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서산 '백제의 미소' 에서 佛法의 흔적을...문화일보에서,그리고 옛날을 추억 > 여행정보/여행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마을 Youtube Channel

여행정보/여행기

  • HOME
  • 지혜의 향기
  • 여행정보/여행기

  ☞ 舊. 여행지안내

     

여행정보 및 여행기를 올리는 공간입니다

충남 서산 '백제의 미소' 에서 佛法의 흔적을...문화일보에서,그리고 옛날을 추억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ofile_image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895회 작성일 21-04-03 19:07

본문






 의성 = 글·사진 박경일 전임기자 parking@munhwa.com
게재 일자 : 2021년 4월 1일 목요일 
* 문화일보에서 옮겨 와 다시 보기좋게 재구성한 여행게시물입니다.


▲ 충남 서산 인지면의 작은 절집 죽사(竹寺). 
비룡산 산정의 바위 아래 절묘한 자리에 위태롭게 들어서 있다. 절집 마당에 서면 서산 시내가 
한눈에 다 들어온다. 죽사는 알려지지 않은 절집이라, 인적이 뜸해 적막할 정도다. 

경남 합천의 가야산이 더 이름나긴 했지만, 충남 서산에도 가야산(伽倻山)이 있습니다. 
가야란 이름에서 고대국가 가야를 떠올리기 쉬운데 ‘가야’란 지명은, 실은 인도 동부 지방의 
불교 최대 성지로 꼽히는 붓다 가야에서 왔답니다. 부처가 보리수 아래서 성불했다고 전해지는 곳, 
거기가 바로 붓다 가야라는군요. 

지명 유래로 짐작할 수 있듯이 가야산 일대에는 불교의 굵은 자취가 선명합니다. 
가야봉을 비롯해 원효봉과 석문봉, 옥양봉, 수정봉 등 다섯 봉우리를 거느리고 있는 가야산에는 
백제 시대에 자그마치 100개가 넘는 사찰과 암자가 있었다고 전해집니다. 백제와 당나라가 교류하는 
길목이었던 가야산이, 절집과 암자에서 피워올린 향불의 연기로 가득한 불국토였다는 얘기지요. 

봄날, 꽃구경의 소란을 피해 가야산에서 불법(佛法)의 흔적을 따라 고즈넉한 오솔길을 걸었습니다. 
지금부터는 그 길 위에서 길어 올린 이야기들입니다.

# 불국토의 자취를 따라 걷다

초록의 봄날, 가야산으로 가서 백제의 불국토 자취를 따라 걷기로 한다. 지금은 스러지고 만 
가야사와 보원사의 옛 절집 터를 지나고, ‘백제의 미소’로 이름난 서산 마애여래삼존상과 왕벚꽃이 
아직 피지 않은 개심사를 찾아간다. 비룡산 벼랑 끝에 아슬아슬하게 매달린 죽사에도 들르고, 
육지가 돼 버린 바다를 내려다보고 있는 부석사에도 간다. 꽃피어 화려한 때를 벗어나, 행락객의 
소란을 피해 봄볕 아래 고요하게 걷는 길이다. 봄꽃 피어 북적이는 곳을 찾지 않는다 해도 봄의 
한복판으로 들어서는 지금 계절에는, 어딜 가든 모자람이 있을까. 

‘백제의 미소길’. 가야산을 끼고 이어지는 매력적인 걷기 길이다. 길은 예산 상가리에서 서산 용현리로 
이어진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가야산 석문봉 아래 옛 가야사 터에서 출발해 서산 마애여래삼존상까지다. ‘
백제의 미소’란 이름은, 길의 종점에 있는 서산 마애여래삼존상의 꾸밈없는 미소에서 따왔음은 물론이다. 
전체 거리는 9㎞ 남짓. 너무 길지도, 그렇다고 짧지도 않다. 걷는 시간은 서너 시간 정도면 넉넉하다.

본래 이 길은 왕복 2차로에, 폭 10여m의 차도인 ‘가야산 순환도로’로 개설될 예정이었다. 지금처럼 
타박타박 두 발로 걷는 길이 아니라 수덕사와 덕산온천에서 서산 마애여래삼존상을 잇는, 관광도로가 
될 뻔했다는 얘기다. 지역주민과 불교계, 환경단체가 문화유산과 생태환경 훼손 등을 우려, 도로개설에 
반대하며 맞선 게 자그마치 3년. 현장조사와 워크숍, 주민설명회가 줄을 이었고, 긴 협의 끝에 결국 
아스팔트 도로 대신 차가 들어갈 수 없는 생태 탐방로를 놓자는 데 합의했다. 
이런 진통 끝에 놓인 길이 바로 ‘백제의 미소길’이다.

이쯤에서 쓴소리 한 마디. 서산에는 여러 이름을 가진 걷기 길이 이리저리 교차한다. 충남 서북부 지역에 
조성한 ‘내포문화숲길’이 있고 서산에서 놓은 ‘아라메길’이 있으며, 코리아 둘레길 구간인 ‘서해랑길’이 있다. 
내포문화숲길의 하위구간에는 테마에 따라서 백제부흥군길, 원효깨달음길, 내포천주교순례길 등의 이름이 
또 붙어 있다. 길의 이름이 난무하다 보니, 걸으면서도 내가 내포문화숲길 위에 있는 건지, 아라메길을 걷는 
건지, 서해랑길을 따라가는 건지 도통 알기 쉽지 않다. 큰 도움이 되지는 않겠으나 알아두기는 하자. 
백제의 미소길은 내포문화숲길 가운데 ‘원효깨달음길’의 4코스다. 


▲ 사진 왼쪽이 남연군 묘. 대원군은 가야산 아래 명당자리에 있던 절집을 불태우고 탑 자리에다 
아버지 남연군의 묘를 썼다. 
사진 오른쪽은 남연군 묘 인근에 있는 풍수가(지관) 육관도사 손석우의 묘. 손석우는 생전에 가야산에 
남연군 묘보다 더 좋은 천하명당이 있다고 말해왔는데, 그가 묻힌 자리가 바로 그곳이라고 전해진다. 

# 명당 중의 명당, 남연군 묘

길의 시작인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가야사 터에서 신발 끈을 묶는다. 
수덕사보다 더 큰 절이었다는 가야사는 지금 온데 간데 없고, 그 자리에는 대원군의 아버지, 
남연군의 묘가 있다. 남연군 묘는 산자락이 밀려 내려와 봉긋하게 솟은 언덕 위에 있다. 
‘천하명당’으로 일컬어지는 자리다. 명당 묫자리를 찾았던 대원군은 홍성의 지관 정만인에게서 
“가야산 아래 절집 가야사 자리가 두 명의 왕이 나올 자리”란 얘기를 듣고 절집에 불을 지른 뒤 
석탑이 서 있던 자리에다 아버지 남연군의 묘를 썼다. 남연군 묘는 지금까지도 조선 최고의 
명당으로 불리면서 풍수가들을 불러 모은다. 

남연군 묘는 등 뒤로 병풍처럼 펼쳐지는 가야산의 주능선을 두고 있다. 풍수지리에 문외한이거나 
아예 풍수지리를 믿지 않는다 해도 묫자리 앞에 딱 서 보면 그 자리가 범상치 않다는 것을 단박에 
느낄 수 있다. 뒤쪽의 가야산 기운이 모이는 자리이면서 앞으로는 열려있으되 헐겁지 않은, 참으로 
절묘한 자리다. 자연스럽게 ‘아, 명당이란 바로 이런 자리를 말하는 거구나’ 하는 생각이 들게 한다. 

남연군 묘 앞에서 떠올리게 되는 건 ‘오페르트 도굴사건’이다. 서구열강의 조선에 대한 통상 요구가 
실권자 흥선대원군에 의해 번번이 수포로 돌아가자 급기야 독일인 오페르트는 1868년 4월 21일 
남연군 묘 도굴을 시도했다. ‘대원군이 강력한 권력을 갖게 된 건 아버지가 명당에 묻혔기 때문’이라는 
조선 천주교인의 말을 오페르트는 믿었다. 그렇지 않다고 해도 일단 묘를 파헤쳐 유골을 확보하면 
대원군과의 협상에서 효과적인 카드로 이용할 수 있었다. 

오페르트는 그러나 무덤 도굴에 실패했다. 러시아 병사로 위장한 100여 명의 중국 청년으로 도굴단을 
구성해 갔는데도 석회석으로 단단하게 다진 무덤을 파헤치지 못했다. 묫자리를 봐준 지관이 신묘한 
예지력을 가졌던 것일까. 남연군 묘를 쓸 때 정만인의 조언으로 백회 200포를 개어 무덤 아래를 
마감했으니 삽날이 들어가지 않는 건 당연했다. 

남연군의 묘를 이장한 지 7년 만에 대원군은 차남 명복을 얻었다. 그가 곧 조선의 제26대 고종으로 
대한제국의 첫 황제가 됐다. 지관의 말대로 대를 이어 순종이 황제 자리에 올랐다. 지관 말대로 
가야사 자리에 묘를 써 두 명의 왕이 나긴 했지만, 순종 대에 이르러 조선은 망하고 말았으니 
거기를 진짜 명당이라고 할 수 있을까.

# 천하명당이 따로 있다고?

천하명당의 이야기는 더 이어진다. 남연군 묘 인근에 ‘근대 풍수계의 거목’이라고 불렸던 육관도사 
손석우의 묘가 있다. 그는 생전에 전직 대통령을 비롯해 내로라하는 권력자 일가의 선영과 묫자리를 
잡아준 것으로 이름을 날렸던 풍수가였다. 김일성의 죽음을 예언한 것으로도 유명했다. 
1993년 펴낸 풍수 책 ‘터’에서는 전주 모악산에 있는 전주 김씨의 시조 묘를 살피고는 ‘그 후손인 
김일성의 절대권력 운이 이듬해인 1994년에 끝날 것’이라고 예언했는데, 두 달쯤의 차이가 있었지만
 김일성은 손석우가 지목한 그해에 심장마비로 죽었다. 
이런 사실이 알려지면서 그의 책이 베스트셀러 목록에 오르기도 했다.

손석우는 1998년 일흔둘 나이에 심장마비로 세상을 떴다. 세간의 관심은 그의 묫자리로 쏠렸다. 
당대 최고의 풍수가를 자처했던 그가 자신의 묫자리를 명당 중의 명당으로 봐두었을 텐데, 그는 과연 
자기 묘를 어디에다 잡았을까. 치악산에 묘를 썼다는 얘기도 있었고, 고향인 울진에 자리를 잡았다는 
소문도 나돌았다. 그의 묘 행방을 찾는 호사가들의 발길이 한동안 이어졌다. 

손석우가 스스로 잡았다는 그의 묫자리는 가야산 석문봉 아래, 남연군 묘에서 600m쯤 더 들어간 
자리에 있다. 석문봉을 오르는 등산로 초입에 있어서 누구든 쉽게 찾을 수 있다. 오솔길 하나를 두고 
손석우 묘를 마주 보고 있는 집에서 4대째 살고 있다는 윤정수(68) 씨는 “육관도사가 가야산에 지맥을 
보러올 때 길 안내를 맡아 자주 동행했다”고 말했다. 윤 씨는 “가야산을 돌아보며 육관도사는 ‘근방에 
남연군 묘보다 더 좋은 천하명당 자리가 있다’는 말을 자주 했다”고 기억했다. 하늘의 으뜸 별자리 기운이 
지상으로 내려와 우주의 중심을 이룬다는 곳. 육관도사는 그곳을 ‘자미원(紫微垣)’이라고 했는데, 거기가 
어딘지는 절대 말하지 않았다고 했다. 그렇다면 손석우가 말한 자미원이 그가 묻힌 자리가 분명하지 않을까. 
죽어서 스스로 최고의 명당자리를 차지한 셈이다. 

당대 최고의 풍수가였음에도 그의 무덤에는 석물은커녕 비석도, 상석도 없다. 흙으로 단정하게 쌓은 
둔덕 안에 덩그러니 봉분 하나가 전부다. 초라하다기보다는 단정한 쪽에 가깝다. 간혹 찾아온 풍수가들이 
무릎을 치고 돌아간다는데, 문외한의 눈에 묫자리는 특별한 데가 없어 보인다. 한때 육관도사가 잡았다는 
명당을 보러 사람들이 한꺼번에 밀려드는 바람에 봉분을 없애기까지 했다지만, 
지금은 다만 봄볕 속에서 적요할 따름이다.


▲ 가야산을 끼고 넘어가는, 걷는 길인 ‘백제의 미소길’ 들머리 옛 가야사 터 부근에 세워진 이정표. 
일대에 이렇듯 관광지와 유적이 많다.

# 빈 절터와 천진한 백제의 미소

백제의 미소길에 들어서자마자 길옆에 상가리 미륵불이 있다. 아버지 묫자리를 위해 가야사를 불태운 
대원군이 보기 싫어 돌아앉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는 미륵불이다. 몸을 슬쩍 돌려 남연군 묘 쪽을 
외면하는 듯 서 있는 자세가 그런 이야기를 만들었으리라. 백제의 미소길은 줄곧 오솔길을 따라간다. 
본래 도보 코스로 다듬어지기 전에 차가 다니던 길의 형태가 희미하게 남은 길이다.

이 길의 매력은 단연 ‘개방감’이다. 길은 계곡이 아니라 산허리를 끼고 이어진다. 숲 속의 그늘이 아니라 
온몸을 봄볕에 드러내놓고 걷는 길이다. 완만한 경사를 따라 야트막한 고갯길을 넘어가는 길 위에 서면 
시야가 탁 트인다. 주변 경관이 한눈에 들어오는 개방된 공간을 걸으면서 얻게 되는 건 ‘존재감’이다. 
사방이 탁 트인, 혼자 걷는 길 위에 있으니 내가 주인공이 된 듯하다. 인적이 없는 조용한 길이어서 더 그렇다. 

고갯길 정상의 둔덕이 예산과 서산의 경계지역인데, 여기에 장승과 솟대를 세워두었다. 퉁퉁 고개를 넘고 
소나무 쉼터를 지나 길은 용현자연휴양림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휴양림을 지나면 보원사지다. 
거대했던 절집 보원사가 있던 터다. 드넓은 벌판의 옛 절터에는 보물로 지정된 유물만 다섯 개다. 단아하게 
서 있는 오층석탑을 비롯해 고려 광종의 스승 역할(왕사·王師)을 했던 고승 법인국사의 탑과 탑비, 
당간지주와 석조 등이 모두 보물이다. 1000년의 시간이 지나간 절집 터는, 텅 비어있음에도 아름답다. 
진공 같은 적막 속에서 빈 절터에 들어서면 마음이 고요해진다.


▲ ‘백제의 미소길’ 끝에 있는 서산 마애여래삼존상. 돌로 깎아서 빚어낸 여래상의 미소가 천진하고 해맑다.

보원사지를 지나 계곡을 따라 내려가면 이내 길의 종착 지점인 용현리다. 
용현리에는 서산 마애여래삼존상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발견된 바위에 새긴 불상 중에서 가장 
뛰어난 걸작이라는 데 이론이 없다. 마애여래삼존상과 마주 섰을 때를 기준으로, 가운데는 현세불을 
의미하는 여래입상이 있고, 왼쪽에는 과거불을 의미하는 제화갈라보살입상이, 오른쪽에는 미래불을 
의미하는 반가사유상이 조각돼 있다. 최고로 꼽히는 건 여래의 ‘미소’와 제화갈라보살이 보여주는 
만면의 웃음이다. 여래입상은 올라간 입꼬리로 환하게 웃는데, 미소에서는 위엄보다는 천진함이 묻어난다. 
제화갈라보살은 터지는 웃음을 참고 있는 듯하다. 
비스듬하게 들어오는 햇빛은 불상의 얼굴에 마술처럼 생명력을 불어넣는다.

# 벚꽃 피기 전에 개심사에 간다
 
가야산 자락에서 이름난 절집 중 하나가 개심사다. 휘어진 나무를 그대로 기둥으로 삼은 범종각과 
심검당의 소박한 아름다움이 인상적인 절집이지만, 개심사를 대표하는 건 뭐니뭐니해도 벚꽃이다. 
개심사 경내에 피는 왕벚꽃과 청벚꽃은 탐스럽기로 이름났다. 개심사의 왕벚꽃은 꽃잎이 겹으로 돼 있어 
일반 벚꽃을 여러 송이 묶은 것처럼 탐스럽다. 꽃이 백색과 연분홍, 진분홍, 옥색, 적색 등 다섯 가지 
색을 띤다. 개심사에는 좀처럼 보기 드문, 연한 연둣빛의 청벚꽃도 있다. 경내 스무 그루 남짓의 벚나무가 
일제히 꽃망울을 터뜨리면 개심사는 탐스러운 꽃 구름 속에 잠겨있는 듯하다. 
벚꽃이 필 때면 절집이 온통 행락객들로 북새통을 이루는 이유다. 

개심사는 벚꽃의 개화가 늦다. 왕벚꽃이 본래 벚꽃이 지고 보름쯤 지나서 개화가 시작되는데, 
개심사 왕벚꽃의 개화는 그것보다도 열흘 정도 더 늦다. 개심사 왕벚꽃 개화 시기는 대략 4월 말쯤. 
꽃이 늦는 해에는 5월까지 넘어가기도 한다. 자고로 ‘늦게 피는 봄꽃’은 눈길을 덜 받는 법인데, 
이 왕벚꽃이 필 때면 개심사는 온통 북새통을 이룬다. 개심사 왕벚꽃이 워낙 화려해서다. 

지금 가면 개심사에는 벚꽃이 없다. 개심사 명부전 지붕 보수공사까지 이뤄지고 있어 흐트러진 절집은 
한적하다. 그래서 지금 개심사로 간다. 개심사는 ‘걸어서’ 갈 수 있다. 백제의 미소길 구간에 있는 
보원사지에서 산속 오솔길을 따라 걷는 길이다. 보원사지에서 개심사까지 가는 길은, ‘아라메길’ 
코스이기도 하고 ‘내포문화숲길’ 코스이기도 하다. 여기서도 표지판은 여지없이 걷는 이를 헷갈리게 한다. 
이 구간은 등산을 방불케 할 정도의 가파른 경사길이라 숨이 차다. 그래서 속도를 늦추고 자주 다리쉼을 
하게 된다. 시간이 허물어버린 텅 빈 절집 터에서 소박한 아름다움으로 빛나는 절집으로 건너가는 이 길 
위에는 빼어난 경관은 없지만, 천천히 걷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 기막힌 자리의 절집 두 곳
 
가야산 자락에 있는 건 아니지만, 서산에는 기막힌 자리에 앉아있는 절집이 두 곳 있다. 그중 한 곳이 
인지면에 있는 죽사다. 절집이 ‘대나무 죽(竹)’ 자를 이름으로 얻은 건 전설 때문이다. 대나무와 바위가 
산에 먼저 오르기 내기를 했는데, 산에 깃든 용이 진노해 바위에 벼락을 때려 대나무가 이겼다는 밑도 
끝도 없는 전설이다. 본래 금강산이었던 산 이름이 이때 용이 나타났다고 해서 비룡산이란 지금의 
이름을 갖게 됐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본래 이름이 금강산이었다는 이야기에서 짐작되듯 비룡산은 
산정의 우람한 바위가 기이한 경관을 이룬다. 죽사는 그 바위 바로 아래 기막힌 자리에 제비집처럼 
매달렸다. 절집을 홀로 지키고 있는 스님을 빼면 오가는 이가 거의 없는 길. 
절집으로 올라가는 적요한 길가에는 수선화가 하나둘 피었다가 지고 있다. 

또 서산에서는 의상대사가 창건했다는 내력 있는 절집, 부석사도 빼놓을 수 없다. 
부석사는 천수만의 도비산 자락 아래서 바다를 내려다보고 있다. 부석사의 특급 전망대는 단연 안양루 
옆의 절집 마당. 이곳에서는 너른 들녘과 부남호가 한눈에 들어온다. 부남호 너머의 안면도, 그리고 또 
그 너머의 서해바다까지 거침이 없다. 봄볕 좋은 날 오후에 바다와 갯벌 위로 붉게 물드는 노을을 
바라볼 수 있는 자리가 부석사의 누각이다. 
서산으로 떠난 절집 여행의 마무리로, 이보다 더 좋은 곳이 또 있을까. 

■ 태봉산에도 ‘왕의 명당’

명당이라면 운산면 태봉리에 있는 조선의 13대 임금 명종의 태실 자리도 빠지지 않는다. 
명종 태실은 가야산과 이어진 상왕산 아래 저 홀로 불쑥 솟은 봉우리 태봉산에 있다. 
비석 앞에 서면 축협 서산목장의 초지가 360도로 펼쳐지는데, 
초지로 뒤덮인 주변의 수많은 구릉이 마치 제주의 오름처럼 보인다.


2008년 10월 우리 가족여행에서 담은 상왕산 개심사의 모습



서산 마애삼존불을 보려면 이 불이문(不二門)을 통과해야 한다.
불이(不二)란 뜻은 중생과 부처가 둘이 아니요, 
세속과 부처의 세계가 둘이 아니며, 선악(善惡), 유무(有無), 깨끗함과 
더러움, 등등 상대적 개념에 대한 모든 대상이 둘이 아니라는 의미다. 



이 길따라 오르면 바로 돌축대위에 마애삼존불상이....
바로 백제의 미소를 볼 수 있다. 


서산마애삼존불상(瑞山磨崖三尊佛像): 국보 제84호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2-10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가야산 계곡을 따라 들어가면 층암절벽에 
거대한 여래입상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보살입상(제화갈라보살), 
오른쪽에는 미륵반가사유상이 조각되어 있다. 흔히 ‘백제의 미소’로 
널리 알려진 이 마애불은 암벽을 조금 파고 들어가 불상을 조각하고 
그 앞쪽에 나무로 집을 달아 만든 
마애석굴 형식의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연꽃잎을 새긴 대좌(臺座) 위에 서 있는 여래입상은 살이 많이 오른 
얼굴에 반원형의 눈썹, 살구씨 모양의 눈, 얕고 넓은 코, 미소를 띤 
입 등을 표현하였는데, 전체 얼굴 윤곽이 둥글고 풍만하여 백제 불상 
특유의 자비로운 인상을 보여준다. 옷은 두꺼워 몸의 윤곽이 드러나지 
않으며, 앞면에 U자형 주름이 반복되어 있다. 둥근 머리광배 중심에는 
연꽃을 새기고, 그 둘레에는 불꽃무늬를 새겼다. 

머리에 관(冠)을 쓰고 있는 왼쪽의 보살입상은 얼굴에 본존과 같이 
살이 올라 있는데, 눈과 입을 통하여 만면에 미소를 풍기고 있다. 
상체는 옷을 벗은 상태로 목걸이만 장식하고 있고, 
하체의 치마는 발등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오른쪽의 반가상 역시 만면에 미소를 띤 둥글고 살찐 얼굴이다. 
두 팔은 크게 손상을 입었으나 왼쪽 다리 위에 오른쪽 다리를 올리고, 
왼손으로 발목을 잡고 있는 모습, 오른쪽 손가락으로 턱을 받치고 
있는 모습에서 세련된 조각 솜씨를 볼 수 있다. 

반가상이 조각된 이례적인 이 삼존상은『법화경』에 나오는 석가와 
미륵, 제화갈라보살을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존불의 묵직하면서 
당당한 체구와 둥근 맛이 감도는 윤곽선, 보살상의 세련된 조형 감각, 
그리고 공통적으로 나타나 있는 쾌활한 인상 등에서 6세기 말이나 
7세기 초에 만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곳은 백제 때 중국으로 통하는 
교통로의 중심지인 태안반도에서 부여로 가는 길목에 해당하므로, 
이 마애불은 당시의 활발했던 중국과의 문화교류 분위기를 엿볼 수 
있게 하는 작품이라 하겠다. 


즐겨보는 문화일보 트래블여행이야기를 
보기좋게 큰 사진으로 시원하게 재 구성해서 옮겨 놓았습니다. 
잠시 일손 놓으시고 쉬어가세요.
코로나 조심하시고 건강하세요.


재구성
찬란한 빛/김영희
2008년 10월에 다녀온 가족여행 '백제의 미소' 앞에서..중앙 좌측(찬란한 빛)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874건 1 페이지
여행정보/여행기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874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4 1 03-14
873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9 1 03-12
872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8 1 02-28
871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4 1 02-19
870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7 1 02-17
869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 1 02-15
868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 1 02-14
867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 1 02-11
866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 1 02-08
865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8 1 02-06
864 아름다운Lif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9 1 01-28
863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3 1 01-21
862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5 1 01-18
861 아름다운Lif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7 1 01-15
860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6 1 01-02
859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9 1 12-29
858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 1 12-24
857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9 1 12-22
856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3 1 12-18
855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4 1 12-16
854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 1 12-14
853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2 1 12-10
852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3 1 12-07
851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 1 12-05
850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3 1 12-03
849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6 1 11-29
848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3 1 11-24
847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6 1 11-19
846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6 1 11-19
845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6 1 11-17
844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7 1 11-12
843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7 1 11-11
842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2 1 11-10
841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6 1 11-08
840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2 1 11-07
839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6 1 11-05
838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 1 11-04
837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3 1 11-03
836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9 1 11-02
835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5 1 11-01
834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3 1 10-29
833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2 1 10-28
832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6 1 10-27
831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6 1 10-25
830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3 1 10-25
829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8 1 10-23
828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8 1 10-22
827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7 1 10-20
826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 1 10-19
825 찬란한빛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8 1 10-18
게시물 검색

  • 시와 그리움이 있는 마을
  • (07328)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우체국 사서함 645호
  • 관리자이메일 feelpoem@gmail.com
Copyright by FEELPOEM 2001. All Rights Reserved.