
2793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 1 02-16
2792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4 0 02-16
2791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 1 02-11
2790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 0 02-11
278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5 1 02-09
2788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 1 02-09
278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 0 02-08
2786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 1 02-08
278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5 1 02-05
278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8 1 02-05
2783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 0 01-29
2782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 0 01-29
2781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4 1 01-28
2780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 0 01-28
2779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4 1 01-27
2778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 1 01-27
2777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2 0 01-26
2776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 1 01-26
2775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2 0 01-24
2774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4 0 01-24
2773 김용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6 1 01-23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